[include(틀:롯데 자이언츠/내야수)] ||
'''{{{#fff 이주찬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60번}}}''' || || [[조현수(야구선수)|조현수]][br](2020) || {{{+1 →}}} || '''이주찬[br](2021)''' || {{{+1 →}}} || [[하혜성]][br](2022)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109번}}}''' || || [[김현(야구선수)|김현]][br](2019) || {{{+1 →}}} || '''이주찬[br](2023~)''' || {{{+1 →}}} || [[현역#s-4]]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ejuchan2023.png|width=100%]]}}} || ||<-2> '''롯데 자이언츠 No.109''' || ||<-2> '''{{{+2 이주찬}}}[br]Lee Ju-Chan''' || ||<|2> '''출생''' ||[[1998년]] [[9월 21일]] ([age(1998-09-21)]세)||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학력''' ||[[송수초등학교|송수초]](해운대리틀) - [[센텀중학교|센텀중]] - [[경남고등학교 야구부|경남고]] - [[동의대학교 야구부|동의대]]|| || '''신체''' ||181cm|86kg|| || '''포지션''' ||[[내야수]]|| || '''투타''' ||[[우투우타]]|| || '''프로입단''' ||2021년 [[육성선수]] ([[롯데 자이언츠|롯데]])|| || '''소속팀''' ||[[롯데 자이언츠]] (2021~)|| || '''병역''' ||[[대한민국 육군]] [[제31보병사단]] [[병장]] 만기전역[br]{{{-2 (2021년 11월 30일 ~ 2023년 5월 29일)}}}|| || '''SNS''' ||[[https://www.instagram.com/juchan_11/|[[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2>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가족''' ||부모님, 남동생 [[이주형(2001)|이주형]] || || '''에이전트''' ||[[https://www.instagram.com/yiseo_company/|[[파일:이서컴퍼니_logo.png|width=60]]]] ||}}}}}}}}} || [목차] [clearfix] == 개요 == [[롯데 자이언츠]] 소속 [[내야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유년 시절에는 투수와 포수로 뛰었으나 학창 시절 코치의 권유로 유격수를 시작하게 되었고, 대학 시절 내내 유격수로 뛰며 수비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대학 3학년이던 2019년에는 [[2019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아시아 선수권]] 엔트리에 뽑혀[* [[롯데 자이언츠]]의 지명을 받았던 [[최준용(야구선수)|최준용]], [[황성빈]]도 이 대회에 출장했다.] 태극마크를 달고 주전 유격수로 뛰기도 했다. 그러나 대회 첫 경기였던 중국과의 예선에서 연장 승부치기 끝에 끝내기 실책으로 시작부터 실타래를 꼬이게 만든데다 대회 내내 타격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http://www.baseballasia.org/BFA/include/index.php?Page=1-2-1&score01=2504967155d9a9c49dbd47|최종전이었던 3위 결정전을 제외한 나머지 경기들을 이곳에 있는 기록지로 다운받아 볼 수 있다.]]]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사실 이 대회가 엔트리 선정부터 논란이 많았던 데다 결정적으로 대학 야구의 암울한 현실을 그대로 보여주었기에 이주찬 혼자만의 잘못은 아니다.] === [[롯데 자이언츠]] 시절 === ==== 2021 시즌 ==== 3월 3일 [[상무 피닉스 야구단|상무]]와의 연습경기에서 5번타자 유격수로 출장해 4타수 1안타 3삼진을 기록했다. 참고로 키스톤은 같은 육성선수 신인인 [[최종은]]과 호흡을 맞췄다. 3월 16일 [[SSG 랜더스]] 2군과의 연습경기에서 홈런을 때려냈다. 5월 11일 정식 선수로 등록되었고 3일 뒤 14일 [[kt wiz]]전에 1군에 올라와 바로 9번 2루수로 선발 출장했다. 1군 등록 직전까지 퓨처스리그에서 거둔 성적은 22경기 63타수 15안타 5 2루타 2타점 2도루 2사사구 13볼넷 18삼진 타출장 0.238/0.380/0.317. 하지만 1군에서 이틀동안 6타수 무안타를 기록하고 말소되면서[* 이주찬이 말소된 자리에는 [[추재현]]이 대신 등록됐다.] 1군 첫 안타는 다음을 기약하게 됐다. 2군으로 다시 내려가서는 10경기 22타수 10안타 3 2루타 1 3루타 1타점 1도루 5볼넷 9삼진으로 맹타를 휘두르며 5월 일정을 모두 끝냈다. 6월 1일 [[삼성 라이온즈]]전에서 3타수 2안타 2득점 1볼넷 1사구로 4출루를 했다. 6월 4일 [[상무 피닉스 야구단|상무]]전에서 무안타로 침묵하며 연속 안타 기록이 끊어졌으나, 6월 5 ~ 6일 이틀 연속 안타를 기록하며 7타수 3안타 2 2루타 1득점 1볼넷을 기록해 타율이 3할대로 진입했고 OPS도 9할을 바라보고 있다. 1군 경험 후 2군에서 계속해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최종 퓨처스리그 성적은 87경기 268타수 73안타 1홈런 14도루 22타점 52득점 .272-.369-.369 OPS .738을 기록했다. 페넌트레이스 종료 후인 10월 28일 [[kt wiz]] 2군과의 교류전에서 5번타자 겸 3루수로 출장해 4회 만루홈런 포함 2안타 2볼넷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382&aid=0000941498|11월 30일에 현역으로 입대했다]]. 전역일은 2023년 5월 29일. ==== 2023 시즌 ==== 5월 29일에 전역한 후 6월 4일 군보류가 해제되며 정식 선수로 등록되었다. 등번호는 109번. 퓨처스리그에서만 출장하였다. 7월과 8월에는 다소 부진하였지만 9월에는 40타수 16안타 2홈런 8타점을 기록하면서 113타수 34안타 타율 .301 9 2루타 3홈런 18타점 5도루 11볼넷 4사구 34삼진을 기록하였다. == 플레이 스타일 ==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0209377&memberNo=1352526&navigationType=push|KUSF대학스포츠에서 취재한 이주찬의 플레이 스타일]] 타고난 수비 감각과 강견 등 유격수로서 필요한 모든 수비력을 갖추어 대학 시절 4년 내내 풀타임으로 유격수로 뛰다시피했다. 오버스로우로 송구를 많이 하는 편이며, 러닝스로우가 조금 약한 것이 단점이다. 타격에서는 당겨치기의 비중이 높은 편인데, 배트 스피드가 썩 빠른 편이 아닌데다 변화구 대처도 미흡하고, 시합에서 스윙이 대체로 커지는 경향이 있는 지라 아직 보완이 많이 필요한 상태다.[* 본인도 이를 잘 알고 있어 연습할 때 스윙을 짧게 가져가는 것을 반복적으로 한다고 한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7> {{{#fff 역대 기록}}} || || 연도 || 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볼넷 || 삼진 || 출루율 || 장타율 || sWAR || || 2021 ||<|2> [[롯데 자이언츠|롯데]] || 3 || 7 || .000 || 0 || 0 || 0 || 0 || 0 || 0 || 0 || 0 || 5 || .000 || .000 || -0.20 || || 2022 ||<-15> 군 복무([[현역병|현역]]) || ||<-2> '''[[KBO 리그|KBO]] 통산'''[br](1시즌) || 3 || 7 || .000 || 0 || 0 || 0 || 0 || 0 || 0 || 0 || 0 || 5 || .000 || .000 || -0.20 || == 여담 == * 해운대구 리틀 야구단 출신이다. * [[KBO 리그/2020년/신인드래프트|바로 이전 드래프트]]에서 [[LG 트윈스]]의 2라운드 지명을 받은 [[이주형(2001)|이주형]]의 친형이다. * 2019 시즌이 끝나고 육성선수로 뒤늦게 입단한 고등학교 맞선배 [[김민기(1996)|김민기]]와 한솥밥을 먹게 되었다.[* 하지만 [[김민기(1996)|김민기]]가 2020년 11월부터 군 복무 중이며, 이듬해인 2021년 11월부터는 이주찬이 군 복무에 들어가며 실질적으로 한솥밥을 먹게 될 시기는 조금 더 늦춰질 전망이다. 하지만 이주찬이 전역하기 전 김민기가 방출되며 실제로는 한솥밥을 먹지 못하게되었다.] * 롤 모델은 [[휴스턴 애스트로스]]의 [[카를로스 코레아]]라고 한다. 매 타석마다 항상 최선을 다하고 잘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롤 모델로 선정했다고 한다. * 이름이 [[김주찬]]과 같아 [[롯데 자이언츠 갤러리]]에선 '''짭주찬'''으로 불린다.[* 재미있게도 [[김주찬]] 역시 입단 당시엔 유격수였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롯데 자이언츠/선수단]]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98년 출생]][[분류:2021년 데뷔]][[분류:해운대구 출신 인물]][[분류:센텀중학교 출신]][[분류:경남고등학교 출신]][[분류:동의대학교 출신]][[분류:육군 출신]][[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롯데 자이언츠/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