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주 FC/간략)]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1 이준.jpg|width=100%]]}}} || ||<-2> '''{{{#4b3905 광주 FC No. 21}}}''' || ||<-2> '''{{{#ffffff {{{+1 이준}}}[br]李準 | Lee Jun}}}''' || || '''출생''' ||[[1997년]] [[7월 14일]] ([age(1997-07-14)]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신체''' ||188cm, 78kg || || '''포지션''' ||[[골키퍼]] || || '''등번호''' ||[[포항 스틸러스]] - 21번 [br] [[광주 FC]] - 21번 || || '''학력''' ||[[장산초등학교]] {{{-2 (졸업)}}}[br]창녕중학교 {{{-2 (졸업)}}}[br]창녕고등학교 {{{-2 (졸업)}}}[br][[연세대학교]] {{{-2 (학사)}}} || || '''소속 구단''' ||[[포항 스틸러스]] (2019~2021) [br] [[광주 FC]] (2022~ ) || || '''국가대표''' ||1경기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3]] / 2017)^^ || || '''SNS''' ||[[https://www.instagram.com/l_jun32/|[[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국적의 [[광주 FC]] 소속 축구선수 포지션은 [[골키퍼]] == 클럽 경력 == === [[포항 스틸러스]] === 창녕고등학교를 거쳐 [[연세대학교]] 축구부에서 활약한 이준은 [[FIFA U-20 월드컵 코리아 2017]]에 참가한 적이 있으며, [[2018년]] [[12월 26일]] 포항에 신인계약으로 입단하였다.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7434526&memberNo=31976482|#]] ==== [[포항 스틸러스/2021년|2021 시즌]] ==== 2021 시즌 중반에 서브 골키퍼 [[황인재]]가 [[김천 상무]]로 입대하면서, 잔여시즌동안 출전기회를 얻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있었다. 하지만 9월 경 [[강현무]]가 부상당하자 찾아온 찬스에서는 [[조성훈(축구선수)|조성훈]]에게 기회가 돌아가면서 2옵션 자리마저 내주는듯 했으나, 선발 출장한 두 경기에서 조성훈이 실점과 직결되는 대형사고를 여럿 저지르면서 결국 9월 29일의 [[K리그1]] 30라운드 순연경기 [[강원 FC]] 전부터 조성훈을 밀어내고 선발 명단에 포함되면서 프로 데뷔전을 가졌다. 강원과의 경기에서는 90분동안 몇번의 좋은 선방과 함께 추가시간까지 경기를 무실점으로 끌고갔는데... 후반 추가시간 2분, 강원의 코너킥 상황에서 흘러나온 공이 페널티 박스 바깥에서 느린 슈팅으로 연결된 것을 '''[[알까기(동음이의어)|가랑이 사이로 통과시키는]]''' 조성훈급 대형실수를 범하며 극장골을 내주고 말았다. 비로 인해 그라운드가 젖어 바운드가 다소 빠르게 튀긴 했지만, 기본적으로 자세가 너무 높았다는 점이 문제. --강현무 언제와-- --[[김정호(1998)|김정호]]: 내가 딱 저런 기분이었지-- 다만 그 전에 골대와 강하게 충돌한 적이 있었기 때문에, UCL 결승에서의 [[로리스 카리우스]]처럼 [[뇌진탕]]을 겪은게 아니냐는 말도 있다. [[파일:Honeycam 2021-09-29 20-49-39.gif]] 기가 막힌 실수였다. 10월 3일 리그 33라운드 [[광주 FC]] 원정에서 다시 선발출장했는데, 다행히 지난 경기처럼 경기 내내 안정적인 모습과 좋은 선방을 몇 차례 보여주었고, 큰 실수도 하지 않았다. 팀은 2:3으로 승리했다. 그리고 광주전 이후 강현무가 결국 수술대에 오르면서 시즌 아웃 되어버리는 바람에 남은 시즌은 이준, 조성훈 2명이 맡게 되었다. 10월 17일 [[AFC 챔피언스 리그]] 8강 단판전 [[나고야 그램퍼스]]경기에서 전반 34분 결정적인 선방을 비롯해 여러번의 슈퍼세이브로 팀의 3 : 0 무실점 승리와 함께 4강에 진출하였다. 특히 이 날 후반 그랜트와의 충돌 이후에도 끝까지 공을 따라가 잡는 정신력을 보여주는 등 강현무의 공백을 말끔히 지울 정도로 대활약하며 [[아시아 축구 연맹]] 선정 ACL 8강 베스트 11에도 선정되었다. 프로 통산 첫 클린시트는 덤. [[파일:포항 vs 나고야 8강전.gif]] 이어진 10월 20일의 [[AFC 챔피언스 리그]] 4강 [[울산 현대]]전에서도 선발로 나섰다. 비록 52분에 [[윤빛가람]]의 낮은 크로스 처리에 실패해 [[윤일록]]에게 선제골을 내줬으나, 이후 윤일록과 1:1을 막아내며 추가 실점을 막으며 그 외엔 전체적으로 좋은 선방 실력을 뽐냈다. 경기는 1:1로 승부차기까지 접어들었는데, 비록 직접 선방해낸건 없었으나 [[불투이스]]의 실축으로 포항이 4:5로 승리하며 결승 진출에 성공했다. 10월 24일 리그 33라운드 최종전 [[인천 유나이티드]]하고 홈경기에서 선발출장하였다. 인천의 선방을 잘막아냈으나 [[알렉스 그랜트]]의 자책골로 팀은 0 : 1 패배와 하위스플릿으로 떨어졌다. 10월 30일 리그 34라운드 [[성남 FC]] 원정, 전반 44분 코너킥 상황에서 [[최지묵]]에게 헤더골을 내주면서 팀은 1:0으로 패배하였다. 11월 3일 리그 35라운드 [[강원 FC]]와의 홈경기에서도 여러번의 선방을 뽐내며 K리그 데뷔 첫 첫 클린시트와 4:0 승리를 한번에 챙겨왔다. 11월 7일 리그 36라운드 [[광주 FC]]전에서는 전반 추가시간 2분에 [[알렉산다르 안드레예비치|알렉스]]가 때린 대포알같은 중거리 슛을 막으려 점프했으나...하필 공이 위쪽 크로스바를 맞은 뒤 이준의 등에 재차 튕기며 골문으로 들어가 불가피한 자책골이 되어버렸다. 후반 추가시간 4분에는 [[엄원상]]의 돌파를 저지하는 과정에서 무리한 파울을 범하며 퇴장당하며, 리그 첫 시즌을 마무리했다. 11월 23일 [[AFC 챔피언스 리그]] 결승 [[알 힐랄 FC]] 전에서 선발출전했으나, FC포르투 출신 [[무사 마레가]] 등에 두 골을 먹히고 팀은 2:0으로 패배하며 준우승에 만족해야했다. 리그에서 최종기록은 6경기 7실점 1클린시트 ACL 경기까지 포함하면 9경기 10실점 2클린시트. 2022년 1월 5일 임대서 복귀한 [[하승운]]과 함께 [[K리그2]] [[광주 FC]]로 트레이드 이적한다는 단독보도가 나왔다. 광주의 트레이드 선수는 [[윤평국]]선수다. === [[광주 FC]] === 2022년 1월 10일 광주는 이준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 등번호는 포항에서 사용한 21번. ==== [[광주 FC/2022년|2022 시즌]] ==== [[김경민(1991)|김경민]]의 부상으로 인해 7월 27일 29라운드 [[부산 아이파크]]와의 원정 경기에 시즌 첫 선발로 출장했다. 광주의 2:0 승리를 도왔다. 41라운드 [[안산 그리너스 FC]]와의 홈경기에 [[김경민(1991)|김경민]]의 신장 파열 부상으로 인해 선발로 출장했고 광주는 3:0으로 승리했다. 42라운드 [[대전 하나 시티즌]]와의 원정 경기에 선발 출장해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시즌 마지막 홈경기인 10월 9일 43라운드 [[경남 FC]]전에서 전반 36분 [[치아구 페레이라 다시우바|티아고]]의 패스를 받은 [[박민서(축구선수)|박민서]]와의 1:1 볼 경합에서 잘 막아내는 등의 스위퍼 키퍼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 [[광주 FC/2023년|2023 시즌]] ==== [[FA컵(대한민국)/2023년|FA컵]] 3라운드 경기에 선발로 출장했다. 광주는 2:1로 승리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광주가 첫 골을 넣고 나서 계속해서 내려서며 수비적으로 경기에 나선 탓에 부산 선수단의 공격 세례를 거의 홀로 견뎌야 했다. 수없이 선방하며 수많은 슛을 막은 덕에 대량 실점의 위기에서 벗어났다. 광주 선수단의 다소 아쉬운 경기력 속에서도 매우 빛났다. 5월 10일 [[FC 서울]]와의 원정경기에서 선발로 출장해 끝까지 골문을 지켰다. 광주 선수단이 전체적으로 아쉬운 경기력을 보인 가운데 세 골을 허용했다. 15라운드 [[수원 FC]]와의 원정경기에서 광주FC의 주전 골키퍼인[[김경민]]이 부상을 당하면서 교체출장 하였고 여러번의 선방끝에 클린시트로 마무리 지으며 팀의 2:0 승리에 기여하였다. 16라운드 [[포항 스틸러스]]와의 홈경기에서 선발 출전하여 2골을 허용했지만 후반전에 뒷심을 발휘한 덕분에 팀은 4:2로 승리했다. 광주 FC 창단 이래 포항 스틸러스와의 홈경기 첫 승이다. 17라운드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의 홈경기에서 선발 출전하여 초반 40분 [[안병준]]에게 득점을 허용하며 끌려갔으나 [[토마스]]의 멀티골, 그리고 여러 위협적인 상황에서 안정적인 선방으로 팀은 2:1로 역전승하였다[* 광주FC 창단이래 수원삼성블루윙즈와의 홈경기 첫승리] 19라운드 [[전북 현대]]와의 홈경기에서 선발 출전하여 전,후반 매우 위협적인 장면에서 안정적인 선방으로 전북현대의 공격수들의 전의를 상실 시켰으며 특히 [[구스타보]]가 골문 바로 앞에서 위협적인 헤더를 때렸으나 이걸 선방해내면서 후반전에 골 점유율에서 밀리던 광주FC의로의 분위기를 쇄신 시켰다 경기는 클린시트로 마무리 지으며 2:0으로 승리하였다[* 전북현대모터스와의 경기에서 6년만에 승리] 32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전에서는 경기 직전 김경민이 자녀상으로 결장하면서 오랜만에 출전했다. 34라운드 [[울산 현대]]와의 홈경기에서 울산의 공격을 여러차레 선방하면서 팀의 1:0 무실점 승리에 기여했다. === 통산 클럽 기록 === 2023년 11월 20일 기준 ||<|2> '''{{{#fff 시즌}}}''' ||<|2> '''{{{#fff 소속 리그}}}''' ||<|2> '''{{{#fff 구단}}}''' ||<-3> '''{{{#fff 리그}}}''' ||<-3> '''{{{#fff FA컵}}}''' ||<-3> '''{{{#fff 대륙 대회}}}''' ||<-3> '''{{{#fff 합계}}}''' || || {{{#fff 경기}}} || {{{#fff 실점}}} || {{{#fff 무실점}}} || {{{#fff 경기}}} || {{{#fff 실점}}} || {{{#fff 무실점}}} || {{{#fff 경기}}} || {{{#fff 실점}}} || {{{#fff 무실점}}} || '''{{{#fff 경기}}}''' || '''{{{#fff 실점}}}''' || '''{{{#fff 무실점}}}''' || || '''2019''' || '''[[K리그1]]''' || '''[[포항 스틸러스]]'''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0''' || '''[[K리그1]]''' || '''[[포항 스틸러스]]'''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1''' || '''[[K리그1]]''' || '''[[포항 스틸러스]]''' || 6 || 7 || 1 || - || - || - || 3 || 3 || 1 || '''1''' || '''1''' || '''-''' || ||<-3> '''{{{#fff 합계}}}''' || '''{{{#fff 1}}}''' || '''{{{#fff 1}}}''' || '''{{{#fff -}}}''' || '''{{{#fff -}}}''' || '''{{{#fff -}}}''' || '''{{{#fff -}}}''' || '''{{{#fff -}}}''' || '''{{{#fff -}}}''' || '''{{{#fff -}}}''' || '''{{{#fff 1}}}''' || '''{{{#fff 1}}}''' || '''{{{#fff -}}}''' || * [[http://portal.kleague.com/common/search/popUpPlayerDetail.do?playerDetailInfo=20190116|[[파일:K리그1 로고.svg|width=20]] 이준 K리그 기록]] – [[한국프로축구연맹]] DB == 플레이 스타일 == 189cm의 좋은 체격 조건을 바탕으로 민첩성과 순발력이 뛰어난 골키퍼이다. 활동 반경이 넓고 1:1 방어에도 능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빌드업 능력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령별 대표를 두루 거치며 경기 경험이 풍부한 것도 강점으로 꼽힌다. 다만 킥 면에서는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 건지, 데뷔전에서 골킥이 주어졌을 때 거의 다 동료 센터백들이 킥을 처리했다. 그래도 2019년에 입단해 오랫동안 2군을 전전하다가 2021년이 되어서야 프로 데뷔전을 가진 늦깎이 신인 골키퍼인만큼 발전할 여지는 있을 듯하다. 마침 강현무가 2022 시즌 이후 군 입대든 공익 근무든 포항을 떠나는 것이 예정된 상황이라 [[신화용]]의 예상치 못한 이적 이후 강현무가 K리그 정상급 골리로 자리를 꿰찬 것처럼 이준 역시 강현무의 공백을 자신을 기회로 만들 수 있을지 관건이었다. 광주에서는 FA컵이나 주전 골키퍼 김경민의 부재 시에만 나서고 있는데 나와서도 준수한 활약을 펼치고 있다. 우선 2번 골키퍼로서의 입지는 단단히 다진 상태다. == 대회 기록 == * [[광주 FC]] * [[K리그2]]: 2022 == 여담 == * 인터뷰에 따르면 프로 데뷔 전에는 대학교 선배인 [[김동준(축구선수)|김동준]]이 자신의 롤 모델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프로 데뷔 이후에는 포항 선배인 [[강현무]]로 변했다. * [[송범근]]과 함께 [[2017 FIFA U-20 월드컵 코리아]]에 참가했다. [[AFC 챔피언스 리그/2021년|2021 ACL]] 동아시아 지역 8강전, 4강전이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렸는데 공교롭게도 [[전북 현대 모터스]]의 홈구장이었다. 만약 8강전 [[현대가 더비]]에서 전북이 승리했다면 4강전은 자연스럽게 이준 VS 송범근의 구도가 됐을 것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광주 FC)] [include(틀: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명단(2017 U-20 코리아 월드컵))] [[분류:1997년 출생]][[분류:창녕고등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골키퍼]][[분류:포항 스틸러스/은퇴, 이적]][[분류:광주 FC/현역]][[분류:대한민국의 FIFA U-20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17 FIFA U-20 월드컵 코리아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