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t wiz/간략(코칭스태프))] || '''{{{#fff 이준수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KIA 타이거즈|{{{#fff KIA 타이거즈}}}]] 등번호 54번}}}''' || || [[이정상]][br](2003~2006) || {{{+1 →}}} || '''{{{#f01e23 이준수[br](2007~2008)}}}''' || {{{+1 →}}} || [[양현종]][br](2009~2020) || ||<-5> '''[[한화 이글스|{{{#fff 한화 이글스}}}]] {{{#fff 등번호 42번}}}''' || || [[나성용]][br](2011) || {{{+1 →}}} || '''이준수[br](2012~2013)''' || {{{+1 →}}} || [[윤승열]][br](2014) || ||<-5> '''[[한화 이글스|{{{#fff 한화 이글스}}}]] {{{#fff 등번호 12번}}}''' || || [[최승환(야구)|최승환]][br](2012~2013) || {{{+1 →}}} || '''이준수[br](2014)''' || {{{+1 →}}} || [[이동걸]][br](2015~2018.5.23.) || ||<-5> '''[[한화 이글스|{{{#fff 한화 이글스}}}]] {{{#fff 등번호 32번}}}''' || || [[이동걸]][br](2014) || {{{+1 →}}} || '''이준수[br](2015)''' || {{{+1 →}}} || [[차일목]][br](2016~2017) || ||<-5> '''[[한화 이글스|{{{#fff 한화 이글스}}}]] {{{#fff 등번호 54번}}}''' || || [[최영환]][br](2015) || {{{+1 →}}} || '''이준수[br](2016)''' || {{{+1 →}}} || [[서균]][br](2017~2021) || ||<-5> '''[[kt wiz|{{{#fff kt wiz}}}]] {{{#fff 등번호 97번}}}''' || || 김랑훈[br](2015~2016) || {{{+1 →}}} || '''이준수[br](2017)''' || {{{+1 →}}} || [[박주현(1999)|박주현]][br](2019) || ||<-5> '''[[kt wiz|{{{#fff kt wiz}}}]] {{{#fff 등번호 42번}}}''' || || [[홍성무]][br](2015~2017) || {{{+1 →}}} || '''이준수[br](2018~2020.7.7.)''' || {{{+1 →}}} || [[조대현(1999)|조대현]][br](2020.7.~) || ||<-5> '''[[kt wiz|{{{#fff kt wiz}}}]] {{{#fff 등번호 79번}}}''' || || [[최영필]][br](2018~2022) || {{{+1 →}}} || '''이준수[br](2023~)''' || {{{+1 →}}} || 현역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twizljs2018.jpg|width=100%]]}}} || ||<-2> '''kt wiz No.79''' || ||<-2> '''{{{+2 이준수}}}[br]李俊秀 | Jun-Soo Lee''' || ||<|2> '''출생''' ||[[1988년]] [[6월 17일]] ([age(1988-06-17)]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백운초 - [[신일중학교(서울)|신일중]] - [[신일고등학교 야구부|신일고]] || || '''포지션''' ||[[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07년 [[육성선수|신고선수]] ([[KIA 타이거즈|KIA]]) || || '''소속팀''' ||[[KIA 타이거즈]] (2007~2008) [br] [[한화 이글스]] (2012~2016) [br] [[kt wiz]] (2017~2020) || || '''지도자''' ||[[kt wiz]] 육성군 배터리코치 (2023~)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재개그|"이준수요? 준수하지요."]]''' - [[김진욱(1960)|김진욱]] [[kt wiz]] 감독이 2018년 4월 26일 경기에서 이준수가 kt의 선발 라인업에 이름을 올린 것에 대해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076&aid=0003248331|내놓은 평.]] 전 [[KIA 타이거즈]], [[한화 이글스]], [[kt wiz]]의 [[포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신일고 시절부터 촉망받는 포수였다. 2006년 세계청소년야구선수권 대회에서도 팀의 주축 포수로 맹활약하면서 [[대한민국]] 청소년 대표팀의 우승에 기여했다. 하지만 청소년 대표팀 시절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정작 [[드래프트]]에서는 체구가 작은 탓인지 어느 팀에도 지명받지 못하면서 [[KIA 타이거즈]]에 신고선수로 입단했다. === [[KIA 타이거즈]] === 신고선수 신분으로 2년을 뛰었지만 1군 무대에는 한 경기도 출장하지 못했고, 별 다른 활약 없이 2008년 방출되었다. 여담으로 KIA 시절 달았던 54번은 동기였던 양현종이 가져갔고, 이 번호가 양현종의 상징이 되었다. 자세한 것은 후술. === [[한화 이글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g.khan.co.kr/l_2012051601001703200162691.jpg|width=100%]]}}} || [[두산 베어스]]를 상대로 데뷔 첫 타석에서 첫 안타를 치며 역전승에 기여했던 순간의 사진이다. ==== 2012 시즌 ==== KIA에서 방출된 뒤 [[경찰 야구단]] 입대를 타진했지만 불합격하면서 결국 현역으로 입대해 군 문제를 해결한 후, 입단 테스트를 거쳐 2012 시즌부터 [[한화 이글스]]에서 뛰게 되었다. 신고선수로는 유일하게 스프링캠프에도 다녀왔을 정도로 코치진의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는 선수. 그래서 스캠 명단이 공개됐을 때 "이준수가 대체 누구야?"라고 반응한 [[한화 이글스]] 팬들이 적지 않았다. 이후 5월에 처음 1군에 올라왔는데, 5월 16일 잠실에서 열린 [[두산 베어스]]와의 경기에서 4:4 동점이던 8회초 2사 2, 3루에서 프로 데뷔 첫 안타를 '''데뷔 첫 타석에서''' 치면서 역전 2타점을 기록,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이 경기는 마침 구단주인 [[김승연]] 회장이 직관한 경기라서 일약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이 경기 이후, 1군과 2군을 오가면서 백업 포수로 뛰는 중. 생각보다 수비력이 나쁜 편은 아니다. 물론 아주 최고라고 말하기도 어렵지만, 포수 포지션이 약한 한화 입장에서 그럭저럭 쓸만한 기량을 보여주는 것도 사실이다. [[김정준]] 해설위원은 한화 포수들 중에서 가장 기본기가 탄탄하다면서 높게 평가했다. 9월 1일에는 [[데니 바티스타]]의 공에 귀를 맞아서 30바늘이나 꿰메는 부상을 당했지만, 다행히 엔트리 말소 없이 경기에 계속 나왔다. 특히 [[데니 바티스타]]와 호흡을 맞췄을 때 성적이 좋은 편이다. ==== 2013 시즌 ==== 1군에서 2경기 출장에 그친 채 2군으로 내려가 있었다. 그 동안 퓨처스리그 11경기에 출장해 타율 3할 9푼 14타점으로 활약했고, 4월 25일자로 [[한승택]]을 대신해 1군에 콜업되었다. 시즌 초반 이후 항목이 수정이 되지 않을 정도로 잊혔다. 간간히 나오긴 했지만 그렇게까지 좋지는 못했던 것이 원인인 듯. 일단 성적은 47경기 타율 0.200, 13안타 6타점 3볼넷 21삼진을 기록했다. ==== 2014 시즌 ==== 시즌전 2월 오키나와 전지훈련에 포함되었다. 5월 21일에 [[김민수(1991년 3월)|김민수]]를 대신해서 콜업되었는데, 부상 때문에 몸 상태가 [[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100&g_serial=823233&rrf=nv|영 아니라고 한다.]] 22일 경기는 [[정범모]]와 마스크를 나눠 썼고, 25일 경기에선 볼넷으로 출루하는 등 부상 치고는 그래도 비교적 문제는 없던 편. 그러나 며칠 안 돼서 5월 26일자 기사로 도로 2군행이 알려졌다. 콜업할 때부터 부상 탓에 연습에 들어간지 10일 정도밖에 안 됐지만 당장 쓸 포수가 없어서 임시로 콜업한 거라고([[http://www.mydaily.co.kr/new_yk/html/read.php?newsid=201405211742222229&ext=na|#]]) 밝혔으니 [[http://osen.mt.co.kr/article/G1109860805|당연한 수순으로 보인다.]] 대신 [[엄태용]]이 콜업되었다. 시즌 후 10월 미야자키 교육리그 명단에 포함되었다. ==== 2015 시즌 ==== 시즌 초 고치 교육리그 명단에 포함되었다. 2월 경에 올라온 기사에 따르면 팔꿈치 수술이 [[http://osen.mt.co.kr/article/G1110074598|결정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이게 재수술이라는 언급이 된 [[http://www.xportsnews.com/jsports/?ac=article_view&entry_id=601433&_REFERER=http%3A%2F%2Fnews.search.naver.com%2Fsearch.naver%3Fsm%3Dtab_hty.top%26where%3Dnews%26ie%3Dutf8%26query%3D%25ED%2595%259C%25ED%2599%2594%2B%25EC%259D%25B4%25EC%25A4%2580%25EC%2588%2598|기사가 있다.]] 아무래도 2014년의 부상 부위가 팔꿈치였던듯 싶으며, 5월 20일쯤에 훈련 들어간지 10일밖에 안 됐다고 언급된걸 봐선 팔꿈치 수술 재활이 보통 2~4개월쯤 걸리니[* 다만 이것도 [[토미 존 수술]]이 아닐 경우 한정이다. 토미 존 서저리면 이 정도로는 무리다. 똑같이 토미 존 서저리를 받았던 [[배영수]]도 1년만에 공 다시 잡았다가 끊임없이 '서두르는 바람에 기복이 생겼다'는 말을 듣는걸 보면... 기간상 뼛조각 제거 수술같은이었을 확률이 높다.] 2014년 1~3월 전후에 수술을 이미 했던 것 같다. 이후 잘 재활하고 있었는지 10월 마무리캠프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 2016 시즌 ==== [[등번호]]가 바뀌었는데, [[KIA 타이거즈]]에서 방출되기 전의 54번을 근 10년 만에 다시 달게 되었다. 그러나 1군에 등록되지 못한 채 시즌을 끝냈고, 시즌 후 소리소문없이 한화를 떠났다. === [[kt wiz]] === 2017년 1월에 입단 테스트를 통해 [[kt wiz]]로 이적했음이 밝혀졌다.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109&aid=0003459650&redirect=true|#]] ==== 2017 시즌 ==== [[장성우]]와 [[이해창(1987)|이해창]]이 주전 포수 마스크를 썼고, 백업 포수로도 [[윤요섭]]과 [[김만수(야구선수)|김만수]]가 주로 나서면서 시즌 내내 1군으로 올라오지는 못했다. ==== 2018 시즌 ==== 여전히 입지는 좁은 상황이지만, 같은 백업 포수였던 [[윤요섭]]이 2017 시즌이 끝난 후 은퇴했고, [[장성우]]도 [[장성우 사생활 폭로 사건]]이후로는 [[영 좋지 않은]] 모습을 보였기 때문에 2018년부터는 1군에서도 활약할 여지가 조금 더 생겼다. 그러나 작년부터 사실상 주전 포수로 낙점된 [[이해창(1987)|이해창]]을 넘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이 때문에 실질적인 경쟁 상대는 기량이 눈에 띄게 떨어진 [[장성우]]와 소집해제 후 돌아온 [[안승한]], 아직 1군 경험이 부족한 [[김만수(야구선수)|김만수]]가 될 가능성이 높다. [[등번호]]도 비교적 앞자리인 42번으로 바뀌었다. 2월 24일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 연합팀과의 스프링캠프 평가전에서 8번 타자 포수로 출전하며 kt 팬들에게 이름을 알렸다. 그러나 개막전 엔트리에는 이름을 올리지 못하면서 시즌의 시작은 [[퓨처스리그]]에서 하게 되었다. 4월 18일 콜업되고 그날 대수비로 출장하여 4년 만에 1군 경기를 뛰었다. 그러나 타석에는 서지 못하고 대타 [[이진영]]으로 교체. 4월 20일 시즌 첫 안타이자 5년 만의 안타를 쳤다. 현재 [[이해창(1987)|이해창]]의 땜빵이라서 리그를 폭격하지 않는 한 2~3주 정도 뛰고 2군에 갈 것으로 보인다. 단 남아있는 [[장성우]]의 컨디션도 썩 좋은 편은 아니라 오히려 이준수가 남고 장성우가 2군에 내려갈 가능성도 있다.[* 게다가 장성우는 [[장성우 사생활 폭로 사건]] 이후로는 팬들의 지지도 많이 잃었다.] 일단은 장성우와 이준수의 로테이션으로 진행되는 중. 4월 21일 1타수 무안타를 기록했다. 4월 26일 [[롯데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 선발 포수로 출장,[* kt 이적 후 처음으로 선발로 출장했으며, 이준수 개인에게는 무려 '''1432일'''만의 선발 출장이다.] 4회 말의 희생 [[번트]]로 선행 주자들의 진루를 도우며 팀의 5대2 승리에 기여했다. 또 투수 [[고영표]]와도 좋은 궁합을 보이면서 고영표의 개인 통산 3번째 완투승에도 공헌했다. 그러나 5월부터 이해창이 1군에 복귀하면서 다시 말소되었다가, 후반기부터 1군에 복귀하여 중후반 대수비로 가끔씩 출장했다. ==== 2019 시즌 ==== 퓨처스리그에서 시즌을 시작했다가 장성우가 부상으로 4월 27일 엔트리에서 말소되면서 대신 올라왔다. 27일 경기에서는 7회에 교체 출장했고 28일 경기에서는 선발 라인업에 들어가 이 날 1군으로 복귀한 신일고 1년 후배 [[이대은]]과 호흡을 맞췄다.[* 참고로 둘은 고교 시절에 공식 대회에서 배터리를 이룬 적이 없었다. 이대은이 1, 2학년 내내 기록이 없었기 때문.] 이후 이해창이 2군으로 내려간 사이에 기회를 잡아 장성우와 함께 로테이션으로 출장하고 있다가, 후반기부터 [[안승한]]이 [[윌리엄 쿠에바스]]의 전담 포수로 낙점되면서 2군으로 내려갔다가 확장 엔트리를 통해 다시 1군에 합류했다. ==== 2020 시즌 ==== 1군은 물론 퓨처스리그 출전조차 없다가 7월 8일 [[웨이버 공시]]되었다. == 지도자 경력 == kt의 2022 시즌 후 마무리 캠프 영상에서 코치로 자막이 나온 것이 확인된 것으로 보아, 코치 계약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코칭스태프 발표로 육성군 배터리코치를 맡게 되었다는 소식이 나왔다. == 플레이 스타일 == 기본적으로 타격에 어느 정도 재능이 있었으며 경력을 생각해 보았을 때 [[투수 리드]]나 수비력은 그럭저럭 괜찮은 편으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이준수가 메인 포수가 되는 데 가장 문제가 되는 점이 바로 송구 능력인데, 2013년 기준으로 8개구단 포수 중에 최악의 물어깨를 가졌다. 코칭스태프도 언론 인터뷰에서 이준수가 어깨가 약하다고 시인을 할 정도였다. 어느 정도냐면 피치 아웃을 하고 3루 도루도 못 저지할 정도였고 2루쪽은 롱택이 안 되어서 원바운드로 송구할 정도였다. 한마디로 송구 능력은 [[심광호]]의 재림이라고 할 수 있겠다. 팬들이 [[조경택]] 배터리 코치가 원바운드 송구를 가르친다고 비꼴 정도였는데, 후반기 들어서는 2013년 9월 들어 노바운드 송구로 [[이용규]]의 도루를 저지하는 등 도루 저지를 자주 성공하면서 도루 저지에서도 가능성을 보였다. 그러나 이 노바운드 송구 탓인지 2014년과 2015년을 통째로 팔꿈치 수술로 날려먹었고, 그나마 잠깐이라도 보였던 2014년과는 달리 2015년에는 아예 1군 출장 기록이 없다. 다른 원인이 된 팔꿈치 부상일 수도 있기는 하나 원바운드 송구를 해야 할 정도로 소녀 어깨였던 이준수가 갑자기 9월 한달 반짝[* 사실 반짝이라고 하긴 좀 억울한 감도 있는데 2013년은 유달리 포수들이 많이 번갈아가며 마스크를 쓰던 때라 누구 하나를 길게 볼 수가 없기도 했다. 하지만 2013년 9월 한달동안 도루저지포가 불을 뿜더니 2014년 2~3월쯤에 갑자기 팔꿈치 수술을 했다고 하면 기간 상 아무래도 연관을 안 짓기가 좀 어렵기도 하다.] 각성 모드였던 걸 생각하면 팔꿈치를 갈아서 얻어냈을 가능성도 개연성이 없지는 않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5> {{{#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 2007 ||<|2> [[KIA 타이거즈|KIA]] ||<-13><|2> 1군 기록 없음 || || 2008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 2012 ||<|5> [[한화 이글스|한화]] || 37 || 39 || .154 || 6 || 1 || 0 || 0 || 2 || 1 || 0 || 4 || .179 || .233 || || 2013 || 47 || 65 || .200 || 13 || 3 || 0 || 0 || 6 || 6 || 0 || 6 || .246 || .264 || || 2014 || 3 || 0 || .000 || 0 || 0 || 0 || 0 || 0 || 0 || 0 || 1 || .000 || 1.000 || || 2015 ||<-13><|2> 1군 기록 없음 || || 2016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 2017 ||<|4> [[kt wiz|kt]] ||<-13> 1군 기록 없음 || || 2018 || 11 || 8 || .250 || 2 || 0 || 0 || 0 || 1 || 0 || 0 || 1 || .250 || 0.333 || || 2019 || 32 || 36 || .194 || 7 || 1 || 0 || 0 || 3 || 3 || 0 || 9 || .370 || .222 || || 2020 ||<-13> 1군 기록 없음 || ||<-2> '''[[KBO 리그|KBO]] 통산'''[br](5시즌) || 130 || 148 || .189 || 28 || 5 || 0 || 0 || 12 || 10 || 0 || 17 || .292 || .223 || == 여담 == * KIA에서는 큰 족적을 남기지 못하고 방출됐지만, 대신 [[양현종]]이 친구의 몫까지 뛰겠다고 등번호를 54번으로 바꿨다는 에피소드로 유명했다. 그리고 양현종은 KIA의 새로운 [[프랜차이즈 스타]]로 자리잡으며 친구의 몫까지 아주 착실하게 뛰고 있으니 본인도 대투수의 친구로서 나름 존재감을 남겼다고도 볼 수 있겠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준수, version=72)]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88년 출생]][[분류:2012년 데뷔]][[분류:2020년 은퇴]][[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신일고등학교 출신]][[분류:포수]][[분류:우투우타]][[분류:해태-KIA 타이거즈/은퇴, 이적]][[분류:빙그레-한화 이글스/은퇴, 이적]][[분류:kt wiz/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