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남 FC/간략)]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8. 이준재.png|width=100%]]}}}|| ||<-2> '''{{{#ffffff 경남 FC No.18 }}}''' || ||<-2> '''{{{#fdb813 {{{+1 이준재}}}}}}''' [br] '''{{{#fdb813 {{{-2 (Lee Jun-jae)}}}}}}''' || || '''생년월일''' ||[[2003년]] [[7월 14일]] ([age(2003-07-14)]세) || || ''' 출신지 '''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s-4|내서읍 호계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포지션''' ||[[라이트백]] || || '''신체''' ||180cm, 67kg || || '''유소년''' ||'''[[경남 FC]] (2015, 2016~2021)''' || || '''소속 구단''' ||[[경남 FC]] (2022~ ) || || '''등번호''' ||18번 || || '''MBTI''' ||[[ISFJ]] || || '''링크''' ||[[https://www.instagram.com/juns___le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 '''국가대표'''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25]]]] 7경기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0]] / 2022~)^^ || ||<-2> '''정보 더 보기'''[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역대 등번호'''}}}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대표팀]] - 13번[* [[2023 AFC U-20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U-20 대표팀]])][br][[경남 FC]] - 29번[* 2022], 18번[* 2023~] || || '''학력''' ||마산호계중학교 {{{-2 (전학)}}}[br]군북중학교 {{{-2 (졸업)}}}[br][[진주고등학교]] {{{-2 (졸업)}}}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경남 FC]] 소속. > '''[[경남 FC]] 구단 역대 최초 U-12, U-15, U-18 팀을 모두 거친 순수 [[로컬 보이]]''' == 선수 경력 == === [[경남 FC]] === 초등학교 때 축구를 시작하고 [[경남 FC]] U-12에서 축구를 배웠다. 하지만 당시에는 실력이 늘지 않아 축구부가 있는 학교에 진학하기 어려웠고 부모님과 상의하고 축구부가 없는 집 근처 마산호계중학교에 진학했다. 그러다 10개월 만에 경남 FC U-15 구단인 군북중학교로 전학에 성공했는데 축구를 쉬는 동안에도 실력부족을 보완하려고 스스로 체력운동, 기본기 연습, 웨이트 트레이닝을 꾸준히 했다고 한다. [[파일:afa4277d58f19b65ab0d30d6e79fbf11.jpg|width=600]] [[진주고등학교]] 입학 직후 종아리 피로 골절로 1학년 여름방학까지 운동을 쉬기도 했지만 노력으로 극복했다. 이후 2학년 진학 후 [[조정현(1969)|조정현]] 감독의 조언을 받아 윙어였던 포지션을 점차 측면 수비수로 변경했고 3학년엔 아예 풀백으로만 나서며 주장으로서 두각을 보였다. 그리고 2021년 10월 25일, [[우선 지명]]을 받으며 동기 [[김태윤(2003)|김태윤]], [[이찬욱]]과 함께 정식 프로 계약을 채결하며 초등학교 시절부터 몸담던 경남 1군에 합류했다. ==== [[경남 FC/2022년|2022 시즌]] ==== 지난 시즌 임대생으로 좋은 활약을 보였던 [[김주환(축구선수)|김주환]]이 떠나고 남은 등번호 29번을 배정받았다. 2월 20일 [[서울 이랜드 FC]]하고 밀양 홈경기에서 [[K리그2]] 데뷔전을 가졌고 무난한 활약을 해주었지만 팀은 0 : 1 패배하였다. [[부산 아이파크]] 와의 [[낙동강 더비(축구)|낙동강 더비]]에서는 빠른 스피드를 기반으로 한 공격적인 플레이를 보여주었고 팀은 3 : 2로 역전승을 거뒀다. [[FC 안양]]과의 원정 경기에서도 부산전에서의 공격적인 플레이를 이어갔으며 팀은 3:2 역전승을 거뒀다. 5월 3일 [[안산 그리너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교체 출장하며, 공격적인 플레이를 보여줬으며 팀은 3:2 역전승을 거뒀다. 5월 14일 [[대전 하나 시티즌]]과의 진주 홈 경기에서 선발 출장했으며, 후반전 [[이광진]]의 절묘한 패스를 받은 뒤, 어려운 각도에서 프로 데뷔골이 터져 팀을 1:1 무승부로 이끌었다. 또 수비에 열심히 가담해주면서 Man of the Match에 선정되었다. 이를 통해 기존 [[윤일록]]의 '''구단 역대 최연소 득점 기록'''을 새롭게 썼다. 그런데 갑자기 6월 28일 모 소식통에 의해서, 그리스의 강호이자 유럽 내에서도 명문 클럽으로 통하는 [[올림피아코스]]의 오퍼를 받았다는 설이 나왔다. 그러나 K리그에 잔류하였고 올림피아코스는 풀백으로 [[시메 브르살코]] 등을 영입했다. 8월 8일 [[FC 안양]]과의 창원 홈 경기에 하프타임 때 [[김지운(1990)|김지운]]과 교체출장했으며, 0 : 1로 뒤지던 상대 공격 상황에서 [[김동진]]의 크로스를 막아내려 발을 뻗은 상황에서 공이 또 골대를 향하며 어이없게도 자책골을 기록하고 말았다(...) 젊은 선수이기에 그럴 수도 있다고 볼 수 있겠지만 자신의 자책골이 아니었다면 극장골이 나왔더라도 무승부로 끝이었을 경기를 지고 말았다. 8월 14일 [[김포 FC]]와의 원정 경기에 선발출장했으며, [[치아구 페레이라 다시우바|티아고]]에게 헤더골을 돕는 크로스를 올려 이어져 프로 데뷔 도움을 기록하게 되었다. U-22룰의 혜택을 받아 공고하던 박광일을 밀어내고 주전으로 나서고 있다. [[우주성]]이 부상 복귀한 이후에도 우주성과 로테이션으로 나오면서 많은 기회를 받았다. 2022시즌 경남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 플레이오프를 합쳐 도합 32경기 1골 1도움. ==== [[경남 FC/2023년|2023 시즌]] ==== 지난 시즌에 배번 받은 29번에서 18번으로 바뀌었다. [[김은중호]] 소집으로 인해 3월 리그에서는 결장했고, U-20 소집을 마친 FA컵 2라운드 [[강릉시민축구단]] 원정경기에서부터 출전하기 시작했다. [[파일:NRFWIZ2BG3KG5MYPUOI5RLY45E.jpg|width=600]] 5R [[김천 상무]]와의 원정경기에 카스트로와 교체출전했다. 첫 미드필더 출전. 경기의 막바지, 팀 동료에게 받은 패스를 잘 이어가서, 패널티박스 내에서 골키퍼의 세이빙보다 높은 위치로 슈팅을 넣어 시즌 첫 골을 기록했다. FA컵 3라운드 [[시흥시민축구단]] 홈 경기에 선발로 출전했으나, 수비 상황에서 넘어질 때 허리를 삐끗해 전반전 끝나갈 무렵 [[김종필(1992)|김종필]]과 교체되었다. 메디컬 리포트를 통해 휴식후 안전히 훈련에 복귀했음을 알렸다. [[https://www.instagram.com/p/CrADuLwvKyx/|#]] 주장 [[우주성]]이 부진하자, 주전 우측 풀백을 맡아 경기에 나서기 시작했다. 비록 몇몇 라운드 동안에는 빛을 발하지 못하며 여러가지로 욕 먹는 데 일조하긴 했다. 15R [[충북 청주 FC]]와의 경기에도 선발 출전했고, 절묘한 패스로 [[글레이손]]의 득점을 도와 시즌 첫 도움을 기록했다. 37R [[안산 그리너스]]와의 경기에서 '''역전골'''을 터트리며 승리에 일조했다. 최종 스코어는 4:2로 승리. 2023시즌 최종 기록은 31경기 출전 2득점 1도움. 역시 고등학교 때 공격수를 보던 선수라 그런가 올시즌은 풀백에서의 도움을 기대하기보다 톱에서의 활약이 돋보였다. == 국가대표 == ===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 ==== [[2023 AFC U-20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 ==== [[AFC U-20 아시안컵]]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프로에서의 눈에 띄는 활약을 바탕으로 한 높은 기대감에 비해 비교적 아쉬운 경기력으로 대회를 마무리하였다. 결국 [[2023 FIFA U-20 월드컵]] 최종명단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 플레이 스타일 == [youtube(2682lwR3Qls)] 빠른 발이 장점이며, 빠른 스피드로 상대방 중심을 잃게 만들어 돌파한 후 크로스를 올리는 강점이 있다. == 이준재를 향한 언사 == >''' 올 시즌 (2022년) 출전할 때마다 눈에 띄는 성장을 한 선수다. 훌륭한 자질을 갖고 있다는 걸 매 경기 보여줬다. 아직 어리다 보니 본인이 가진 좋은 것을 더 활용할 수 있다는 걸 잘 모른다. 상당히 진지하고 차분하고 , 겸손한 성격인데 더 자신있게 플레이하라고 자주 이야기한다. 스쿼드에 준재가 있어서 풀백을 누구 쓸지 고민을 줄일 수 있었다. 한국 선수들은 러닝 크로스가 약점인데 준재의 강점이 바로 러닝 크로스이다. 또 윙을 보다가 풀백으로 전환한 선수의 경우에는 수비력이 어설픈데 준재는 그렇지 않아서 상대가 후반에 빠른 측면 자원을 배치해도 잘 버틴다. 아마 경험만 더 쌓이면 더 크게 발전할 것이다. ''' >-------- >[[설기현]] == 여담 == * [[경남 FC]]의 연고지인 [[창원시]] 출신에 U-12, U-15, U-18 유소년 팀을 모두 거쳐 경남에 입단한 첫번째 초특급 성골 [[로컬 보이]]다. * 잘생긴 외모로, 여성팬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아지고 있다. * 3살 어린 동생 이준환도 축구를 하고 있다. 어릴 때부터 축구를 잘해서 실력의 성장과정이 자신보다 순탄했고 프로에 입단하면 이준재의 데뷔시즌 스탯을 뛰어넘는다고 호언하고 있다는 듯. 프로 바닥 무서운 줄 알아야 하겠다면서 너스레를 떨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2022 네이버 스포츠 선정 축구유망주 25인)] [[분류:2003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축구선수]][[분류:수비수]][[분류:라이트백]][[분류:진주고등학교 출신]][[분류:마산회원구 출신 인물]][[분류:경남 FC/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