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0세기 미국 명마 Top 100)] ||<-3> '''미국 경마 명예의 전당 헌액마'''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asy_Goer_at_Gotham.jpg|width=100%]]}}} || ||<-2> 이름 || Easy Goer || ||<-2> 출생 || [[1986년]] [[3월 21일]] || ||<-2> 죽음 || [[1994년]] [[5월 12일]] (8세) || ||<-2> 성별 || 수컷 || ||<-2> 털색 || 밤색 (Chestnut) || ||<-2> 아비 || [[알리다]] (Alydar) || ||<-2> 어미 || 릴랙싱 (Relaxing) || ||<-2> 외조부 || 벅패서 (Buckpasser) || ||<-2> 생산자 ||<|2> 어그던 핍스 || ||<-2> 마주 || ||<-2> 조교사 || 셔그 맥개히 (미국) || ||<-2> 성적 || 20전 14승 (14-5-1-0) || ||<-2> 총상금 || 4,873,770 미국 달러 || ||<|3> 주요[br]우승 || G1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카우딘 스테이크스 (1988)[br]샴페인 스테이크스 (1988)[br]우드 메모리얼 스테이크스 (1989)[br]벨몬트 스테이크스 (1989)[br][[휘트니 핸디캡]] (1989)[br]트래버스 스테이크스 (1989)[br]우드워드 핸디캡 (1989)[br]자키 클럽 골드 컵 (1989)[br]서버번 핸디캡 (1990) }}} || || G2 || 고담 스테이크스 (1989) || || L || 스웨일 스테이크스 (1989) || ||<-2> 주요 수상 || 1988년 이클립스 어워드 최우수 2세 수말[br]'''1997년 미국 경마 명예의 전당 헌액''' || ||<-2> 주요 자마 || 마이 플래그 (1993)[br]윌스 웨이 (1993)[br]펄러 (1994) || [목차] [clearfix] == 개요 == G1 9승의 엄청난 커리어를 가지고 있고 [[선데이 사일런스]]의 라이벌로 유명한 경주마.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알리다]]'''[br]{{{-2 Alydar[br]1975}}}||<|2>'''레이즈 어 네이티브'''[br]{{{-2 Raise a Native[br]1961}}}||'''[[네이티브 댄서]]'''[br]{{{-2 Native Dancer}}}|| ||레이즈 유[br]{{{-2 Raise You}}}|| ||<|2>스위트 투스[br]{{{-2 Sweet Tooth[br]1965}}}||온앤드온[br]{{{-2 On-and-On}}}|| ||플럼 케이크[br]{{{-2 Plum Cake}}}|| ||<|4>릴랙싱[br]{{{-2 Relaxing[br]1976}}}||<|2>'''벅패서'''[br]{{{-2 Buckpasser[br]1963}}}||톰 풀[br]{{{-2 Tom Fool}}}|| ||부산다[br]{{{-2 Busanda}}}|| ||<|2>마킹 타임[br]{{{-2 Marking Time[br]1963}}}||투 마켓[br]{{{-2 To Market}}}|| ||앨러먼드[br]{{{-2 Allemande}}}|| ||<-3>* 불 리(Bull Lea) 5×5 6.25%[br]* 라트로이엔(La Troienne) 5×5 6.25%|| 아비 알리다는 [[네이티브 댄서]]계로 클래식 삼관 경주에서 [[어펌드]]에게 밀려 모두 2착으로 들어온 경주마였지만 1987년 2관마 알리시바(Alysheba) 등을 배출한 명 씨수말이었다. 외조부 벅패서는 팔라리스 직계로 25승을 거둔 명마인데 직계로도 성과를 냈지만 BMS로서의 성과가 탁월해 경주마나 종마로서 걸출했던 외손자들을 많이 배출하였다. 트라이 마이 베스트(Try My Best, 1975)와 엘 그란 세뇨르(El Gran Senor, 1981) 형제, 미스와키(Miswaki, 1978), 우드맨(Woodman, 1983), 시킹 더 골드(Seeking the Gold, 1985) 등이 벅패서의 외손자였다. JRA 현창마 [[마루젠스키]]도 벅패서의 외손자. == 생애 == 1989년 당시 3관마 등극이 당연시 될정도로 강한 말이였다. 1979년 이후 10년간 맥이 끊긴 3관마가 탄생할거라고 모두가 기대하던 순간 켄터키 더비,프리크니스 스테이크스 에서 사일런스에게 밀려 2착으로 패배하면서 3관마의 꿈이 무참하게 깨져버린다. 그 중에서도 프리크니스 스테이크스에서의 맞대결은 경마 역사상 최고의 경기중 하나라고 불릴 정도로 치열했으며 직선주로에서 [[선데이 사일런스]]와 나란히 입착하는 모습은 절경이다. 결과는 코끝차이로 이지 고어의 패배. 하지만 이후 3관마 레이스의 무덤이라 불리는 벨몬트 스테이크스에서 마지막 커브 외곽에서 부터 특유의 무시무시한 가속력으로 사일런스를 따돌리고 6~7마신차로 승리하고 3관마 탄생을 저지했다. [[세크리테리엇]]에 이은 벨몬트 스테이크스 타임 레코드 역대 2위의 압도적인 기록이다. === 종마 생활 === 부계와 모계 모두 평가가 좋아 [[선데이 사일런스]]와는 달리 종마로서도 촉망받았으나 갑작스러운 심장마비로 1994년에 죽었다. 현재 부계로서의 혈통은 단절된 상태. == 평가 == 라이벌 [[선데이 사일런스]]와의 비교에선 선데이 사일런스가 우위라는 것이 통설이지만 이지 고어도 명예의 전당에 등극했을 만큼 대단했던 경주마는 틀림 없다. G1 9승이라는 압도적인 커리어와 벨몬트에서 역대급의 기록으로 선데이 사일런스에서 물리친 전적도 있기 때문에 30여년이 지난 지금도 당시 팬들 사이에서 [[갈드컵]]이 일아날 것 같아보이지만, 실상은 꽤 암울하다. 일단 맞대결에서 3승 1패를 기록한 선데이 사일런스가 우세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정작 미국 경마팬들은 압도적으로 이지고어를 지지하는 실정이다.''' 선데이 사일러스를 제일 높게 쳐준다고 해도 좋은 라이벌이었다고 평가해주는 것이 전부일 정도. '''오죽하면 선데이 사일러스를 지지하는 순간 몰매를 맞는 건 당연한 일이라고 여겨진다.''' 미국 경마팬들이 이지고어를 압도적으로 지지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승패횟수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얼마나 압도적으로 이겼는지가 더 중요하며 이지고어는 선데이 사일러스와의 경주에서 압도적인 마신 차를 벌리며 이겼지만, 선데이 사일런스는 그러지 못하였다. 2. 서부는 약물이 판 치는 곳이니 선데이 사일런스는 당연히 약물을 써서 이뤄낸 더러운 3승이고, 동부는 약물이 없는 깨끗한 곳이니 당연히 이지고어는 약물따윈 쓰지 않고 정정당당하게 맞서 싸워서 얻은 1승으로 나머지 3패는 결코 부끄러운 것이 아니다. 당장 현역시절에 대한 평가만 봐도 이런데 심지어 종마 평가는 객관적으로 보는 사람들 피를 거꾸로 솟게 만들 것 같은 논리들로 가득하다. 미국 경마팬들 역시 팬덤이 캔터키를 중심으로 하는 서부와 뉴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동부로 나뉜다. 팬덤의 규모는 서부가 동부에 비해 더 큰 규모이다. 그래서 서부 팬덤이 서부 말들을 챙겨주는데, 선데이 사일런스는 서부 팬덤조차 챙겨주지 않았고, 지금도 여전히 그렇다. 오히려 서부 팬덤들도 이지고어를 지지하면서 미국 경마계에는 어느 쪽에도 기댈 곳이 없는 상황이다. '''한마디로 선데이 사일런스는 미국에게 버림 받은 존재라는 것이다.'''[* 실제로 선데이 사일런스는 종마로 쓰고 싶은 사람이 도저히 없었기에 마주인 아서 핸콕이 어쩔 수 없이 일본에 종마로 팔아야만 했던 말로, 아서 핸콕은 선데이 사일런스를 미국에서 종마로 활동하게 하고 싶어했지만 워낙 인기가 없던지라.. 그래도 일본에서 종마로써 대박을 쳤으니 아서 핸콕의 안목이 맞았던 셈.] == 여담 == * 미국 경마팬들은 [[오르페브르]]의 털 색상을 보고 털 색상이 같은 이지 고어를 떠올리는 경우가 많다. 라이벌 [[선데이 사일런스]]의 손자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는다. * '낡은 것들의 힘'[* 원제 WORN STORIES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7559827|#]]] 이란 책에 이지 고어를 추억하는 에피소드가 실려 있다.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130px" 경기명}}} || 등급 || {{{#!wiki style="min-width: 80px" 트랙}}} || odds[* 서양권에서 사용하는 배당 표기 값이다. 한국/일본에서 사용하는 배당율과 달리 원금을 제외하므로 값이 1만큼 작다.] ||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10> 1988년 {{{-1 (2세)}}} || || 8.1 || 벨몬트 파크 || 미승리 || || 더트 6f || - || - || 2착 ||<|6> 팻 데이 || 로렌조니 || || 8.19 || 새러토가 || 미승리 || || 더트 7f || - || - || '''{{{#red 1착}}}''' || (이즈 잇 트루) || || 9.9 || 벨몬트 파크 || 일반 경주 || || 더트 6 1/2f || - || - || '''{{{#red 1착}}}''' || (위너스 래프) || || 10.1 || 벨몬트 파크 || '''카우딘 스테이크스'''[* 2005년을 마지막으로 폐지.] || '''GI''' || 더트 7f || - || - || '''{{{#red 1착}}}''' || (위너스 래프) || || 10.15 || 벨몬트 파크 || '''샴페인 스테이크스''' || '''GI''' || 더트 8f || - || - || '''{{{#red 1착}}}''' || (이즈 잇 트루) || || 11.5 || 산타아니타 파크 || [[브리더스컵]] 주버나일 || '''GI''' || 더트 8 1/2f || 1/5 || 1 || 2착 || 이즈 잇 트루 || ||<-10> 1989년 {{{-1 (3세)}}} || || 3.4 || 걸프스트림 파크 || 스웨일 스테이크스 || L[* 2023년 기준 GIII로 승격.] || 더트 7f || - || - || '''{{{#red 1착}}}''' ||<|11> 팻 데이 || (트라이언) || || 4.8 || 아쿼덕트 || 고담 스테이크스 || GII[* 2023년 기준 GIII로 강등.] || 더트 8f || 3/10 || 1 || '''{{{#red 1착}}}''' || (다이아몬드 도니) || || 4.22 || 아쿼덕트 || '''우드 메모리얼 스테이크스''' || '''GI'''[*A 2023년 기준 GII로 강등.] || 더트 9f || '''1/9''' || 1 || '''{{{#red 1착}}}''' || (락 포인트) || || 5.6 || [[처칠 다운스]] || 켄터키 더비 || '''GI''' || 더트 10f || 4/5 || 1 || 2착 || [[선데이 사일런스]] || || 5.20 || 핌리코 || 프리크니스 스테이크스 || '''GI''' || 더트 9 1/2f || 3/5 || 1 || 2착 || 선데이 사일런스 || || 6.10 || 벨몬트 파크 || '''벨몬트 스테이크스''' || '''GI''' || 더트 12f || 8/5 || 2 || '''{{{#red 1착}}}''' || (선데이 사일런스) || || 8.5 || 새러토가 || '''[[휘트니 핸디캡]]'''[* 2023년 기준 휘트니 스테이크스로 이름을 바꾸었다.] || '''GI''' || 더트 9f || 1/5 || 1 || '''{{{#red 1착}}}''' || (포에버 실버)[* 미국의 경주마. 1989년 브루클린 핸디캡을 우승했다.] || || 8.19 || 새러토가 || '''트래버스 스테이크스''' || '''GI''' || 더트 10f || 1/5 || 1 || '''{{{#red 1착}}}''' || (클리버 트레버)[* 미국의 경주마. 1989년 알링턴 클래식을 우승했다.] || || 9.16 || 벨몬트 파크 || '''우드워드 핸디캡'''[* 2023년 기준 우드워드 스테이크스로 이름을 바꾸었다.] || '''GI''' || 더트 10f || 2/5 || 1 || '''{{{#red 1착}}}''' || (이츠 애서데믹) || || 10.7 || 벨몬트 파크 || '''자키 클럽 골드 컵''' || '''GI''' || 더트 12f || '''1/9''' || 1 || '''{{{#red 1착}}}''' || (크립토클리어런스)[* 미국의 경주마. 1987년 플로리다 더비를 비롯해 G1을 4회 우승했다.] || || 11.4 || 걸프스트림 파크 || [[브리더스컵]] 클래식 || '''GI''' || 더트 10f || 3/5 || 1 || 2착 || 선데이 사일런스 || ||<-10> 1990년 {{{-1 (4세)}}} || || 5.16 || 벨몬트 파크 || 골드 스테이지 스테이크스 || || 더트 7f || - || - || '''{{{#red 1착}}}''' ||<|3> 팻 데이 || (하디프) || || 5.28 || 벨몬트 파크 || 메트로폴리탄 핸디캡 || '''GI''' || 더트 8f || 2/5 || 1 || 3착 || 크리미널 타입[* 미국의 경주마. 1990년 휘트니 스테이크스, 할리우드 골드 컵을 우승했다. 할리우드 골드 컵에서는 선데이 사일런스를 상대로 이겼기 때문에, 선데이 사일런스와 이지 고어를 모두 이겨 본 유일한 경주마다. 이후 1990년 핌리코 스페셜도 우승하여 통산 G1 4승에 이르렀다.] || || 7.4 || 벨몬트 파크 || '''서버번 핸디캡''' || '''GI'''[*A] || 더트 10f || - || 1 || '''{{{#red 1착}}}''' || (드로슈)[* 미국의 경주마. 1989년 제롬 핸디캡 우승마다.] ||}}} [include(틀:벨몬트 스테이크스,grade=GI)] [include(틀:휘트니 스테이크스,grade=GI)] [[분류:경주마/미국 생산]][[분류:경주마/미국 조교]][[분류:종마/미국]][[분류:죽은 경주마]][[분류:1986년 출생/경주마]][[분류:1994년 죽은 동물]][[분류:네이티브 댄서계]]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위닝 포스트/경주마 소개, version=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