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이집트 축구 국가대표팀)] [목차] == 개요 == [[이집트 축구 국가대표팀]]의 [[FIFA 월드컵]] 전적에 대해 기록한 문서이다. == 통산 성적 == '''역대 월드컵 전적 순위 : 65위''' || '''{{{#fff 연도}}}''' || '''{{{#fff 결과}}}''' || '''{{{#fff 순위}}}''' || '''{{{#fff 경기}}}''' || '''{{{#fff 승점}}}'''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30]][br] [[1930 우루과이 월드컵|1930년 우루과이]] ||||||||||||||||||<:> {{{#F0C420 불참}}} || ||<:>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width=30]][br] [[1934 이탈리아 월드컵|1934년 이탈리아]] ||<:> 16강[* 당시에는 모든 경기가 1라운드 16강전 토너먼트였다. 유럽예선을 통과하여 16개국 본선에 진출했다.][* 첫 골 기록] ||<:> 13위 ||<:> 0 ||<:> 1 ||<:> 0 ||<:> 0 ||<:> 1 ||<:> 2 ||<:> 4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1938 프랑스 월드컵|1938년 프랑스]] ||||||||||||||||||<:> {{{#C8A2C8 기권}}}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br][[1950 브라질 월드컵|1950년 브라질]] ||||||||||||||||||<:> {{{#F0C420 불참}}} ||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30]][br] [[1954 스위스 월드컵|1954년 스위스]] ||||||||||||||||||<:> {{{#f00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 [br][[1958 스웨덴 월드컵|1958년 스웨덴]] ||||||||||||||||||<:> {{{#C8A2C8 기권}}} || ||<:> [[파일:칠레 국기.svg|width=30]] [br][[1962 칠레 월드컵|1962년 칠레]] ||||||||||||||||||<:> {{{#C8A2C8 기권}}} ||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br][[1966 잉글랜드 월드컵|1966년 잉글랜드]] ||||||||||||||||||<:> {{{#C8A2C8 기권}}} ||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br][[1970 멕시코 월드컵|1970년 멕시코]] ||||||||||||||||||<:> {{{#F0C420 불참}}}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br][[1974 서독 월드컵|1974년 서독]] ||||||||||||||||||<:><|2> {{{#f00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br] [[1978 아르헨티나 월드컵|1978년 아르헨티나]] ||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br] [[1982 스페인 월드컵|1982년 스페인]] ||||||||||||||||||<:><|2> {{{#f00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br][[1986 멕시코 월드컵|1986년 멕시코]]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br] [[1990 이탈리아 월드컵|1990년 이탈리아]] ||<:> 조별리그 ||<:> 20위 ||<:> 2 ||<:> 3 ||<:> 0 ||<:> 2 ||<:> 1 ||<:> 1 ||<:> 2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br][[1994 미국 월드컵|1994년 미국]] ||||||||||||||||||<:> {{{#f00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1998 프랑스 월드컵|1998년 프랑스]] ||||||||||||||||||<:><|5> {{{#f00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br] [[2002 한일 월드컵|2002년 한일]]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br][[2006 독일 월드컵|2006년 독일]] ||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br][[2010 남아공 월드컵|2010년 남아공]]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br] [[2014 브라질 월드컵|2014년 브라질]] ||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br] [[2018 러시아 월드컵|2018년 러시아]] ||<:> 조별리그 ||<:> 31위 ||<:> 3 ||<:> 0 ||<:> 0 ||<:> 0 ||<:> 3 ||<:> 2 ||<:> 6 ||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30]] [br][[2022 카타르 월드컵|2022년 카타르]] ||||||||||||||||||<:> {{{#f00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br][[2026 월드컵|2026년 북미]] ||<:>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3회 ||<:> 3/21[* 월드컵 본선 진출 비율] ||<:> 2 ||<:> 7 ||<:> 0 ||<:> 2 ||<:> 5 ||<:> 5 ||<:> 12 || == 역대 전적 == ===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34년 이탈리아 월드컵]] === ||<-3>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br]'''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 4경기[br]1934.05.27.(일) 16:30''' || ===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 === ===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2018년 러시아 월드컵]] === ||<-3>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br]'''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A조 2경기[br]2018.06.15.(금) 17:00''' || ||<-3> '''예카테린부르크 아레나 (러시아, 예카테린부르크)''' || ||<-3> '''주심: 비외른 카위퍼르스 (네덜란드)''' || || [[파일:이집트 국기.svg|height=100]] ||<|2> '''{{{+2 0 : 1}}}'''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height=100]] || || [[이집트 축구 국가대표팀| '''이집트''']] ||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 || || - || || '''{{{#000000 89'}}}''' [[호세 히메네스|{{{#000000 '''호세 히메네스'''}}}]] || ||<-3> '''관중: 27,015명''' || ||<-3>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br]'''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A조 3경기[br]2018.06.19.(화) 21:00''' || ||<-3>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 ||<-3> '''주심: 엔리케 카세레스 (파라과이)''' || || [[파일:이집트 국기.svg|height=100]] ||<|2> '''{{{+2 1 : 3}}}''' || [[파일:러시아 국기.svg|height=100]] || || [[이집트 축구 국가대표팀| '''이집트''']] ||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러시아]]''' || || '''{{{#000000 73'}}}''' [[모하메드 살라|{{{#000000 '''모하메드 살라'''}}}]] '''[[페널티킥|{{{#000 (PK)}}}]]''' || || '''{{{#000000 47'}}}''' [[아흐메드 파티|{{{#000000 '''아흐메드 파티'''}}}]] '''[[자책골|{{{#000 (OG)}}}]]''' [br]'''{{{#000000 59'}}}''' [[데니스 체리셰프|{{{#000000 '''데니스 체리셰프'''}}}]] [br]'''{{{#000000 62'}}}''' [[아르템 주바|{{{#000000 '''아르템 주바'''}}}]] || ||<-3> '''관중: 64,468명''' || ||<-3>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br]'''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A조 5-2경기[br]2018.06.25.(월) 17:00''' || ||<-3> '''볼고그라드 아레나 (러시아, 볼고그라드)''' || ||<-3> '''주심: [[윌마르 롤단]] (콜롬비아)''' || || [[파일:이집트 국기.svg|height=100]] ||<|2> '''{{{+2 1 : 2}}}'''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height=100]] || || [[이집트 축구 국가대표팀| '''이집트''']] ||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사우디아라비아]]''' || || '''{{{#000000 23'}}}''' [[모하메드 살라|{{{#000000 '''모하메드 살라'''}}}]] || || '''{{{#000000 45+6'}}}''' [[살만 알파라지|{{{#000000 '''살만 알파라지'''}}}]] '''[[페널티킥|{{{#000 (PK)}}}]]''' [br]''' {{{#000000 90+5'}}}''' [[살렘 알다우사리|{{{#000000 '''살렘 알다우사리'''}}}]] || ||<-3> '''관중: 36,823명''' || == 총평 == 이집트는 1934년 월드컵에 유럽예선을 통과하여 처음으로 16개국 본선에 진출했고, 당시에는 모든 경기가 1라운드 16강 토너먼트전이었기 때문에 헝가리에게 4:2로 패하고 13위로 탈락했다. 다만, 이 패배는 이집트의 [[압델라흐만 파우지|파우지]]의 정당한 득점을 발라시나 주심이 취소했고, 헝가리의 4번째 [[톨디 게저]]의 골은 이집트 골키퍼 [[무스타파 만수르]]를 사실상 폭행해 넣은 골임에도 인정되었으니 억울한 탈락이라고도 볼 수 있었다. 1990년에 56년만에 다시 월드컵 무대에 입성한 이집트는 승점 2점 2무 1패로 20위로 아쉽게 16강 실패했으나, 상대팀이 잉글랜드, 네덜란드, 아일랜드라는 것을 감안했을 때 상당히 선전한 편이었고, 그 대회에서 8강에 진출한 카메룬과 더불어 아프리카의 FIFA 월드컵 진출권을 늘리는 역할을 했다. 2018년에 이집트는 다시 [[리버풀 FC]]의 에이스 [[모하메드 살라]]의 활약으로 다시 월드컵에 입성하나,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에서 입은 부상으로 인해 전력의 핵인 살라가 1차전 우루과이전에서 뛸 수 없게 되었다. 이집트는 [[모하메드 엘네니]]와 키퍼 모하메드 엘샤나위의 활약에 무승부를 거두는 듯 했으나 경기 종료를 1분 남겨두고 [[호세 히메네스]]에게 결정적인 결승골을 허용해 패배했다. 개최국 러시아와의 2차전에는 살라가 출전했으나, 아직 부상의 여파로 부족한 움직임을 보였고, 이집트는 자책골 허용 후 집중력이 급속도로 허물어져 1:3으로 패배했고, 우루과이가 사우디아라비아를 1:0으로 꺾어 16강에서 탈락한다. 사우디아라비아와의 3차전에는 모하메드 살라가 선제골을 넣었고, 아메드 파티가 허용한 페널티킥을 45세의 백전노장 에삼 엘 하다리 키퍼가 선방하는 등 선전했으나, 알리 가브르가 페널티킥을 '''또''' 허용하고 후반전 막판 추가시간에 살렘 알 다우사리가 극장골을 넣어 치욕적인 역전패를 당하여 31등으로 탈락했다. 이집트는 오히려 2018년 월드컵에서 더 좋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 2018년 6월 26일 감독이자 축구 해설가인 [[압둘 라힘 무함마드]]는 사우디전의 패배에 격분하다 심장마비로 쓰려저 숨지는 비극마저 당하고 말았다. 이집트는 월드컵에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최다 우승국의 명성을 발휘하기 위해 [[모하메드 살라]] 한 명에 대표팀의 경기력이 오락가락하는 현상을 반드시 고쳐야 한다. [[분류:이집트 축구 국가대표팀]][[분류:FIFA 월드컵/전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