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1962년생 정치인, rd1=이찬구(1962))] [include(틀:제13대 국회의원/경기도)] [[파일:external/people.phinf.naver.net/yonhapnews_28331689.jpg|width=150]] 李讚九 [[1941년]] [[7월 30일]][* 음력 6월 7일.] ~ [[2015년]] [[9월 11일]]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교육자, [[정치인]]이다. 본관은 [[우봉 이씨|우봉]](牛峰)[* 대사간공파(大司諫公派) 24세 구(九) 항렬.]이다. [[종교]]는 [[개신교]]이다. == 생애 == 1941년 7월 30일 [[경기도]] [[용인시|용인군]] [[원삼면]](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에서 아버지 이주용(李珠用, 1886. 10. 29 ~ 1971. 6. 20)과 어머니 [[순창 설씨]] 설우현(薛又賢, 1908. 4. 19 ~ 1977. 1. 6)[* 설복영(薛福泳)의 딸이다.] 사이의 1남 4녀 중 [[외아들]]로 태어났다. 원삼초등학교와 [[안법고등학교]],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를 졸업하고 [[목원대학교|감리교대전신학대학]]을 다니다가 4학년 때 중퇴하였다. 이후 [[동국대학교/대학원|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행정학|국방행정학]] [[석사]] 과정과 [[장로회신학대학교|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을 각각 수료하였다. 이후 1971년부터 1978년까지 국토통일원(현 [[통일부]]) 산하 통일연수원에서 [[교수]]로 근무하였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사회당(대한민국)|민주사회당]] 후보로 경기도 용인군-[[이천시|이천군]]-[[여주시|여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정동성]] 후보와 [[민주한국당]] [[조종익]]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평화민주당]] 후보로 경기도 [[성남시]]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역]] [[지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인 민주정의당 [[오세응]]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이후 평화민주당에서 당무위원, 통일특별위원회 위원장 등을 지냈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민주당(1991년)|민주당]] [[공천]]에서 [[조성준(정치인)|조성준]]에 밀려 탈락하자 민주당을 탈당하여 통일국민당에 입당하였다. 그리고 [[통일국민당]] 후보로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분당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야권 표 분산으로 [[민주자유당]] [[오세응]]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한국정신문화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였다. 2015년 9월 11일 별세했다. [[분류:제13대 국회의원]][[분류:평화민주당 국회의원]][[분류:신민주연합당 국회의원]][[분류:민주당(1991년) 국회의원]][[분류:통일국민당 국회의원]][[분류:처인구 출신 인물]][[분류:우봉 이씨]][[분류:1941년 출생]][[분류:2015년 사망]][[분류:사회과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교수]][[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 신자]][[분류:안법고등학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