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이천웅)] [include(틀:이천웅의 선수 경력)] [목차] == 개요 == [[이천웅]]의 선수경력을 다룬 문서다. == 아마추어 경력 == [[파일:external/dimg.donga.com/6949410.1.jpg]] [[성남서고등학교|성남서고]] 시절 [[파일:external/pds26.egloos.com/b0016328_5710f56a10dfd.jpg]] [[고려대학교|고려대]] 시절. 아마추어 시절 때 [[SK 와이번스]]의 [[김광현]]과 붙어서 완봉승을 거둘 정도로 [[김광현]]의 라이벌로 유명했으며, 2007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SK 와이번스|SK]]의 2차 6순위 지명을 받았지만[* 이천웅이 [[고려대학교|고려대]]를 진학하겠다는 의사를 미리 밝혔으나 [[SK 와이번스|SK]]가 못 먹는 감 찔러 보기로 이천웅을 하위픽 했다. 비슷한 사례로 [[나성범]](LG 지명 거부 이후 연세대 진학)이 있다.] 할아버지의 권유로 [[고려대학교]]에 입학하게 된다.[* 잘 안 알려져있는 사실로 이때 지명받고 대학간다는 글을 써서 [[SK 와이번스|SK]] 팬들의 분노를 사기도 했다.] 이 해부터 1차지명 대상에서 전학생제외규정이 고교에서 중3으로 확대 적용되었는데 이천웅은 중3 때 군산에서 전학을 했던 관계로 1차 지명 대상에서 제외된 상태였다. 당시 두 장의 1차 지명권[* 2007년 한 해만 1차 지명권이 두 장이었다.] 중 한 장은 [[김광현]]이 확정이었고, 나머지 한 장은 이천웅이 유력했으나 막판에 전학생 제외 규정이 확대되면서 1차 지명을 받을 수 없었다.[* 결국 [[SK 와이번스|SK]]가 [[김광현]] 외에 뽑은 1차 지명 선수로 [[야탑고등학교 야구부|야탑고]] 투수 나현수를 선택했지만 계약에 실패해 1차지명을 받았음에도 [[SK 와이번스|SK]]에 입단하지 않았다.] 2005년에 열린 제59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4강에서 김광현과 맞대결을 했는데 이천웅은 9이닝 9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했고 김광현은 낫아웃 포함 8과3분의2이닝 14탈삼진 1실점을 기록했다. 성남서고는 9회 말 2사 주자 2루 상황에 신민철의 끝내기 안타로 안산공고에게 1:0승리를 거뒀으나 결승에서 강호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광주제일고]]한테 0:10으로 패하며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다. 결승전 상대팀인 광주제일고의 선발투수는 [[강정호]]였다. [[고려대학교|고려대]]에 진학한 뒤 당시 감독이던 [[양승호]] 前 [[롯데 자이언츠]] 감독과의 면담을 통해 외야수로 전향하게 된다. 하지만 별로 두각을 못 나타냈고, 3학년 때 다시 투수로 전향했지만 부상으로 인해 여전히 부진했다. 그러나 [[고려대학교|고려대]] 시절 1학년 때부터 4번 타자를 치는 등 타격에 재능이 뛰어났다. 프로에서는 투수로 시작해서 외야수로 전향했다지만, 고등학교 때도 투수로 선발 출장하지 않는 날[* 당시 성남서고는 [[김혁민]],이천웅,[[임치영]]이 주로 마운드에 올랐다.]에는 외야수로 출장하기도 했다. 2006년 청소년 국가대표에 발탁될 당시에도 투수가 아닌 외야수로 발탁된 바 있다. == 프로 경력 == === [[LG 트윈스]] 시절 === 당연히 2011 신인 드래프트에서 지명되지 못했고, [[LG 트윈스]] [[스카우트]]의 요청에 따라 [[육성선수|신고선수]]로 입단했다. 입단 당시 포지션은 [[투수]]였으나 이렇다 할 활약을 보이지 못하고 방출될 위기에 놓였다. 그러다 당시 2군에서 선수들을 지도하던 [[차명석]] 코치의 조언에 따라 다시 타자로 전향한다. ==== 2012 시즌 ==== 2군에서 뛰어난 성적을 올려서 2012년에 정식 선수로 전환되었다. 그 후에 외야수 [[이진영]]이 햄스트링 파열 부상으로 말소되자 당시 [[육성선수|신고선수]]를 포함한 몇몇 2군 선수들을 1군에 올려서 테스트 중이던 [[김기태(1969)|김기태]] 감독이 그를 1군으로 불러들였다. [[이대형]]과 함께 1군으로 콜업된 후 다음 경기에 바로 선발 출전하여 멀티히트를 기록했다. 투수 출신인 만큼 당시 [[LG 트윈스|LG]] 외야에서 [[이진영]]과 [[손인호(야구)|손인호]]에 버금갈 정도로 강견이었지만, 수비 능력은 부족했다는 평을 들었다. 6월 7일 [[넥센 히어로즈|넥센]]전에서 [[김세현(야구선수)|김영민]]을 상대로 1군 등록 후 첫 홈런을 앞서나가는 투런 홈런으로 때려냈다. 하지만 곧바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타구 판단 미스로 1점을 내줬다. ~~다만 곧바로 [[오지환]]이 거하게 삽질하는 바람에 묻혔다~~ 2군에서 A형간염이 발병해서 그해는 다시 1군 콜업을 받지 못했다. ~~그리고 이것 때문에 간전드라고도 불리고 있다.~~ 여담으로 [[김풍기]] 심판의 어이상실한 스트라이크 판정으로 프로 첫 도루를 '''걸어서''' 기록했다. [[http://naver.me/FR2GSiFg|영상]]그나마 이병규가 볼넷으로 걸어나가 망정이지 아니었으면..... ==== 2013 시즌 ==== A형간염의 여파로 [[스프링캠프]]에 못가고 진주에서만 훈련하던 중, 4월 4일 [[김기태(1969)|김기태]] 감독이 [[넥센 히어로즈|넥센]]전에서 [[김세현(야구선수)|김영민]] 저격용으로 기용했으나 4타수 무안타로 부진했다. 그리고 4월 7일 [[두산 베어스|두산]]전에서도 [[정의윤]]의 대타로 2타석에 섰으나 모두 무안타를 기록했다.[* 그나마 [[허경민]]의 실책으로 한 번 출루하긴 했다. 바로 [[양영동|대주자]]로 바뀌긴 했지만...] 결국 2013 시즌 후 [[경찰 야구단|경찰청]]에 합격하여 2014~15 시즌은 [[경찰 야구단|경찰청]]에서 군 복무를 하게 되었다. ==== [[경찰 야구단|경찰청]] 복무 ==== >[[경찰 야구단|경찰청]] 복무하면서 가장 많이 발전한 선수다. 그리고 잘 생겼다. - [[유승안]] [* [[유승안]] [[경찰 야구단|경찰청]] 감독이 이천웅에 관한 코멘트 중] 2014 시즌에는 [[경찰 야구단|경찰청]]에서 외야수로 뛰면서 타격으로 2군을 학살했다. 2014시즌에는 87경기에 출장하여 275타수 106안타 타율 0.385(1위), 장타율 0.553(10위), 출루율 0.480(2위), OPS 1.033(4위), 사사구 52개(5위) 등의 성적을 기록하였다. 타율 1위로 북부리그 수위타자 타이틀을 가져갔으며, [[LG 트윈스|LG]] 선수에게 찾아보기 힘든 눈야구로 출루율도 높은 등 팬들을 설레게 했다. [[유승안]] 감독은 수비가 불안한 이천웅을 중견수로 꾸준히 기회를 줬다. ==== [[이천웅/선수 경력/2016년|2016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천웅/선수 경력/2016년)] ==== [[이천웅/선수 경력/2017년|2017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천웅/선수 경력/2017년)] 중요한 상황마다 타점을 올려주는 숨은 클러치 히터의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부상으로 시즌 절반 가량을 날렸고 이형종의 급부상으로 인해 이천웅의 입지는 좁아지고 마는데… ==== [[이천웅/선수 경력/2018년|2018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천웅/선수 경력/2018년)] 김현수와 이형종, 채은성이 가세한 타선에서 제4외야수로 활약한 시즌으로 규정타석은 채우지 못했으나 제4외야수임에도 불구하고, 112경기에서 122안타, 타/출/장 .340/.407/.435 OPS .842이라는 놀라운 성적을 기록하며 드디어 포텐이 터졌다. ==== [[이천웅/선수 경력/2019년|2019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천웅/선수 경력/2019년)] 1년 내내 LG 타선을 이끌며, 팀의 상승세의 동력이 되었다. 또한, 커리어 첫 규정타석 3할을 달성했고, 안타 수도 168개로 [[호세 미겔 페르난데스]], [[이정후]]에 이은 리그 3위에 오르며 지난 시즌에 이어서 또 다시 성장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 [[이천웅/선수 경력/2020년|2020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천웅/선수 경력/2020년)] 작년에는 팀내 최다안타 타자이자 WAR 1위 타자였으나 불의의 부상 이후 부진으로 인해 [[홍창기]]에게 주전 자리를 뺏기며 1번 타자 자리를 잃고 말았다. 다음 시즌 더더욱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이천웅의 2020 시즌은 사실상 에이징커브의 시작이라고 봐도 될 시즌. ==== [[이천웅/선수 경력/2021년|2021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천웅/선수 경력/2021년)] 그 망했다는 2020년의 성적보다도 더 떨어지면서, 이젠 주전 자리는 고사하고, LG에서의 생활은 물론 선수 생활에도 큰 위기가 찾아왔다. [[이천웅/선수 경력/2019년|한 때 팀 WAR 1위였던 타자가]] 이제는 팀 내 WAR, 아니 리그 타자 WAR 최하위권을 놓고 다퉜다.[* WPA는 이형종(…).][[서건창]]과 더불어 나이든 교타자가 에이징커브가 오면 어떻게 되는지 보여주는 훌륭한 예시이다. [* 물론 서건창은 작년 이천웅 정도의 성적은 보여주었다.] ==== [[이천웅/선수 경력/2022년|2022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천웅/선수 경력/2022년)] 팀의 외야진이 포화상태인 시점에서 얼마 주어지지 않은 기회도 제대로 살리지 못했고, 퓨처스리그에서도 2할대 초반의 타율로 부진하여 팀 내 입지가 굉장히 위태로워졌다. ==== [[이천웅/선수 경력/2023년|2023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천웅/선수 경력/2023년)] 시즌 초반 대타로 기대 이상의 활약을 했지만 인터넷 불법 도박을 했다는 사실이 확인되어 선수 커리어에 제대로 빨간불이 켜졌고, 결국 방출되었다. 어쩌면 현역 마지막 시즌이 유력한 시즌. == 연도별 성적 == ||<-16>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득점}}} || {{{#ffffff 타점}}} || {{{#ffffff 도루}}} || {{{#ffffff 사사구}}} || {{{#ffffff 삼진}}}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 2011 ||<|13> [[LG 트윈스|LG]] ||<-14> 1군 기록 없음 || || 2012 || 6 || 14 || .214 || 3 || 0 || 0 || 1 || 2 || 2 || 2 || 4 || 4 || .389 || .429 || || 2013 || 8 || 10 || .100 || 1 || 0 || 0 || 0 || 1 || 0 || 0 || 0 || 2 || .091 || .100 || || 2014 ||<|2><-14> 군복무([[경찰 야구단]]) || || 2015 || || 2016 || 103 || 276 || .293 || 81 || 10 || 1 || 6 || 38 || 41 || 6 || 37 || 49 || .376 || .402 || || 2017 || 75 || 232 || .284 || 66 || 14 || 0 || 2 || 35 || 27 || 8 || 30 || 45 || .366 || .371 || || 2018 || 112 || 359 || .340 || 122 || 22 || 3 || 2 || 61 || 39 || 10 || 42 || 48 || .407 || .435 || || 2019 || 138 || '''546'''[br] (4위) || .308 || '''168'''[br] (3위) || 24 || 3 || 2 || 88 || 48 || 21 || 62 || 82 || .378 || .374 || || 2020 || 89 || 312 || .256 || 80 || 11 || 2 || 3 || 44 || 36 || 8 || 39 || 44 || .333 || .333 || || 2021 || 68 || 181 || .199 || 36 || 7 || 0 || 2 || 20 || 16 || 3 || 28 || 23 || .305 || .271 || || 2022 || 19 || 20 || .200 || 4 || 0 || 0 || 0 || 3 || 0 || 0 || 3 || 3 || .304 || .200 || || 2023 || 4 || 3 || 1.000 || 3 || 0 || 0 || 0 || 0 || 1 || 0 || 0 || 0 || 1.000 || 1.000 || ||<-2> '''[[KBO 리그|KBO]] 통산''' [br] (10시즌) || 622 || 1953 || .289 || 564 || 88 || 9 || 18 || 291 || 211 || 58 || 245 || 300 || .366 || .371 || [[분류:이천웅]][[분류:야구선수/커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