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형고등학교]] [include(틀:조형고등학교)] ||<-2> '''{{{+1 이초원}}}'''[br]LEE CHO WON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이초원.jpg|width=100%]]}}} || ||<-2> '''{{{#ffffff 조형고등학교 No.22}}}''' || || '''이름''' ||이초원 || || '''나이''' ||19세|| || '''생일''' ||7월 1일|| || '''신장''' ||186cm|| || '''MBTI''' ||[[ENFJ]]|| || '''혈액형''' ||[[B형]]|| || '''포지션''' ||[[포인트 가드]], [[슈팅 가드]]|| || '''취미''' ||비보잉|| || '''특기''' ||3점슛|| || '''가족''' ||어머니, 아버지, 여동생|| || '''학교''' ||조형고등학교|| || '''성우''' ||[[박요한(성우)|박요한]]||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0px 20px; border:7px solid #f9eeda;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to top, #D2D7D0 0%, #D2D7D0 0.4%, #f9eeda 0.4%, #f9eeda 14%); color: #000" 3학년 #22 이초원 186cm 못함. ---- {{{#!wiki style="margin-top: -20px; float: right; font-size: 0.85em" 시즌 1 17화 메모}}}}}} [목차] [clearfix] == 개요 == 조형고 3학년. 등번호는 22번이다. == 작중 행적 == 진재유의 앵클브레이크에 넘어지기도 하고, [[박병찬]]에게 패스를 받아 3점슛을 넣거나 슛 폼이 좋은 [[기상호(가비지타임)|기상호]]를 전문 슈터로 오해(...)하는 등 묘한 굴욕씬들이 있었다.[* 시즌 2 지상고와의 연습경기에서 자신이 오해했음을 알고 격분하는데, 그런데 이 발언 나중에 쌍용기 원중고전에서 재평가된다. 이후로도 꾸준히 기상호가 코너 전문 슈터로서 활약함에 따라 어느 정도 맞는 말이 된다.] 3부 9화 장도고전에서는 초반부터 프레스에 멘탈이 무너져 턴오버를 남발했다. [[정희찬]]의 말로는 드리블이 눈꼽 만큼이라도 늘긴 한지라 프레스를 가까스로 한 번 빠져나왔지만, 그럼에도 최종수의 압박에 볼을 빼앗기는 모습을 보면 확실히 포인트 가드보단 전문 슈터 롤이 더 알맞을 듯.[* 다만 성장 측면에서는 이렇게 강제로나마 PG 롤을 소화해보는 게 도움이 될 수 있다. 포워드급 사이즈가 아닌 186cm의 가드인 이상, 슈팅을 메인으로 삼더라도 부수적으로 보조 핸들러 역할 정도는 수행할 수 있어야 경쟁력을 얻을 수 있을테니.] 이후에 박병찬이 나오고 난 후에 최종수의 트래쉬 토킹에 대해 테크니컬 파울까지 주장하였으며, 장도고에 의해 8강에서 떨어지고 만다. == 플레이 스타일 == [[이현성(가비지타임)|이현성]] 감독의 메모에는 "못함"(...)이라고 기재되어 있는데, 정확히는 [[포인트 가드]]를 맡던 선수가 졸업하여 그 자리를 메꾸게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박병찬이 들어오고 나서는 본래 역할로 돌아갔을 때에는 꽤나 위협적인 슈터로 변모한다. 박병찬의 패스를 받아 바로 3점을 성공시키거나 본인 입으로 팀 내 NO.1 슈터라고 말하는 등 슈팅 능력 하나는 뛰어난 듯. 특별히 빼어난 선수는 아니지만 박병찬과의 시너지만큼은 좋은 편. 슈팅이 좋아 박병찬에게 가는 더블팀을 줄여줄 수 있고, 박병찬이 수비를 소몰이하고 꽂아주는 킥아웃 패스를 받아먹을 수 있어 조형고 선수들 중 그나마 활약이 많다. == 여담 == * 박병찬이랑 가장 친한 선수인지 유독 박병찬이랑 같이 다니는 장면이 있다. 때문에 조형고 중에선 박병찬 다음으로 등장 비중이 꽤 있는 편.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조형고등학교, version=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