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이카로닉테리스}}}[br]Icaronycteris}}}''' || ||<-2> [[파일:Holotype-specimen-of-Icaronycteris-index-YPM-PU-18150-from-the-Green-River-Formation.png|width=100%]] || ||<#F93> '''학명''' || ''' ''Icaronycteris'' '''[br]Jepsen, 1966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포유류|포유강]]^^Mammali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박쥐|박쥐목]]^^Chiropter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이카로닉테리스과^^Icaronycter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이카로닉테리스속^^''Icaronycteris''^^'''||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FF> * †이카로닉테리스 인덱스(''I. index'')^^{{{-1 [[모식종]]}}}^^[br]Jepsen 1966 * †이카로닉테리스 메누이?(''I. menui?'')[br]Russell, Louis & Savage 1973 * †이카로닉테리스 시게이?(''I. sigei?'')[br]Smith ''et al''. 2007 * †이카로닉테리스 군넬리(''I. gunnelli'')[br]Rietbergen ''et al''. 2023 || || [[파일:Eocene-Green-River_Csotonyi2.jpg|width=500]] || || [[에오세]] 당시 [[북아메리카]] 그린리버층(Green River Formation)의 환경을 묘사한 복원도. 오른쪽 위에 [[잠자리]]를 뒤쫓는 개체가 이카로닉테리스다.[* 왼쪽에는 [[우인타테리움]]이 공포새와 대치하고 있고, 오른쪽의 하천에는 [[앨리게이터가아]]가 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신생대]] 에오세 전기에 북아메리카와 [[유라시아]] 일대에 살았던 고대 [[박쥐]]의 일종. 속명의 뜻은 '[[이카루스]]의 박쥐[* [[그리스어]]로 '밤에 관계된'이라는 뜻인 nykteros에서 유래한 것으로, 현생 틈새얼굴박쥐속(''Nycteris'')의 학명이기도 하다.]'. == 상세 == 몸길이 14cm에 날개를 쫙 펼친 길이는 37cm 정도 되었던 박쥐로, [[미국]] [[유타 주]]의 그린리버층에서 전신 골격이 잘 보존된 화석이 발견되어 학계에 알려졌다.[* 이후 [[프랑스]]에서 이 녀석으로 추정되는 화석이 부분적으로나마 발견되어 메누이종(''I. menui'')으로 명명되었고, [[인도]]에서도 이빨 화석이 발견되어 시게이종(''I. sigei'')으로 분류되었다. 이후 2023년 군넬리종이 새로 명명되었다.] 전체적으로 현생 박쥐와 유사한 생김새를 보이나, 앞다리에는 엄지는 물론 검지에도 발톱이 아직 남아있었고 뒷다리는 피부막으로 연결되어있지 않았으며, 긴 꼬리와 현생 [[땃쥐]]를 닮은 이빨을 지녔다는 등의 차이점이 있었다. 다만 내이를 구성하는 골격을 분석한 결과 [[반향정위]] 능력을 사용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아마 현생 박쥐와 비슷한 방식으로 [[곤충]]을 잡아먹고 살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분류:고생물]][[분류:이카로닉테리스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