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이택경}}}'''[br]{{{-1 Lee Taekkyu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택경대표.jpg|width=100%]]}}} || || 출생 || 1970년 4월 13일 || || 국적 || [[대한민국]] || || 학력 || [[연세대학교]] 컴퓨터과학 || || 현직 || [[매쉬업엔젤스]] 대표 파트너[br][[연세대학교]] 겸임교수 || || 경력 || [[카카오(기업)|다음커뮤니케이션]] Co-founder, [[CTO]][br][[카카오(기업)|다음커뮤니케이션]] C&C본부장[br][[프라이머(기업)|프라이머]] Co-founder, 대표 || || 링크 || [[https://www.linkedin.com/in/taekkyung/|[[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taekkyun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yung88, 크기=20)] | [[https://brunch.co.kr/@skykyung|[[파일:브런치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소개 == 현 [[매쉬업엔젤스]] 대표 파트너 [[다음]]의 공동 창업자이자 CTO와 커뮤니케이션&커뮤니티 서비스 본부장을 겸임하며 [[다음]]을 국내 최대의 포털 서비스로 성장시키고 [[코스닥]]에 상장시켰다. 이후 연쇄 창업자와 투자자의 길을 고민하던 중 초기 투자에 뜻을 두고 초기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 생애 == === 학창 시절 === 중학교 3학년이었던 1984년 봄, 종로 [[교보문고]]에서 컴퓨터 잡지인 [[컴퓨터학습]]3월호를 당시 즐기던 게임인 [[제비우스]] 특집 기사 때문에 보게 되었고 이를 계기로 프로그래밍에 눈을 뜨게 된다. 얼마 후 첫 PC인 [[SPC-1000]]를 선물 받은 것을 계기로 독학으로 [[BASIC]] 공부를 시작하였다. 1년 뒤, 고등학교 1학년 당시 국내 전자오락실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끈 [[너구리(게임)]]의 [[SPC-1000]] 버전을 개발하였으나 학업에 집중하기 위해 잠시 개발에서 손을 뗀다. 1988년, [[연세대학교]] [[컴퓨터공학과|컴퓨터과학과]]에 진학[* 부모님은 의대 진학을 원했으나 당시 [[전자공학과]]와 [[컴퓨터공학과|컴퓨터과학과]]의 인기가 높아서 설득이 가능했다고 한다.]하며 본격적으로 프로그래머의 길을 걷게 되었다. 이후 여러 게임 개발을 하던 중 당시 고가였던 [[모뎀]]을 공동 구매하며 [[PC통신]]의 세계에 입문하였다. 처음에 [[천리안(포털사이트)]]에 가입하였는데[* 당시 사용자는 몇백명 수준으로, 그마저도 대학생은 거의 없고 대다수가 [[데이콤]] 직원이나 [[KIST]] 연구원 등이었다고 한다.], 이때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교류하고 친목을 다지는 재미를 처음 느끼고 [[연세대학교]] [[PC통신]] 동아리인 이글넷(Eagle Net)[* 훗날 [[다음]]을 함께 창업하게 되는 [[이재웅(기업인)]]이 같은 과 선배이자 이글넷 동아리 멤버였다고 한다.]을 만들었다. 이때의 [[PC통신]] 경험이 [[다음]]과 [[다음 카페]]를 만드는 데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시간이 흘러 대학원에서 연구를 하던 중 1993년 배포된 [[모자이크(웹 브라우저)]]를 처음 접하였고, 기존 텍스트 기반 서비스가 아닌 그래픽 기반의 [[웹 브라우저]]를 보며 [[월드 와이드 웹]]을 통해 새로운 인터넷 시대가 열릴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러던 중 프랑스로 유학을 떠났던 [[이재웅(기업인)]]의 연락을 받고 파리에서 함께 유학하던 사진작가 박건희와 함께 1995년 [[카카오(기업)|다음커뮤니케이션]]을 설립하였다. === 다음 시절 === [[카카오(기업)|다음커뮤니케이션]]의 공동 창업자이자 CTO로서 재직하며 첫 해에는 [[카카오(기업)|다음]]은 [[데이콤]]의 사이버월드 웹 홈페이지와 게시판 시스템 구축을 비롯한 외주 사업을 통해 영업 이익을 발생시켰고, 1997년에는 본격적인 사업 성장의 기폭제가 된 [[다음 메일|한메일넷]]을 출시하였다[* 당시 어느 정도로 성공적이었냐면 [[다음 메일|한메일넷]]의 트래픽이 세계 7위였다고 한다.]. 연이어 오픈한 [[다음 카페]]가 말그대로 대박이 나면서 종합 포털사이트 [[다음]]이 완성되었고, [[카카오(기업)|다음]]은 1999년 11월 코스닥 상장에 성공한다. 2002년 부터는 C&C(Communication & Community) 본부장을 역임하며 메일, 카페, 메신저, 검색, 모바일 서비스 등을 담당하였다. === 엔젤 투자와 [[프라이머(기업)|프라이머]] 시절 === [[카카오(기업)|다음]]을 떠나 엔젤 투자자로 활동하던 중, 국내 IT 1세대 창업자들이 함께 모여 후배 창업자를 양성하는 [[액셀러레이터(스타트업)]]를 만들자는 [[권도균(기업인)]] 대표의 제안을 받아들여 [[이재웅(기업인)|이재웅]], [[장병규]], 송영길[* 엔컴퓨팅 대표. 정치인 [[송영길]]과는 동명이인이다.]과 함께 [[프라이머(기업)]]을 설립하게 된다. [[프라이머(기업)|프라이머]] 시즌 1에서는 [[번개장터]], [[스타일쉐어]], [[마이리얼트립]] 등에 투자 및 자문을 진행하였다. 대학에 방문해 강의하는 대학생 창업세미나, 엔턴십[* Entreperneurship + Internship] 등의 프로그램 또한 진행하였으며, 국내 최초로 오픈 데모데이를 개최하였다[* 당시 해외의 데모데이는 관계자만 참석하는 closed 데모데이였다. 국내에서 열리는 대부분의 데모데이 프로그램이 오픈 데모데이가 된 것은 프라이머의 데모데이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시즌 1 후반부터 [[권도균(기업인)|권도균]] 대표가 개인 사정으로 참여하지 못하게 되어 사실상 시즌 1 마무리와 시즌 2를 담당하게 되었다. 시즌 2부터는 운영의 효율성을 위해 전담 파트너제를 도입하여 몬캐스트, 데일리호텔, 앤벗(유저해빗), 라이클(언니의 파우치) 등에 투자 및 자문을 진행하였다. 당시 [[프라이머(기업)|프라이머]]는 주로 5000만원 이하 투자를 진행하고 [[본엔젤스벤처파트너스|본엔젤스]]는 2억원 이상의 투자를 진행하였는데, 그 사이 금액 투자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이택경]]은 훗날 [[매쉬업엔젤스]]의 모태가 되는 엔젤 네트워크를 결성, 스캐터랩[* [[이루다(인공지능)]] 개발사], 눔[* 미국의 헬스케어 스타트업], 원더래빗[* [[캐시워크]]] 등에 투자와 자문을 진행하고 [[스타일쉐어]], [[마이리얼트립]]의 후속 투자를 진행하였다. === 매쉬업엔젤스 ~ 현재 === 프라이머 시즌 2의 마지막 투자 이후 이택경은 시즌 3에 합류하지 않고 상기 언급한 엔젤 네트워크에 전념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기존보다 투자 범위를 넓히고, 파트너 외에 심사역과 매니저를 채용하는 등 많은 보완을 거쳐 새로운 조직인 [[매쉬업엔젤스]]가 탄생하였다. 이후 [[매쉬업엔젤스]]의 대표 파트너이자 선배 창업가로서 [[스타트업]] 업계에서 왕성하게 활동 중이다. == 미디어에서 == === 저서 === * [[https://www.mashupangels.com/insight/|VC가 알려주는 스타트업 투자유치전략]] === 관련 영상 === * [[https://youtu.be/EczOfNHDB7s|EO - 다음 커뮤니케이션 창업자 이택경의 창업과 투자 이야기]] * [[https://youtu.be/rXuoqQpOI4U|EO - 스타트업 업계 종사자라면 모두가 봐야 하는 영상🔥이택경의 스타트업 투자 전략 EP 01]] * [[https://youtu.be/eZ3xfry0SEM|EO - 매출 없는 초기 회사에 뭘 보고 투자할까?ㅣ이택경의 스타트업 투자 전략 EP 02]] [[분류: 대한민국의 기업인]] * [[https://youtu.be/DJD_cgXDVEs|한국벤처투자 - 투자유치가이드 1편ㅣ투자자 이해하기와 만나기]] * [[https://youtu.be/AgBVjCx_Rkg|한국벤처투자 - 투자유치가이드 2편ㅣ투자자의 투자기준]] * [[https://youtu.be/bC65d3OeAYg|한국벤처투자 - 투자유치가이드 3편ㅣIR 자료의 작성과 Pitching]] * [[https://youtu.be/125B3BO00lM|한국벤처투자 - 투자유치가이드 4편ㅣ적정 기업가치]] * [[https://youtu.be/NQr4tmYwKM4|한국벤처투자 - 투자유치가이드 5편ㅣ스타트업의 투자 유치 절차]] * [[https://youtu.be/w4JkOT5flXU|한국벤처투자 - 투자유치가이드 6편ㅣ투자유치와 이후 유의할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