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남한강의 교량)] || {{{-2 {{{#555,#aaa 하류 방면}}}}}}[br]← [[양평교]][br][[이포보]] ||<-2><#006fb9> '''[[남한강|{{{#fff 남한강의 교량}}}]]''' || {{{-2 {{{#555,#aaa 상류 방면}}}}}}[br][[남한강대교(광주원주고속도로)|남한강대교]] → || ||<-4><#004a8b> {{{#fff {{{+2 '''이포대교'''}}}[br]梨浦大橋| Ipodaegyo(Way Bridge)}}} || ||<-4><#ffbf00> {{{#black ▲ [[이여로|{{{#black '''이여로 (대신, 용문 방면)'''}}}]]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70)] }}} || || {{{-1 {{{#555,#aaa [[양평읍|{{{#555,#aaa 양평읍}}}]] 방면}}}}}}[br][[개군면|개군면 사무소]][br]← - km ||<-2><#ae1932> [[여양로|{{{#fff '''여양로'''}}}[br][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37)]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88)]]] || {{{-1 {{{#555,#aaa [[여주시|{{{#555,#aaa 여주}}}]] 방면}}}}}}[br][[대신IC]][br][[대신면|대신]][br]- km → || || {{{-1 {{{#555,#aaa [[산북면|{{{#555,#aaa 산북}}}]] 방면}}}}}}[br][[이포보]][br]← - km ||<-1><#ae1932> [[금사로|{{{#fff '''금사로'''}}}]][br][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88)][br][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333)] ||<-1><#ae1932> [[이포로|{{{#fff '''이포로'''}}}]] || {{{-1 {{{#555,#aaa [[금사면|{{{#555,#aaa 금사}}}]] 방면}}}}}}[br]이포1리[br]- km → || ||<-4><#ffbf00> {{{#black ▼ [[이여로|{{{#black '''이여로 (이천 방면)'''}}}]]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70)]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333)] }}} || ||<-4>{{{#!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이포대교, 너비=100%, 높이=225)]}}} || ||<-4><#c0c0c0,#3f3f3f> '''다른 문자 표기'''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간체자 || 梨浦大桥 || || 가타카나 || ヤンピョン大橋 ||}}}}}}}}} || ||<-4><#c0c0c0,#3f3f3f> '''위치''' || ||<-4> [[경기도]] [[여주시]] [[대신면]] 천서리 (동단) || ||<-4> [[경기도]] [[여주시]] [[금사면]] 이리 (남단) || ||<-4><#c0c0c0,#3f3f3f> '''개통''' || ||<-4> [[1991년]] [[12월 19일]] || ||<-2> '''시공''' ||<-2> '''관리''' || ||<-2> ||<-2> [[서울지방국토관리청|[[파일:서울지방국토관리청.jpg|width=100%]]]] || ||<-4><#c0c0c0,#3f3f3f> '''길이 / 폭''' || ||<-4> 길이 779m, 폭 12m (왕복 2차선) || ||<-4> '''구조형식''' || ||<-4> 강상자형교 (상부)[br]역 T형식교대 (하부)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기도]] [[여주시]] [[여주시/행정#s-2.4|금사면]]에서 [[여주시]] [[여주시/행정#s-2.6|대신면]]을 잇는 교량으로 [[1987년]] [[11월]] [[경기도]]에서 예산을 들여 착공하여 4년 후인 [[1991년]] [[12월 19일]] 준공되었다. 다리의 이름은 금사면 '이포리'가 다리의 시점이라 하여 이포대교라고 지었으며, [[70번 지방도]]와 [[88번 지방도]]가 이 다리를 지나간다. 근처에 이포보가 있으니 여주에 놀러온 관광객들은 관광하는 것을 추천한다. 근처에 오토캠핑장도 있어서 [[남한강]]을 바라보면서 캠핑을 하면 정말 최고의 캠핑이다. 이 다리가 세워지기 전까지는 이포[[나루#s-1]]가 있었는데, [[조선시대]]에는 [[서울특별시]] [[마포구]]의 마포나루, 서울특별시 [[광진구]]의 광나루, 여주시의 조포나루와 함께 한강 4대 나루였으나, 기술이 발전하니 [[교량]]이 세워져 요즘은 전부 터만 남아있다. 그 밖에도 모현사, 기천서원지 등의 관광지가 즐비하다. 다리 동측 대신면쪽에는 [[막국수]]집이 즐비한 '''천서리막국수촌'''이 있어서 가는김에 들려서 먹고가도 좋겠다. == 사건 및 사고 == 2021년 3월 5일 새벽 2시 40분 쯤, [[SK건설]]에서 교량의 하중이 48톤에 불과한 다리 위로 차량을 이용해 197여톤 무게의 (화물차포함) 변압기를 옮겼다. 이와 관련 여주시 관계자는 <일요주간>과의 전화통화에서 “(다리를 이용해 변압기를 옮긴 사실을)전혀 모르고 있었다. (교량에 대해) 안전점검을 진행할 예정이다”며 “과태료(500만원)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http://www.ilyoweekly.co.kr/news/newsview.php?ncode=1065595606161101]. 각주의 기사에 따르면 한 누리꾼은 솜방망이 제재를 비꼬기도 했다.[[https://youtu.be/erT-nW0fsRM|KBS취재영상링크]] == 언론보도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3676589|남한강에 이포대교 건설(1987.11.26 KBS뉴스)]] [[분류:남한강의 교량]][[분류:나무위키 도로 프로젝트]][[분류:70번 지방도]][[분류:88번 지방도]][[분류:1991년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