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송사)] ||<-2> '''{{{#ece5b6 {{{+1 북송의 무관[br]{{{+1 李漢瓊 | 이한경}}}}}}}}}''' || || '''{{{#ece5b6 최종직위}}}''' ||<(>중서령(中書令)^^추증^^|| || '''{{{#ece5b6 성}}}''' ||<(>이(李)|| || '''{{{#ece5b6 이름}}}''' ||<(>한경(漢瓊)|| ||<|2> '''{{{#ece5b6 출생}}}''' ||<(>927년|| ||<(>[[후당]] 하남부(河南府) 낙양현(洛陽縣)|| ||<|2> '''{{{#ece5b6 사망}}}''' ||<(>981년|| ||<(>[[북송]] 개봉부(開封府)|| || '''{{{#ece5b6 증조부}}}''' ||이유(李裕)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북송]]시대의 장수. == 생애 == 이한경은 927년에 하남부 낙양현에서 이유(李裕)의 증손으로 태어났다. 이한경은 체질이 장대하고 기운이 셌으며 완력이 있었다. 이한경은 [[후진]] 말엽에 서반위사(西班衛士)로 보임되었고, 내전직(內殿直)으로 승진하였다. [[후주]] 시기에 들어서 이한경은 [[세종(후주)|세종]]의 [[남당]] 정벌에 종군하였고, 용천직부도지(龍旗直副都知)로 승진하였고 좌사지휘사(左射指揮使)로 전임되었다. 960년 [[북송]]이 건국된 뒤에 철기제2군도교(鐵騎第二軍都校) 겸 요주(饒州) 자사, 공학좌상도교(控鶴左廂都校) 겸 노주(瀘州) 자사, 징주(澄州) 단련사, 호첩좌상도지휘사(虎捷左廂都指揮使) 겸 융주(融州) 방어사, 시위마군도우후(侍衛馬軍都虞候) 겸 조주(洮州) 관찰사를 역임하였다. 북송이 [[남당]]을 정벌할 때 이한경이 북송에 종사하였고, 이한경은 남당 정벌의 공적으로 진무군(振武軍) 절도사를 겸임하였다. 이후 977년에는 창덕군(彰德軍) 절도사로 충임되었고, 979년에는 [[북한(오대십국시대)|북한]] 정벌에 참여하였다. 이한경은 수많은 화살에 머리를 맞고 손가락이 잘려나가는 고통을 무릅쓰고 북한 정벌을 승리로 이끌어 북송에 공헌하였으며, 이때의 공훈으로 진주병마검할(鎮州兵馬鈐轄)로 전임되었다. [[요나라]]가 침입해오자, 이한경은 만성(滿城)에서 전투를 벌여 요나라 군대를 대패시켰고, 검교태위(檢校太尉)가 더해졌다. [[태종(송)|태종]]은 이한경의 공적을 칭찬하여 창주(滄州) 도부서(都部署)로 삼았다. 이한경은 981년 병에 걸려 개봉으로 돌아왔고 개봉에서 사망하였다. 이한경은 사후 중서령으로 추증되었다. [[분류:송나라/인물]][[분류:927년 출생]][[분류:981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