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조선귀족)] ||<-7><:> '''[[전주 이씨|[[파일:전주 이씨 종문.svg|width=30]]]] [[경창군#s-5.2|{{{#FAFAD2 전주 이씨 경창군파의 역대 종주}}}]]''' || ||<:> 11대 [[이재곤(1859)|이재곤]] ||<:> {{{+1 ←}}} ||||<:>'''{{{#FAFAD2 12대 이해국}}}''' || {{{+1 →}}} ||<:> 13대 이해석 || ---- ||<-2> [[조선귀족|'''{{{#ffffff {{{+1 조선귀족 자작}}}}}}''']] || || '''{{{#ffffff 이름}}}''' ||이해국 (李海菊) || || '''{{{#ffffff 본관}}}''' ||[[전주 이씨]] [[경창군]]파 || || '''{{{#ffffff 출생}}}''' ||[[1926년]] [[11월 4일]] || || '''{{{#ffffff 사망}}}''' ||[[1950년]] [[9월 28일]](향년 33세) || || '''{{{#ffffff 작위}}}''' ||[[조선귀족]] [[자작(작위)|자작]] || || '''{{{#ffffff 가족}}}''' ||아버지 이원용, 누이 5명, 남동생 이해백 || || '''{{{#ffffff 비고}}}''' ||[[친일인명사전]] 등재|| [목차] [clearfix] == 개요 == [[일제강점기]]의 [[조선귀족]]. [[정미칠적]] [[이재곤(1859)|이재곤]]의 [[장손]]이다. == 생애 == 1926년 11월 4일, [[경성부]]에서 [[이재곤(1859)|이재곤]]의 [[장남]] 이원용의 큰아들로 태어났다. 1943년 4월에 아버지가, 그해 7월에 할아버지가 사망했고, 4달 뒤 이재곤의 [[조선귀족]] [[자작(작위)|자작]] 작위와 [[전주 이씨]] [[경창군]]파 종주 자리를 물려받았다. [[8.15 광복]] 이후인 1949년에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체포된 뒤 기소 처분을 받았다. 1950년 4월에는 반민재판에 회부되었으나[[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0042500239102038&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0-04-25&officeId=00023&pageNo=2&printNo=8312&publishType=00010|#]] 2달 뒤 [[6.25 전쟁]]이 벌어지면서 유야무야 처리되었다.[[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D%95%B4%EA%B5%AD|#]] 그 해 9월 28일에 살해당했다. == 가족 == 남동생으로 이해백(李海栢)이 있었으나 그 역시 [[6.25 전쟁]] 때 [[실종]]되었다. 두 형제 다 슬하에 [[자녀]]가 없었기 때문에 [[경창군]]파 종주 자리는 그의 사촌동생 이해석(李海釋)이 이해국의 아버지 이원용의 [[양자(가족)|양자]]로 들어와 이었다. [[분류:1926년 출생]][[분류:1950년 사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전주 이씨 경창군파]][[분류:조선귀족 자작]][[분류:조선 귀족의 자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