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이혁재}}}[br]李革宰'''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언론인 이혁재.jpg|width=100%]]}}} || ||<|2> '''출생''' ||[[1960년]] [[9월 10일]] || ||[[경상남도]] [[진해시]] || || '''사망''' ||[[2023년]] [[7월 19일]] (향년 63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직업''' ||[[언론인]] || || '''학력''' || || || '''경력''' ||조선일보 강원취재본부장[br]스카이데일리 수석논설위원[br]조선일보 AD본부 뉴비즈팀 팀장 || || '''가족''' ||배우자 최정화, 슬하 1남1녀 이정욱·이채영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언론인. == 생애 == 그는 1960년 경남 진해에서 태어났다. 그리고 주일한국대사관 무관이었던 부친을 따라 일본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다니며 일본인화 되었다. 이후 1985년 조선일보에 들어가 1994년 10월~1997년 11월 도쿄특파원으로 근무했다. 1995년 1월 17일 고베대지진을, 같은해 3월 옴진리교의 도쿄 지하철 사린 가스 살포 사건을 현장 취재했다. 특파원 시절 일본 저자들과 함께 '모바일 경제', '오프 더 레코드'를 펴냈고, 'SONY 리제너레이션 대혁명' 등 일본 책 수십권을 번역했다. 이후 강원취재본부장을 거쳐 2016년 퇴사한 뒤 출판사 '더이은'을 설립해 요코야마 히데오 소설 '진상' 등을 번역·출판했다. 또한 스카이데일리 수석논설위원으로 일하며 언론이 너무 좌파의 편에만 선다고 불평하는 글들을 작성해 나갔다. == 사망 == 2023년 7월 19일 오후 2시 30분께 서울특별시 동작구 자택에서 세상을 떠났다. 향년 63세. [[분류:대한민국의 언론인]][[분류:진해구 출신 인물]][[분류:1960년 출생]][[분류:2023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