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 이 항목은 [[이현도]]의 솔로 활동 앨범을 정리한 항목이며 [[듀스(음악그룹)|듀스]] 시절 앨범은 [[듀스(음악그룹)|듀스]] 항목을 참고. == [[앨범#s-3|정규앨범]] == === 1집 DO IT ([[1996년]] [[9월 21일]]) === ||<-2> '''{{{#ea330e DO IT}}}''' || ||<-2> [[파일:attachment/DO_1.jpg|width=500]] || ||<-2> '''{{{#ea330e 정규 1집}}}''' || || '''{{{#ea330e 아티스트}}}''' || '''[[이현도|{{{#ea330e D.O}}}]]''' || || '''{{{#ea330e 발매일}}}'''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1996년|{{{#ea330e 1996년}}}]]''' '''[[9월 21일|{{{#ea330e 9월 21일}}}]]''' || || '''{{{#ea330e 기획사}}}''' || '''{{{#ea330e 예당음향}}}''' || || '''{{{#ea330e 유통사}}}''' || '''{{{#ea330e RIAK}}}''' || || '''{{{#ea330e 재생시간}}}''' || '''{{{#ea330e 48:45}}}''' || || '''{{{#ea330e 타이틀곡}}}''' || '''{{{#ea330e 사자후}}}''' || || {{{#ea330e '''트랙'''}}} || {{{#ea330e '''곡명'''}}} || {{{#ea330e '''작사'''}}} || {{{#ea330e '''작곡'''}}} || {{{#ea330e '''편곡'''}}} || || 01 || 서곡 Facing Destiny - 운명에 맞서다 ||<|13><-3> [[이현도]] || || 02 || '''[[사자후]]''' || || 03 || [[김성재|친구]]에게 || || 04 || 사랑노래 || || 05 || 뭘! (Feat. Jayo Felony) || || 06 || 기다림 || || 07 || Waltz For Laurie || || 08 || [[김성재|성재]]를 위한 고요함 || || 09 || 적의 || || 10 || 널 바라보며 || || 11 || Player's Anthem (Feat. [[지누션|JinuSean]], Tracy Williams) || || 12 || 슬픈 이유 || || 13 || 헤어짐 || [[1996년]] [[9월 21일]] 발매된 [[이현도]]의 첫 솔로 앨범. 이 때부터 '''D.O'''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시기가 시기인지라 앨범의 분위기도 어둡고 앨범 자켓사진과 컨셉에서도 듀스 시절과는 확연히 차이가 나며 요란해 보일 수 밖에 없는데 이유는 바로 오랜 외국생활의 영향으로 패션감각이 특출나 듀스에서의 패션 및 컨셉 구상을 담당했던 [[김성재]]의 [[듀스 김성재 사망 사건|부재]] 때문일 것이다. 타이틀인 '사자후'가 나름대로 유명한데, '''"운명을 피할 수 없다라면 그대여, 그 운명에 당당히 맞서라"'''라는 가사 때문에 이제는 이현도를 조롱하는데 더 많이 쓰이고 있다... [[2010년]] [[국카스텐]]이 리메이크하여 인기를 얻기도 했다. 당장 [[듀스(음악그룹)|듀스]]와 [[이현도]] 팬들에게 [[이현도]]하면 딱 떠오를 정도로 손꼽히는 어느정도 히트한 앨범이다. 고인이 된 음악 파트너 [[김성재]]를 추모하는 곡들도 비중있게 실려있는데, '''친구에게'''라는 발라드 곡을 비롯하여, 스킷 트랙 형식으로 '''성재를 위한 고요함'''이란 곡이 있는데 이건 특이하게 '''10초 동안 아무 소리도 없는 무음 상태'''로만 진행된다. 여담으로 [[워크맨]] 등의 카세트 플레이어로 이현도 1집을 듣다가 10초간 무음으로만 구성된 이 곡이 나오는 경우, 당시 최신 기종으로 곡과 곡사이의 묵음을 인식하여 트랙간 이동하는 것처럼 빨리 감기도 하고 4초 이상의 묵음을 인식하여 '''나머지 공백 구간을 빨리감기하는 기능'''이 있던 카세트 플레이어의 경우 '''이 곡을 들으려고만 하면 자동으로 빨리감기를 해버리다가(...) 다음 곡이 있는 파트에서 멈춰 재생시키는 참 뭣같은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다.[* 문제는 이런 기능을 사용자가 임의로 안쓰게 하는 시스템이 전혀 아니었기에 이럴때 오히려 최신기능이 독이 되기도 했다.] 그 밖에 이현도 1집을 음원사이트에서 디지털음원으로 할인 없이 전곡을 다운 받는 경우라면, 10초간의 묵음으로만 된 '''성재를 위한 고요함'''은 빼고 구입하는 편이 좋다. 걍 재생을 10초간 멈추고 있는 것만으로도 그 곡을 듣는것이나 마찬가지이므로(...). 타이틀곡 '사자후'로 [[1996년]] [[9월]]부터 [[11월]]초까지 방송활동을 했으며,[* 원래 길게 활동하기로 했으나, [[듀스 김성재 사망 사건|이 항목]]에서 보시다시피 당시 [[김성재]]의 여자친구가 2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은 것에 충격을 받고 활동 중단을 선언한 것이다. 본인 말로는, 활동 중단만이 [[김성재|고인]]에 대한 예의인 것 같다고.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110800209133007&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6-11-08&officeId=00020&pageNo=33&printNo=23361&publishType=00010|#]]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111100329135004&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6-11-11&officeId=00032&pageNo=35&printNo=15934&publishType=00010|##]]] 이후 동년 [[11월 20일]]에 친구 [[김성재]]의 1주기 추모콘서트를 열기도 했다. === 2집 The Saga Continues ([[1998년]] [[4월 2일]]) === ||<-2> '''{{{#a8cacd The Saga Continues}}}''' || ||<-2> [[파일:attachment/DO_2.jpg|width=500]] || ||<-2> '''{{{#a8cacd 정규 2집}}}''' || || '''{{{#a8cacd 아티스트}}}''' || '''[[이현도|{{{#a8cacd D.O}}}]]''' || || '''{{{#a8cacd 발매일}}}'''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1998년|{{{#a8cacd 1998년}}}]]''' '''[[4월 2일|{{{#a8cacd 4월 2일}}}]]''' || || '''{{{#a8cacd 기획사}}}''' || '''{{{#a8cacd 예당음향}}}''' || || '''{{{#a8cacd 유통사}}}''' || '''{{{#a8cacd RIAK}}}''' || || '''{{{#a8cacd 재생시간}}}''' || '''{{{#a8cacd 1:00:30}}}''' || || '''{{{#a8cacd 타이틀곡}}}''' || '''{{{#a8cacd 미래}}}''' || ||
{{{#a8cacd '''트랙'''}}} || {{{#a8cacd '''곡명'''}}} || {{{#a8cacd '''작사'''}}} || {{{#a8cacd '''작곡'''}}} || {{{#a8cacd '''편곡'''}}} || || 01 || The Saga Continues || [[이현도]] || [[이현도]], Harry Kloor, Jun Park || - || || 02 || '''미래''' ||<|2><-3> [[이현도]] || || 03 || 무한 || || 04 || 매일 그대와 (Feat. [[최성원(가수)|최성원]] Of [[들국화(밴드)|들국화]]) ||<-3> [[최성원(가수)|최성원]] || || 05 || 불의 춤 (Feat. Rie Face) ||<|11><-3> [[이현도]] || || 06 || 네가 떠나면 || || 07 || 청혼 || || 08 || 내 안으로 || || 09 || 사랑 예찬 || || 10 || Comedy || || 11 || 여름은 가득히 || || 12 || The Accorade (Of Hiphop) (Feat. Prolix, Basicaliteez, Riki O) || || 13 || 내 잊혀진 순수에 관하여... || || 14 || 연 (Bonus Track) || || 15 || 미래 (Inst.) (Bonus Track) || [[1998년]] [[4월 2일]] 발매된 [[이현도]]의 2번째 솔로앨범. 이 앨범부터 [[듀스(음악그룹)|듀스]] 시절의 색이 빠지기 시작했고 헤어스타일 또한 상당히 아이돌스럽게 바꾸었다. 앨범 자체는 수작으로 평가받지만, 강력한 훅이 있는 곡이 없어서 그런지 상업적으로는 이전 앨범에 비해 좋지 않았으며, 대중적인 인기도 이 때를 기점으로 눈에 띄게 떨어지게 된다. 타이틀곡 '미래'는 드럼&베이스 장르의 댄스곡으로 투니버스에서도 '[[태양의 용자 파이버드|지구용사 선가드]]'의 장면을 편집해서 매드무비로 심심치 않게 상영된다. 문제는 그 곡의 후렴구가 [[다윈 4078]] 게임 배경음악과 멜로디가 유사한데, 하필 이 앨범 나온 시기에 다윈 4078이 MAME로 구동되어서... 한편 '여름은 가득히'는 듀스의 대표곡인 '여름 안에서'를 샘플링한 곡으로 김성재의 추모곡이다. === 3집 完全 HIP-HOP ([[2000년]] [[1월 21일]]) === ||<-2> '''{{{#ffffff 完全 HIP-HOP}}}''' || ||<-2> [[파일:attachment/DO_3.jpg|width=500]] || ||<-2> '''{{{#ffffff 정규 3집}}}''' || || '''{{{#ffffff 아티스트}}}''' || '''[[이현도|{{{#ffffff D.O}}}]]''' || || '''{{{#ffffff 발매일}}}'''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2000년|{{{#ffffff 2000년}}}]]''' '''[[1월 21일|{{{#ffffff 1월 21일}}}]]''' || || '''{{{#ffffff 기획사}}}''' || '''{{{#ffffff 예당음향}}}''' || || '''{{{#ffffff 유통사}}}''' || '''{{{#ffffff RIAK}}}''' || || '''{{{#ffffff 재생시간}}}''' || '''{{{#ffffff 1:00:30}}}''' || || '''{{{#ffffff 타이틀곡}}}''' || '''{{{#ffffff 삐에로 (Feat. JED Of D.Bace)}}}''' || ||
{{{#ffffff '''트랙'''}}} || {{{#ffffff '''곡명'''}}} || {{{#ffffff '''작사'''}}} || {{{#ffffff '''작곡'''}}} || {{{#ffffff '''편곡'''}}} || || 01 || Disaster's Orbit ||<-3> [[이현도]] || || 02 || '''삐에로 (Feat. JED Of [[디베이스|D.Bace]])'''[* CD에는 피처링이 '''D-Base, Jed'''로 나와있으나 현재 음원사이트에는 어쩐 일인지 이렇게 표시 되어 있다. 아무튼 이 곡의 피처링은 전 디베이스 멤버인 환호, 수안, 제드이다. 참고로 디베이스는 데뷔전까지는 이현도 본인의 홈페이지든 매체에든 항상 'D-Base'로 표기되었는데 데뷔 직전에 표기가 변경되었고, 당시만 해도 환호와 수안은 정식 멤버였지만, 제드는 진원(마스타우)을 대체할 객원 랩퍼가 될 예정이었다. 그래서 따로 표기된 것.] || [[이현도]], JED Of [[디베이스|D.Bace]] ||<|13><-2> [[이현도]] || || 03 || 투혼 (Feat. [[라이머|Rhymer]], Gang Ghis, [[마스타 우|진원]]) || [[이현도]], [[라이머|Rhymer]], Gang Ghis, [[마스타 우|진원]] || || 04 || Party! (Feat. [[윤미래|타샤니]], [[마스타 우|진원]]) || [[이현도]], [[윤미래|타샤니]], [[마스타 우|진원]] || || 05 || 비틀린 세상 (Feat. KAOS, [[마스타 우|진원]]) || [[이현도]], KAOS, [[마스타 우|진원]] || || 06 || Beat Box & Free Stylez (Live at Club Master Plan 1999.11.18) (Beatbox by [[이현도|D.O]]) (Feat. INFINITE, [[마스타 우|진원]], [[디지털마스타|Digital Master]]) (Scratching DJ Wreckx) || [[이현도]], INFINITE, [[마스타 우|진원]], [[디지털마스타|Digital Master]], DJ Wreckx || || 07 || 힙합 ([[김수용(만화가)|김수용]] 원작 애니메이션 '[[힙합(만화)|힙합]]' Sound Track) (Feat. KAOS, JED Of [[디베이스|D.Bace]], [[마스타 우|진원]], INFINITE) || [[이현도]], KAOS, JED Of [[디베이스|D.Bace]], [[마스타 우|진원]], INFINITE || || 08 || Life Time (Feat. 김유숭) || [[이현도]], 김유숭 || || 09 || 돈이 Money? (Feat. [[김진표(가수)|김진표]], [[마스타 우|진원]]) || [[이현도]], [[김진표(가수)|김진표]], [[마스타 우|진원]] || || 10 || Goody 구리 || [[이현도]] || || 11 || King With No Crown (Feat. [[타이거 JK|Tiger JK]], [[마스타 우|진원]], SEVEN[* 마스터플랜에서 활동하였으며 MP 사대천왕이라고도 불렸던 그룹 다 크루(Da Crew)의 래퍼 세븐. 본명은 최재원.]) || [[이현도]], [[타이거 JK|Tiger JK]], [[마스타 우|진원]], SEVEN || || 12 || DJing (Live at Club Master Plan) (By DJ Wreckx)[* 클럽 마스터플랜에서 라이브 공연중인걸 수록. 턴테이블을 맡은 사람은 DJ Wreckx다.] || [[이현도]] || || 13 || [[이면(이현도)|이면(異面)]] (With [[CRASH|Crash]]) || [[이현도]], [[CRASH|Crash]] || || 14 || 흑열가(黑熱歌) (Feat. Levas, DJ Wreckx, [[조PD]], [[디지털마스타|Digital Master]], [[DJ Shine]], [[타이거 JK|Tiger JK]], T'ache Of [[사이드 비|Side-B]], [[윤미래|타샤]], [[마스타 우|진원]], Gang Ghis a.k.a Dan, SEVEN a.k.a J1 from Da Crew) || [[이현도]], Levas, DJ Wreckx, [[조PD]], [[디지털마스타|Digital Master]], [[DJ Shine]], [[타이거 JK|Tiger JK]], T'ache Of [[사이드 비|Side-B]], [[윤미래|타샤]], [[마스타 우|진원]], Gang Ghis a.k.a Dan, SEVEN a.k.a J1 from Da Crew || [[2000년]] [[1월 21일]] 발매된 [[이현도]]의 3번째 앨범. 앨범 제목인 '완전힙합'은 '''완전하지 않다는 역설적인 의미'''라고 한다. 이현도가 힙합계에 남긴 것을 언급할 때 절대 빠지지 않는 앨범이다. 당시 언더그라운드와 메인스트림을 아우르는 다양한 랩퍼들의 참여나, 당시에나 현재로써도 상당히 수준급의 비트와 다채로운 시도로 화제가 되었고, 현재까지 힙합 명반을 꼽는다면 반드시 언급되는 앨범 중 하나다. 타이틀인 "삐에로"는 원래는 진원(現 [[마스타 우]])이 피처링할 예정이었으나, 진원이 앨범 발매 직전 방출되면서 당시 이현도가 기획하던 남성 그룹 [[디베이스]]의 랩퍼 제드로 피쳐링진이 변경되었다. 곡의 인트로 부분은 [[김완선]]의 [[김완선#s-2.2|삐에로는 우릴 보고 웃지]]에서 가져왔다. 또한 수록곡 'Party'에는 평소에도 친분이 깊었던 [[NRG(아이돌)|NRG]]를 직접적으로 언급하였다.[* '마치 나와 친구들 같이 노는 NRG 동생들 처럼 말이지.'][* 그 중에도 [[김환성]]과 친분이 두터웠으며 이 때문에 [[이현도]]는 절친한 [[김성재|친]][[김환성|구]]를 두 번이나 잃은 셈이다. 사실 정확히 따지면 [[김환성]]은 [[이현도]]의 친구보다는 동생에 가까운 위치이다. 나이 차이만 9살이니...] [[CRASH]]와 공동 작업한 '이면'은 크래쉬 4집에도 실려 있다. 음반 판매량은 한터차트를 기준으로 약 10만장 정도이다. === 4집 The New Classik... And You Don't Stop ([[2004년]] [[12월 17일]]) === ||<-2> '''{{{#ffffff The New Classik ...And You Don't Stop}}}''' || ||<-2> [[파일:attachment/DO_4.jpg|width=500]] || ||<-2> '''{{{#ffffff 정규 4집}}}''' || || '''{{{#ffffff 아티스트}}}''' || '''[[이현도|{{{#ffffff D.O}}}]]''' || || '''{{{#ffffff 발매일}}}'''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2004년|{{{#ffffff 2004년}}}]]''' '''[[12월 17일|{{{#ffffff 12월 17일}}}]]''' || || '''{{{#ffffff 기획사}}}''' || '''{{{#ffffff 예당음향}}}''' || || '''{{{#ffffff 유통사}}}''' || '''{{{#ffffff RIAK}}}''' || || '''{{{#ffffff 재생시간}}}''' || '''{{{#ffffff 1:07:03}}}''' || || '''{{{#ffffff 타이틀곡}}}''' || '''{{{#ffffff 힙합구조대 (Feat. [[김진표(가수)|{{{#ffffff 김진표}}}]], [[김창열|{{{#ffffff 김창열}}}]], [[BILL STAX|{{{#ffffff 바스코}}}]], [[에릭(신화)|{{{#ffffff 에릭}}}]], [[에픽하이|{{{#ffffff 에픽하이}}}]], [[이준(솔리드)|{{{#ffffff 이준}}}]], [[이현도|{{{#ffffff 이현도}}}]], [[조피디|{{{#ffffff 조PD}}}]], [[주석(가수)|{{{#ffffff 주석}}}]])}}}''' || ||
{{{#ffffff '''트랙'''}}} || {{{#ffffff '''곡명'''}}} || {{{#ffffff '''작사'''}}} || {{{#ffffff '''작곡'''}}} || {{{#ffffff '''편곡'''}}} || || 01 || Intro || - ||<|19><-2> [[이현도]] || || 02 || '''힙합구조대 (Feat. [[김진표(가수)|김진표]], [[김창열]], [[BILL STAX|바스코]], [[에릭(신화)|에릭]], [[에픽하이]], [[이준(솔리드)|이준]], [[이현도]], [[조PD]], [[주석(가수)|주석]])''' || [[이현도]], [[김진표(가수)|김진표]], [[김창열]], [[BILL STAX|바스코]], [[에릭(신화)|에릭]], [[에픽하이]], [[이준(솔리드)|이준]], [[조PD]], [[주석(가수)|주석]] || || 03 || One & Only (Feat. [[주석(가수)|주석]]) || [[이현도]], [[주석(가수)|주석]] || || 04 || Watch Yo' Back (Feat. [[데프콘(가수)|데프콘]], [[BILL STAX|바스코]]) || [[이현도]], [[데프콘(가수)|데프콘]], [[BILL STAX|바스코]] || || 05 || City Of Mine (Feat. [[에릭(신화)|에릭]], [[이민우(신화)|이민우]], Accent) || [[이현도]], 에릭, [[이민우(신화)|이민우]], Accent || || 06 || 센스 멋쟁이 (Feat. [[45RPM]], 라임버스, 레드락, [[이하늘]], Leo Kekda) || [[이현도]], [[45RPM]], 라임버스, 레드락, [[이하늘]], Leo Kekoa || || 07 || Quin.Tes.Sence || [[이현도]] || || 08 || My Life. 나의 삶 (Feat. [[에픽하이]]) || [[이현도]], [[에픽하이]] || || 09 || 나의 도리 (Feat. [[MC 스나이퍼|MC Sniper]]) || [[이현도]], [[MC 스나이퍼|MC Sniper]] || || 10 || 행진 90 (Feat. JED Of D.Bace, [[라이머|Rhymer]]) || [[이현도]], JED Of D.Bace, [[라이머|Rhymer]] || || 11 || 소나기 (Feat. [[조PD]]) || [[이현도]], [[조PD]] || || 12 || 조금 더 (Feat. [[디기리]], 임석) || [[이현도]], [[디기리]], 임석 || || 13 || Learned Instinct (Skit) || - || || 14 || 최고 (Feat. [[김진표(가수)|김진표]]) || [[이현도]], [[김진표(가수)|김진표]] || || 15 || Ride With Us (Feat. Bling Starz[* Square ([[Supasize]], Sam Skinnie), [[Bizniz|Young GM]]], C-Luv) || [[이현도]], Bling Starz, C-Luv || || 16 || Living Legend (Feat. [[버벌진트]], [[Infinite Flow]]) || [[이현도]], [[버벌진트]], [[Infinite Flow]] || || 17 || Joy (Feat. 이준, [[린(가수)|린]]) || [[이현도]], 이준, [[린(가수)|린]] || || 18 || And You Don't Stop (Outro) || [[이현도]] || || 19 || 힙합구조대 (Feat. [[김진표(가수)|김진표]], [[김창열]], [[BILL STAX|바스코]], [[에릭(신화)|에릭]], [[에픽하이]], [[이준(솔리드)|이준]], [[이현도]], [[조PD]], [[주석(가수)|주석]]) (Radio Edit) || [[이현도]], [[김진표(가수)|김진표]], [[김창열]], [[BILL STAX|바스코]], [[에릭(신화)|에릭]], [[에픽하이]], [[이준(솔리드)|이준]], [[이현도]], [[조PD]], [[주석(가수)|주석]] || [[2004년]] [[12월 17일]] 발매된 [[이현도]]의 4번째 앨범. 3집도 프로듀싱 앨범 성격이 있었지만, 4집은 완전히 프로듀싱 앨범이라서 정규앨범으로 분류하기도 애매할 정도이다. 이 앨범을 끝으로 가수로서의 활동은 중단하게 된다. 16번 트랙인 'Living Legend'에서 [[버벌진트]]의 벌스는 지금도 힙합팬들에게 레전드로 꼽히고 있다. 2020년 6월 19일 부로 현재 모든 음원사이트에서 들을수 있다. == [[컴필레이션 앨범|비정규 앨범]] == === D.O Still Alive ([[1997년]] [[1월 20일]]) === [[파일:attachment/DO_LIVE.jpg]] ||<-3> '''{{{#ffff4e D.O Still Alive}}}''' || || '''{{{#ccf8ff 트랙}}}''' || '''{{{#ccf8ff 제목}}}''' || '''{{{#ccf8ff 특이사항}}}''' || || '''1''' || 이현도! || || || '''2''' || 운명에 맞서다 || || || '''3''' || 사자후 || || || '''4''' || Opening Ment || || || '''5''' || 뭘! || || || '''6''' || 사랑노래 || || || '''7''' || 기다림 || || || '''8''' || 여름 안에서 (Featuring 여러분) || || || '''9''' || Waltz For Laurie || || || '''10''' || 또 하나의 슬픔 || || || '''11''' || 적의 || || || '''12''' || 친구에게 || || || '''13''' || 널 바라보며 || || || '''14''' || 'Player``s Anthem Featuring JinuSean' || || || '''15''' || 사자후(Remix+Finale) || || [[1997년]] [[1월]], 올림픽공원 펜싱경기장 (現 SK 올림픽 핸드볼 경기장)에서 열렸던 공연실황 라이브 앨범으로 자서전인 "24살의 사자후"의 내용을 일부 공개했다. 테이프와 CD의 수록곡 차이가 있다면 테이프에는 Waltz For Laurie가 미수록되어 있다. 듀스 시절의 곡은 예전의 듀스 라이브 앨범의 편곡을 그대로 갖다 썼다. === 사랑해 ([[1997년]] [[6월 20일]]) === [[파일:attachment/DO_L.jpg|width=300]] ||<-3> '''{{{#ffff4e 사랑해}}}''' || || '''{{{#ccf8ff 트랙}}}''' || '''{{{#ccf8ff 제목}}}''' || '''{{{#ccf8ff 특이사항}}}''' || || '''1''' || 사랑해 (Prologue) || || || '''2''' || 사랑해 (D.O Original Mix) || 타이틀곡 || || '''3''' || 사랑해 (Hiphop ver.) || || || '''4''' || 사랑해 (Techno Mix) || || || '''5''' || 사랑해 (Hiphop Radio Edit) || || || '''6''' || 널 바라보며 (Mo' Piano Mix) || || [[봄여름가을겨울]] 2집에 수록된 동명의 곡을 샘플링한 곡이다. 현재는 음원 사이트의 영향으로 오히려 [[앨범#s-3|정규앨범]]보다 [[싱글(음악)|싱글]]이 많지만, 당시에는 싱글이 흔하지 않았다. 미니CD 형태로 발매되었다. 테이프에는 "사랑해 (D.O Original Version)" Instrumental이 보너스 트랙으로 들어있다. === D.O Funk ([[1998년]] [[11월 27일]]) === [[파일:attachment/DO_funk.jpg|width=300]] ||<-3> '''{{{#ffff4e D.O funk }}}''' || || '''{{{#ccf8ff 트랙}}}''' || '''{{{#ccf8ff 제목}}}''' || '''{{{#ccf8ff 특이사항}}}''' || || '''1''' || D.O Funk (Intro) || || || '''2''' || '''폭풍 / You Got The Funk!''' || 타이틀곡 || || '''3''' || Boogie Night || || || '''4''' || '''소년(少年)''' || || || '''5''' || 영원히... || || || '''6''' || Shock! || || || '''7''' || 후배에게 이야기 || || || '''8''' || 제3의 눈 (Feat. [[박찬호|박찬호61]]) || || || '''9''' || New World || || || '''10''' || 왜? || || || '''11''' || 잃어버린 영웅 || || || '''12''' || Sunshine (Feat. [[김종진]] Of [[봄여름가을겨울]]) || || [include(틀:100BEAT 선정 90년대 베스트 앨범, 순위=78)] [[한상원(기타리스트)|한상원]]과 함께 한 프로젝트 앨범. 음악성으로는 높은 평가를 받지만, 흥행은 썩 좋지 않았고 판매량도 5만장이 채 넘지 않는다고 한다.. 무대에서 함께한 댄서인 Flat Top이 한상원보다 더 화제가 되었다는 후문이...... 8번 트랙의 '제3의 눈'에 피처링한 박찬호는 '''야구선수 [[박찬호]]가 맞다.''' 원래 2집에 참여할 예정이었으나 박찬호의 인기에 영합하려 한다는 시선을 우려해 이 앨범에 참여하게 되었다고. 해당 부분 작사까지 본인이 직접 했다. 모 보험 광고에 나오기 14년 전에 이미 랩을 시작한 셈. 2010년 음악웹진 100BEAT가 선정한 [[100BEAT 선정 베스트 앨범 100|1990년대 100대 명반]]에서 78위에 랭크되었다. == 합작 앨범 == === [[Dry Season]] ([[2023년]] [[8월 14일]])[* [[딥플로우]]와의 합작] === ||<-3> '''{{{#ffff4e Dry Season }}}''' || || '''{{{#ccf8ff 트랙}}}''' || '''{{{#ccf8ff 제목}}}''' || '''{{{#ccf8ff 특이사항}}}''' || || '''1''' || Dry Season (Intro) || || || '''2''' || Thirsty || || || '''3''' || Cactus (feat. [[dsel]], [[OHIORABBIT]]) || || || '''4''' || Dry Alert (feat. [[A-Chess]], [[Yonge Jaundice]]) || || || '''5''' || Humidifier (feat. [[dsel]], [[Son Simba]]) || || || '''6''' || Ice Break || || || '''7''' || Fizz || || || '''8''' || Supplement (feat. [[Khundi Panda]]) || || || '''9''' || Desert Fishing (Outro) || || == 참여 == === 2000 대한민국(신나라) ([[1999년]] [[12월 1일]]) === ||<-3> '''{{{#ffff4e 2000 대한민국(신나라)}}}''' || ||<-3> '''{{{#ffff99 CD 2}}}''' || || '''{{{#ccf8ff 트랙}}}''' || '''{{{#ccf8ff 제목}}}''' || '''{{{#ccf8ff 특이사항}}}''' || || '''3''' || 어디쯤 || with Ace Killa, 허인창, 써니사이드 챙, 유승준, 제이 || === 2000 대한민국(천리안) ([[2000년]] [[1월 4일]]) === ||<-3> '''{{{#ffff4e 2000 대한민국(천리안)}}}''' || || '''{{{#ccf8ff 트랙}}}''' || '''{{{#ccf8ff 제목}}}''' || '''{{{#ccf8ff 특이사항}}}''' || || '''10''' || Do Da Right One || Feat. 진원 || === Hiphop Karisma ([[2002년]] [[2월 14일]]) === ||<-3> '''{{{#ffff4e Hiphop Karisma}}}''' || || '''{{{#ccf8ff 트랙}}}''' || '''{{{#ccf8ff 제목}}}''' || '''{{{#ccf8ff 특이사항}}}''' || || '''2''' || Fish || Feat. JED || === 재회(再會) (Remake Special) ([[2002년]] [[12월 1일]]) === ||<-3> '''{{{#ffff4e 재회(再會)}}}''' || ||<-3> '''{{{#ffff99 CD 2}}}''' || || '''{{{#ccf8ff 트랙}}}''' || '''{{{#ccf8ff 제목}}}''' || '''{{{#ccf8ff 특이사항}}}''' || || '''4''' || 매일 그대와 || 리메이크 || === MP Hiphop 2002 風流(풍류) Part.2 ([[2002년]] [[12월 10일]]) === ||<-3> '''{{{#ffff4e MP Hiphop 2002 風流(풍류) Part.2}}}''' || || '''{{{#ccf8ff 트랙}}}''' || '''{{{#ccf8ff 제목}}}''' || '''{{{#ccf8ff 특이사항}}}''' || || '''3''' || What Da Fuck U Want?! || Feat. SQUARE || === The Friends Vol.1 ([[2005년]] [[12월 8일]]) === ||<-3> '''{{{#ffff4e The Friends Vol.1}}}''' || || '''{{{#ccf8ff 트랙}}}''' || '''{{{#ccf8ff 제목}}}''' || '''{{{#ccf8ff 특이사항}}}''' || || '''7''' || My Luv || Feat. SQUARE, C-LUV || === Just kick off green shouting ([[2012년]] [[8월 5일]]) === ||<-3> '''{{{#ffff4e Just kick off green shouting}}}''' || || '''{{{#ccf8ff 트랙}}}''' || '''{{{#ccf8ff 제목}}}''' || '''{{{#ccf8ff 특이사항}}}''' || || '''?''' || 전북 승리의 찬가 (Rock Version) || || || '''?''' || 전북 승리의 찬가 (Dance Version) || || === SBS 슈퍼매치 ([[2013년]] [[8월 24일]]) === ||<-3> '''{{{#ffff4e SBS 슈퍼매치}}}''' || || '''{{{#ccf8ff 트랙}}}''' || '''{{{#ccf8ff 제목}}}''' || '''{{{#ccf8ff 특이사항}}}''' || || '''1''' || 여행을 떠나요 || with [[김태우(god)|김태우]], 방송 음원 || == 피처링 == === Superior Vol. 1 This Iz My Life ([[2003년]] [[11월 19일]]) === ||<-4> '''{{{#ffff4e Superior Vol. 1 This Iz My Life}}}''' || || '''{{{#ccf8ff 트랙}}}''' || '''{{{#ccf8ff 제목}}}''' || '''{{{#ccf8ff 가수}}}''' || '''{{{#ccf8ff 특이사항}}}''' || || '''7''' || Ballin` 2k3(Feat. D.O) || [[주석(가수)|주석]] || || === 검은 띠 ([[2009년]] [[2월 12일]]) === ||<-4> '''{{{#ffff4e 검은 띠}}}''' || || '''{{{#ccf8ff 트랙}}}''' || '''{{{#ccf8ff 제목}}}''' || '''{{{#ccf8ff 가수}}}''' || '''{{{#ccf8ff 특이사항}}}''' || || '''3''' || Sign (Feat. 이현도 Aka D.O)||L.E.O.(現 Leo Kekoa) || || === 문나이트90 ([[2011년]] [[10월 13일]]) === ||<-4> '''{{{#ffff4e 문나이트 90}}}''' || || '''{{{#ccf8ff 트랙}}}''' || '''{{{#ccf8ff 제목}}}''' || '''{{{#ccf8ff 가수}}}''' || '''{{{#ccf8ff 특이사항}}}''' || || '''1''' || 문나이트 (Feat. D.O) || [[UV]] || || === MYNAME 3rd Single Album ([[2013년]] [[10월 11일]]) === ||<-4> '''{{{#ffff4e MYNAME 3rd Single Album}}}''' || || '''{{{#ccf8ff 트랙}}}''' || '''{{{#ccf8ff 제목}}}''' || '''{{{#ccf8ff 가수}}}''' || '''{{{#ccf8ff 특이사항}}}''' || || '''2''' || Day By Day (Feat. D.O) || [[마이네임]] || || === 주레카(Zooreca) ([[2014년]] [[3월 19일]]) === ||<-4> '''{{{#ffff4e 주레카(Zooreca)}}}''' || || '''{{{#ccf8ff 트랙}}}''' || '''{{{#ccf8ff 제목}}}''' || '''{{{#ccf8ff 가수}}}''' || '''{{{#ccf8ff 특이사항}}}''' || || '''8''' || 나비야 (Feat. D.O) || 우탄 || || [[분류:아티스트별 음반 목록]][[분류:한국의 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