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현승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이현승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3>
[[파일:external/s20.postimg.org/doosan2015.png|width=auto&height=50]][[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fkcw24qrh1sqk8veo5_r1_540.png|width=auto&height=50]][[파일:두산 2019V6.png|width=auto&height=50]][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반지''' || || '''[[2015 한국시리즈|{{{#FFFFFF 2015}}}]]''' || '''[[2016 한국시리즈|{{{#FFFFFF 2016}}}]]''' || '''[[2019 한국시리즈|{{{#FFFFFF 2019}}}]]''' || ---- ||
[[파일:WBSC 프리미어 12 엠블럼.svg|width=auto&height=70]][br]'''2015 프리미어 12[br]{{{#004687 우승반지}}}''' || || '''[[김인식호/2015년|{{{#FFFFFF 2015}}}]]''' || ---- ||
[[KBO 리그|[[파일:KBO 로고(세로형, 2013~2021).svg|width=25]]]] '''{{{#ffffff [[KBO 준플레이오프/2015년|{{{#fae7a6 KBO 포스트시즌}}}]]}}}''' [br] '''{{{#ffffff 2015 준플레이오프 MVP}}}''' || ---- ||<-5>
'''{{{#fab93d [[현대 유니콘스|{{{#fab93d 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29번}}}''' || || [[마일영]][br](2000~2004) || {{{+1 →}}} || '''{{{#fab93d 이현승[br](2006)}}}''' || {{{+1 →}}} || [[마일영]][br](2007) || ||<-5> '''{{{#fab93d [[현대 유니콘스|{{{#fab93d 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48번}}}''' || || [[노병오]][br](2004~2006) || {{{+1 →}}} || '''{{{#fab93d 이현승[br](2007)}}}''' || {{{+1 →}}} || 팀 해체 || ||<-5> '''{{{#fff [[우리 히어로즈|'''{{{#fff 우리}}}''']] / [[서울 히어로즈|'''{{{#fff 서울 히어로즈}}}''']] 등번호 48번}}}''' || || 팀 창단 || {{{+1 →}}} || '''이현승[br](2008~2009)''' || {{{+1 →}}} || [[금민철]][br](2010~2011)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58번}}}''' || || [[금민철]][br](2005~2009) || {{{+1 →}}} || '''이현승[br](2010~2011)''' || {{{+1 →}}} || 신동규[br](2012~2013)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48번}}}''' || || [[함덕주]][br](2013) || {{{+1 →}}} || '''이현승[br](2014~2017)''' || {{{+1 →}}} || [[김민혁(1996)|김민혁]][br](2018)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3번}}}''' || || [[서예일]][br](2016~2017) || {{{+1 →}}} || '''이현승[br](2018)''' || {{{+1 →}}} || [[송승환(야구선수)|송승환]][br](2019)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48번}}}''' || || [[김민혁(1996)|김민혁]][br](2018) || {{{+1 →}}} || '''이현승[br](2019~2022)''' || {{{+1 →}}} || [[브랜든 와델|브랜든]][br](2023~) || }}} || ---- || '''{{{#FFFFFF A대표팀 참가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김인식호/2015 프리미어 12 엔트리)] ---- [include(틀:김인식호/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엔트리)] }}} || }}}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이현승2021.png|width=100%]]}}} || ||<-2> '''{{{+2 이현승}}}[br]李賢承 | Lee Hyeon-Seung''' || ||<|2> '''출생''' ||[[1983년]] [[10월 11일]] ([age(1983-10-11)]세)|| ||[[인천광역시]] [[서구(인천광역시)|서구]]||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인천서화초등학교|서화초]] - [[인천재능중학교|대헌중]][* 현재는 인천재능중.] - [[동산고등학교 야구부|동산고]] - [[인하대학교 야구부|인하대]]|| || '''신체''' ||179cm | 87kg | [[B형]]|| || '''포지션''' ||[[투수]]|| || '''투타''' ||[[좌투좌타]]||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02년/신인드래프트#s-3.2|2002년 2차 3라운드]] (전체 26번, [[현대 유니콘스|현대]])|| || '''소속팀''' ||[[현대 유니콘스]] (2006~2007) [br] '''[[우리 히어로즈|우리]]-[[서울 히어로즈]] (2008~2009)''' [br] '''[[두산 베어스]] (2010~2022)'''|| ||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12~2013)|| || '''등장곡''' ||[[Dok2]] - Still On My Way (feat. [[Zion.T]])[* 2016년부터 사용.]|| || '''가족''' ||아내^^(2011년 결혼 - 현재)^^[br]딸 이효주^^(2011년생)^^|| || '''에이전트''' ||[[http://www.montissports.com/kr/contents/players.html?cate=1|[[파일:몬티스 스포츠 로고.png|width=85]]]] || || '''후원사''' ||[[파일:FILA 로고.svg|width=30|FILA]][* FILA 코리아 후원]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현대 유니콘스]], [[키움 히어로즈|우리-서울 히어로즈]], [[두산 베어스]] 소속 좌완 투수. [[두산 베어스]]의 2015, 2016 시즌 2년 연속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끈 마무리 투수였으며, 이후에도 경험을 앞세워 베테랑 좌완 계투로서 팀의 불펜진에 힘을 보탰다. == [[이현승(야구선수)/선수 경력|선수 경력]] == || '''이현승의 선수 경력'''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4> '''통합 선수 경력 : [[이현승(야구선수)/선수 경력]]''' || ||<-4>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10]] || || [[이현승(야구선수)/선수 경력#s-2.1|'''{{{#fab93d 2006년}}}''']] || [[이현승(야구선수)/선수 경력#s-2.2|'''{{{#fab93d 2007년}}}''']] || [[이현승(야구선수)/선수 경력#s-3.1|'''{{{#FFFFFF 2008년}}}''']] || [[이현승(야구선수)/선수 경력#s-3.2|'''{{{#FFFFFF 2009년}}}''']] || || [[이현승(야구선수)/선수 경력#s-4.1|'''{{{#FFFFFF 2010년}}}''']] || [[이현승(야구선수)/선수 경력#s-4.2|'''{{{#FFFFFF 2011년}}}''']] || [[이현승(야구선수)/선수 경력#s-4.3|'''{{{#2c292a 군 복무}}}''']] || [[이현승(야구선수)/선수 경력#s-4.4|'''{{{#FFFFFF 2014년}}}''']] || || [[이현승(야구선수)/선수 경력/2015년|'''{{{#FFFFFF 2015년}}}''']] || [[이현승(야구선수)/선수 경력/2016년|'''{{{#FFFFFF 2016년}}}''']] || [[이현승(야구선수)/선수 경력#s-4.7|'''{{{#FFFFFF 2017년}}}''']] || [[이현승(야구선수)/선수경력#s-4.8|'''{{{#FFFFFF 2018년}}}''']] || || [[이현승(야구선수)/선수 경력#4.9|'''{{{#FFFFFF 2019년}}}''']] || [[이현승(야구선수)/선수 경력/2020년|'''{{{#FFFFFF 2020년}}}''']] || [[이현승(야구선수)/선수 경력/2021년|'''{{{#FFFFFF 2021년}}}''']] || [[이현승(야구선수)/선수 경력/2022년|'''{{{#FFFFFF 2022년}}}''']] || ||<-4>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50]] || ||<-2> [[이현승(야구선수)/선수 경력#s-5.1|'''{{{#FFF 2015년}}}''']] ||<-2> [[이현승(야구선수)/선수 경력#s-5.2|'''{{{#FFFFFF 2017년}}}''']] || }}}}}}}}} || == 피칭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혐패옹떨공.gif|width=100%]]}}} || || '''125km/h 횡 슬라이더'''[br]vs [[김현수(1988)|김현수]] (2021년 6월 14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5 한국시리즈 우승.gif|width=100%]]}}} || || '''132km/h 커터성 슬라이더'''[br]vs [[배영섭]] (2015년 10월 31일)[* '''[[2015년 한국시리즈]] 5차전 우승 순간.'''] || 두둑한 배짱을 바탕으로 공격적인 피칭을 벌이는 투수이다. 평균 141km/h, 최고 148km/h의 패스트볼[* 컨디션의 차이가 패스트볼 구속으로 거의 드러 나는 편이다. 올라와서 던지는 첫번째 패스트볼로 그날 컨디션 파악이 가능할 정도인데 컨디션이 좋은 날은 143~144km를 던지지만 컨디션이 나쁠땐 137~138km대의 패스트볼을 던진다. 구속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조금씩 떨어지고 있다.]과 130km/h대 초반의 종슬라이더를 주무기로 쓰는데, 슬라이더의 낙폭이 매우 커 결정구로 자주 쓰인다. 16시즌에 들어서는 슬라이더를 스트라이크 존 안으로 넣어 승부하고 포크볼을 유인구로 던지는 패턴으로 조금 변화를 주고 있는 모습. 80km대 후반~100km/h대 초반의 느린 커브를 가끔식 보여주는 공으로 던지기도 한다. 노쇠화 여파로 한동안 부진하다가 부활에 성공한 2021년에는 패스트볼 구사를 줄이고 슬라이더와 포크볼 투구 빈도를 늘리면서, 두 변화구로 타이밍을 빼앗고 허를 찌르는 패스트볼로 재미를 보는 모습이 많다. 메이저리그로 치면 여러모로 [[텍사스 레인저스]]의 [[윌 스미스(1989)|윌 스미스]]와 비슷한 느낌이 되었다. [[2015 WBSC 프리미어 12/결선 토너먼트/준결승 2경기|2015 프리미어 12 일본전]]에서 마무리 투수로 올라왔을 때 이현승의 연습투구를 본 해설자이자 전직 메이져리그 마무리 투수 [[사사키 가즈히로]]는 이현승의 직구가 커터성 무브먼트를 갖는다고 평가했다 단점이라면 패스트볼의 구위가 썩 좋은 편은 아니라는 것. 때문에 공격적인 피칭을 보이는 것과는 별개로 삼진을 잘 잡아내지는 못하며[* 통산 K/9 6.43. 불펜 투수는 인플레이 타구를 억제하는 능력이 중요하기에 높은 탈삼진율이 필수적이다.], 제구가 잘 되지 않은 날이면 맞는 공마다 정타로 쭉쭉 뻗어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마무리 투수에게는 치명적인 단점인데, 2016 시즌에 이것이 제대로 터져버렸다. 16시즌 들어서 15시즌보다 패스트볼의 구속, 구위가 상당 부분 감소한 것이 치명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09년 선발 때를 제외하고는 HR/9이 1을 넘어가지는 않았는데, 9월 3일 기준 HR/9 1.29.] 주자 견제 능력도 뛰어나다. 기본적으로 좌완이라는 이점이 있는 데다 서로 다른 두 가지의 슬라이드 스텝을 지니고 있어 상대 주자가 방심하다가 걸리는 경우가 적지 않다. 위의 단점과는 어울리지 않게 유인구 싸움보다는 정면승부를 자주 한다. 흔히 볼질하는 투수에게 하는 말인 '맞더라도 가운데 넣어라' 의 표본 같은 선수인데 130km 초중반대의 패스트볼을 노볼 투스트라이크 상황에서 칠 거면 쳐보라는 심정으로 스트라이크 존 한가운데에 집어넣는 충격적인 피칭을 보여준다. 다만 이런 강심장이 포스트시즌엔 장점으로 돌아와 포스트시즌엔 강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 때문에 '가을현승'이라고도 불린다. 15시즌 이후 두산 팬들은 [[정수빈]]과 이현승이 활약하는 모습을 보며 가을이 온 것을 실감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 == 수상 내역 == || '''수상''' ||한국시리즈 우승 3회 (2015, 2016, 2019) [br] 준플레이오프 MVP (2015) || == 여담 == * 포스트시즌에 강하다. 포스트시즌 통산 성적은 '''44'''경기[* [[이혜천]]에 이어 통산 2위] 3승 1패 5홀드 4세이브 40이닝 ERA 1.58 WHIP 1.18 * 10억 군인 드립에 대해 구단 간의 이적료임에도 '너도 받았냐?'고 오해를 많이 받은 모양이다. * 인천 부평에서 [[투썸플레이스]] 카페를 운영 중이라고 한다. 은퇴 후에는 방이동에 고깃집을 개업했다고 한다. * 2021 시즌 이후 나이를 거꾸로 먹은 듯한 활약 덕에 아가현승이란 별명이 생겼다. 팬들 사이에선 아예 신인투수 취급중. * [[탈색]]과 [[염색]]을 자주 하기로 유명한데, 머릿결이 가늘어서 투구할 때 모자가 벗겨지기 때문에 염색을 자주 한다는 이야기가 있다. [[파일:귀싸대기를 그냥.jpg]] * 전역 이전에는 [[임창용]]과 묘하게 닮은 편이었다.[* 사진에서 뒷쪽 오른편에 선글라스 낀 선수가 이현승이다. 왼쪽은 [[김동주(타자)|김동주]], 아래쪽은 [[정수빈]].] * [[일본어]]를 어느 정도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코로나 이전 일본에서 열린 스프링캠프에서도 선수단에서 번역을 조금 하기도 했었고, 2020년 새로 들어온 [[안권수]]의 팀 적응을 [[신성현]][* 이쪽은 고등학교 시절부터 일본으로 유학을 떠나 [[히로시마 도요 카프]] 입단을 통해 선수 데뷔를 도전했던 케이스다.]과 함께 도와주기도 했다고. * 2016년에 4월 28일에 [[김재환(야구선수)|김재환]]이 끝내기 홈런을 치고 [[유희관]]에게 배트를 집어던지듯 신경질을 냈다. 그런데 상무 피닉스 시절 같이 군생활을 했고 유희관이 이현승보다 군생활을 할 때는 1년 선임이었으며, 유희관이 상병일 때 이현승은 이등병이었다. 그 후엔 별 일 없이 잘 선수 생활을 하고 둘이서 같이 런닝하는 사진이 찍힌 것을 보면 트러블 없이 해프닝이 마무리된 것으로 추정된다. * 은퇴 이후 서울 방이동에서 '운집'이라는 (우대)갈비집을 운영하고 있다. 야구와 전혀 관계 없는 일을 하고 싶었다고. 심수창을 비롯한 주요 야구인 선후배들이 오픈과 함께 방문하였었다. 워낙 두산에서 궂은 일을 맏아주었던 만큼 많은 두산팬들이 방문하고 있으며[* 두산 홈경기나 연승할 때 매출이 오른다고 한다.] 바쁘지않으면 싸인 요청을 다 받아주고 있다. 다만 예약해놓고 두산이 지면 취소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현승, version=78)] [[분류:이현승(야구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