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 엠블럼.svg|width=25]] '''{{{#006640 이화여자대학교 서울병원 관련 틀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종합병원)] [include(틀:이화여자대학교)] [include(틀:이화학당)] }}} || ---- ||<-2>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 엠블럼.svg|width=220]] || ||<-2>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서울병원 로고.svg|width=365]] || ||<-2> {{{+1 {{{#ffffff '''이화여자대학교 서울병원'''}}}}}}[br]{{{#ffffff ''' 梨花女子大學校 서울病院'''}}}[br]{{{#ffffff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HOSPITAL'''}}} || || {{{#ffffff '''국가'''}}}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대한민국]] || || {{{#ffffff '''개원'''}}} ||[[2019년]] [[2월 7일]] || ||<|2> {{{#ffffff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공항대로]] 260 ([[마곡동]]) ||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대로 260 이대서울병원, 너비=100%, 높이=200px)]}}} || || {{{#ffffff '''종류'''}}} ||[[종합병원]] ([[대학병원]]) || || {{{#ffffff '''병상 수'''}}} ||747병상[*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1.06. 입원병실 기준] || || {{{#ffffff '''웹사이트'''}}} ||[[https://seoul.eumc.ac.kr|{{{#006640 이대서울병원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006640,#99ffd9 {{{+1 [[이화여자대학교]] 서울병원(Ewha Womans University Seoul Hospital)}}} }}} || [[파일:이대서울병원.jpg|width=100%]] || || {{{#ffffff '''이대서울병원 전경'''}}} ||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의 제2부속병원으로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마곡지구에 2019년 2월 7일 개원했다.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에 이은 제2부속병원이지만 이대목동병원보다 규모가 더 크고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까지 마곡으로 함께 옮겼기 때문에[[http://today.ewha.ac.kr/221398277903?Redirect=Log&from=postView|#]] 실질적으로는 본원 역할을 할 예정이다. 토지매입비 1,600억 원에 건설비 4,600억 원을 포함, 총 7천억 원이 넘는 돈을 들여서 건립되었다. 병원 규모는 대지면적 10,091평에 지하 6층, 지상 10층의 1,014병상 규모로, 개원전부터 고급화를 표방하며 건설되었다.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으로서는 3번째 [[병원]]인데, 현재는 매각되어서 없어진 동대문병원이 최초이고, 이후 목동병원 - 서울병원 순으로 지어졌다.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공항대로]] 260 ([[마곡동]]) 소재. == 상세 == 이대서울병원은 한국 병원의 기존 진료 시스템과 의료 문화를 바꿀 새로운 형태의 진정한 환자중심 병원을 표방하여 국내 병원 중 최초로 기준 병실 3인실, 전 중환자실 1인실 등 새로운 병실 구조로 설계되었으며, 병원 진료 시스템은 물론 의료 문화 자체를 바꾸는 데 선도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기준 병실 3인실로 이대서울병원에 입원하는 환자들의 경우, 상급병실 차액(추가비용)을 부담하지 않으면서도 보다 쾌적한 병실을 일반병실로 사용할 수 있다. 전체 병상을 1인실로 설계한 [[중환자실]]도 법적으로 정해진 중환자실 입원비만 부담하면 된다. 이대서울병원은 3인실 606병상, 2인실 72병상, 5·10인실(특수병실: 준중환자실, 뇌졸중집중치료실) 60병상, 1인실 129병상, 특실(VIP실, VVIP실) 51병상, 중환자실 96병상 등 총 1,014병상으로 구성된다. 기준 병실인 3인실의 병상당 면적이 10.29㎡로 [[의료법]]상 1인실의 병상당 면적 기준인 6.5㎡보다 월등히 높고, 3인실에 화장실과 세면실이 포함되어 있어 환자 및 보호자의 편의를 높였다. 2인실과 1인실의 병상당 면적도 각각 15.43㎡와 20.72㎡로 높아서 쾌적한 병실 환경을 제공하며, 감염 예방 및 사생활 보호 효과가 높다. 기본 병실로 설계된 3인실은 1인실 2개로 변경이 가능한 가변적 구조여서 향후 의료 환경 변화, 의료 제도 변화, 환자 요구(니즈; Needs) 변화, 병상 가동률 추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3인실 일부에 대한 1인실 전환 추진도 염두에 두고 있다. 국제 수준의 감염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감염에 대한 우려도 철저히 차단된다. [[메르스]]와 같은 호흡기 감염 질환의 관리를 위해서 호흡기[[내과]] 병동은 다른 병동과 공조시스템이 분리되어 있고,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음압 격리 병동을 갖추고 있으며, [[응급실|응급의료센터]] 내에도 음압 격리실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2019 의료건강 사회공헌대상 시상식'에서 종합병원 부문 '''대상'''을 수상하였다. == 층별 안내 == '''1개의 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하6층 지상10층 규모이다.''' ||<-2> '''{{{#fff 10F }}}''' || || 101, 103, 104병동 || ||<-2> '''{{{#ffffff 9F }}}''' || || 91, 92, 93, 94병동 || ||<-2> '''{{{#ffffff 8F }}}''' || || 81, 82, 83, 84병동 || ||<-2> '''{{{#ffffff 7F }}}''' || || 71,72, 73, 76병동 || ||<-2> '''{{{#ffffff 6F }}}''' || || 61, 62, 63병동 || ||<-2> '''{{{#ffffff 5F }}}''' || || 51, 52, 53, 56(격리)병동 || ||<-2> '''{{{#ffffff 4F }}}''' || || 웰니스 건강증진센터 (2) || ||<-2> '''{{{#ffffff 3F }}}''' || || 가정의학과, 내분비내과, 성형외과, 신장내과, 심뇌혈관조영실 || || 심뇌혈관센터, 웰니스 건강증진센터 (1), 이비인후과, 피부과 || ||<-2> '''{{{#ffffff 2F }}}''' || || 모아센터, 영상의학과 (3), 병리과, 비뇨의학과, 산부인과, 안과, 암센터 || || 정신건강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폐센터, 알레르기내과 || ||<-2> '''{{{#ffffff 1F }}}''' || || 감염내과, 웰에이징센터, 영상의학과 (2), 응급의학과 || || 응급의료센터, 의료정보센터, 진료협력센터, [[파리크라상]] || ||<-2> '''{{{#ffffff B1F }}}''' || || 국가검진센터, 관절척추센터, 방사선종양학과 || || 소아청소년과, 치과, 영상의학과 (1), 임상시험센터, 핵의학과 || || [[신한은행]], [[CU]], [[구내식당]], [[공차]] || ||<-2> '''{{{#ffffff B2F }}}''' || || 장례식장 , 관리과, 구매과, 행정과, 대강당 || ||<-2> '''{{{#ffffff B6~B3F }}}''' || || 주차장 || == 여담 == * 막대한 돈이 들었기에 개원 전부터 무려 수백억 이상의 적자가 예상된다는 기사가 보도되는 등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37402|#]] 우려가 컸다. [[서울]] 시내 대형병원은 [[빅5#s-4.1]]가 압도적으로 강한데 거기에 서울시 내에서 또 다른 빅5 계열 대형병원인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이 2019년 4월 개원하면서, 대형병원 사이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었기 때문이다. 결국 2019년 이화의료원의 당기순손실은 766억원으로 확인되었고, 전년도보다 300억 이상 증가한 적자를 기록하였다. [[http://www.newsmp.com/news/articleView.html?idxno=205996|#]] 하지만 2020년 수익 보고 결과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은 전년대비 68억 원이 증가했으며, 서울병원의 경우 2,270억 원으로 전년대비 802억 원이 증가해 성장세에 있다.[[http://m.whosaeng.com/126846|#]] * [[이화여자대학교]]가 마곡지구 병원 건립에 나선 이유는 사실 절박함도 컸다.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의 경쟁력이 약한 상태에서 마곡지구 병원 용지는 대형병원 건립 용지로 [[서울아산병원]], [[을지대학교의료원|을지대학교병원]], [[가천대 길병원]]이 입찰에 관심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대로서는 긴장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과 거리상 불과 5km 정도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위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득이하게 세간의 예상보다 높은 약 2,112억에 단독 입찰가를 제시해 낙찰이 되었다.[[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111130/42244223/1|#]] 건축비 4,163억원, 부지비용 1,606억원, 정보화시스템 1,60억원, 의료장비 700억원, 집기비품 및 제세부담금 200억원, 이자 및 안정화 기금 250억원 등 총 7,079억원대 이다.[[http://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195400|#]] 문제는 이렇게 가까운 곳에 병원이 위치하는 관계로 [[팀킬|자기잠식]]에 빠질 우려가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우려와 달리, 이화여자대학교 서울병원 개원 이후 오히려 흑자전환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http://m.medicaltimes.com/NewsView.html?ID=1126376|#]]. 2020년 역시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과 이화여자대학교 서울병원 모두 수익 증가를 보였다.[[http://www.whosaeng.com/126846|#]] 이화여자대학교 서울병원과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간 의무기록을 공유하면 별도의 서류 없이 양 병원 입원이 용이해 오히려 [[시너지]]를 일으켰고, 우려를 종식시키기 위해 직원들이 필사적인 각오로 일하고 있다는 것이 그 이유. * [[SBS]] 드라마 [[의사요한]] ‘서울한세병원’과 [[tvN]]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 ‘율제병원’의 촬영 장소이다. * [[발산역]]에 대한 부역명에 그닥 집착하지 않는 모습이다. 부역명을 통한 홍보 효과를 무시할 수 없는데 자기네들 비용이 아깝다고 여기는 듯하다.[* [[마곡역]]이었다면 모를까 발산역은 구도시 느낌으로 인해 선호하지 않는듯 하다. 다만 행정구역상 [[마곡동]]에 속하지만 [[내발산동]]에 바로 인접되어있어 발산동 안에있는 병원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많다.] * 서울병원이 개원하면서 [[상급종합병원]]지정에 대해 권역이 겹치는 상급종합병원에서 제외된 목동병원 대신 밀어줄것으로 보였으나 4기 지정에서 목동병원이 상급종합병원으로 재지정되었다 == 교통 == [[김포국제공항]] 근처에 위치해있어 고속도로/고속화도로의 접근성이 우수하며, 5호선과 9호선이 지나가므로 지하철 접근성도 좋다. 다만, 출퇴근 시간대와 여행 시즌에는 인근 김포공항과 부평, 인천, 김포 시가지로 쏠리는 교통량으로 인해 심각한 정체가 발생한다. * 발산역도 이대서울병원을 병기역명을 하려고 했지만 이대서울병원이 참여를 하지 않았다. === 도로 교통 === * [[공항대로]] · [[노들길]] * '''우장산로''': 공항대로가 막힐 경우 우회경로로써 [[TMAP]]이 자주 안내한다. * [[남부순환로]] * [[올림픽대로]]: 가양지하차도와 발산지하차도를 통해 들어올 수 있으나 진출 이후에 상습 정체와 신호 대기로 인해 병원까지 도착하는 데에 생각 외로 시간이 걸리는 편이다. 방화터널로 빠지면 교통량이 적으므로 훨씬 더 빨리 병원에 도착할 수 있다. * [[행주대교]] * [[가양대교]]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김포IC]]를 통해 올 수 있다. [[김포국제공항]] 부근이 막힌다면 [[자유로IC]]로 진출해 [[행주대교]]나 [[가양대교]]를 건너와도 된다.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김포공항IC]]를 통해 올 수 있다. * [[경인고속도로]] · [[신월여의지하도로]]: [[신월IC]]에서 진출하여 [[남부순환로]]를 통해 올 수 있다. * [[평택파주고속도로]]: [[강서IC]]가 2024년에 개통될 예정이다. 대신에 [[흥도IC]] 및 [[남고양IC]]를 통해 [[자유로]] 및 [[강변북로]]로 진출하여 [[행주대교]]나 [[가양대교]]를 건너서 올 수 있다. === 대중교통 === ==== 지하철 ====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5호선]]: [[발산역]]에서 병원과 직접 연결된다.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양천향교역]]에서 버스로 환승할 수 있다.[*목록 [[서울 버스 652]](양방향 이용 가능), [[서울 버스 6630]](양방향 이용 가능), [[서울 버스 6642]](병원 방향으로만 이용 가능), [[서울 버스 6645]](양천향교역 방향으로만 이용 가능), [[서울 버스 6657]](양방향 이용 가능), [[서울 버스 강서06]](양방향 이용 가능), [[김포 버스 1002]](양방향 이용 가능)] * [[파일:AREX_icon.svg|width=20]]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 [[마곡나루역]]에서 [[서울 버스 6645|6645번]], [[서울 버스 6648|6648번]]으로 환승하면 된다.[* 다만 두 노선 모두 병원 부근에서 하차하는 정류장이 다르다. 병원으로 갈때는 6645번 한정으로 발산역 중앙차로 정류장에서 하차하면 된다. 6648번의 경우 '이대서울병원 정류장'에서 하차하면 된다. 반대로 마곡나루역으로 복귀시에는 6645, 6648번 둘 다 똑같이 '발산역9번출구 정류장' 에서 승차하면 된다. 다만 마곡나루역에서 하차할때 나오는 출입구는 9호선 출입구라서 공항철도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환승통로를 지나가야 한다. 당신이 [[인천광역시]]에서 온 사람이라면 [[김포공항역]]에서 5호선으로 갈아타는 방법이 더 좋을 수도 있다.] ==== 버스 ==== 근처에 이대서울병원 정류장과 발산역 정류장이 있다. ===== 서울시 버스 ===== * 간선 버스: [[서울 버스 601]], [[서울 버스 605]], [[서울 버스 652]], [[서울 버스 654]], [[서울 버스 661]], [[서울 버스 N64]] * 지선 버스: [[서울 버스 6629]], [[서울 버스 6630]], [[서울 버스 6632]], [[서울 버스 6642]], [[서울 버스 6645]], [[서울 버스 6648]], [[서울 버스 6657]], [[서울 버스 6712]] * 마을 버스: [[서울 버스 강서05]], [[서울 버스 강서06]] 이 중 6629번, 6648번, N64번은 시내 방향 한정으로 이대서울병원 가변차로에 정차한다. ===== 경기도 버스 ===== * 일반 버스: [[김포 버스 60]], [[김포 버스 60-3]], [[김포 버스 88]], [[김포 버스 1002]] * 광역 버스: [[김포 버스 3000]], [[김포 버스 8000]][* 서울 방향 한정] [각주][[분류:대학병원]][[분류:종합병원]][[분류:서울특별시의 민영병원]][[분류:이화학당]][[분류:이화여자대학교]][[분류:지역응급의료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