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한자의 음과 뜻 == {{{+1 移花接木}}} [[고사성어]]의 하나로, [[무협소설]]에서는 무술 용어의 일종으로 취급된다. 옮길 이, 꽃 화, 사귈 접, 나무 목. 이화접목이란 꽃이 핀 나무를 다른 나무에 접붙인다는 의미로, 남모르게 교묘한 수단으로 몰래 뒤바꾼다는 뜻으로 사용된다. == 유래 == [[전국시대]]의 [[전국사군자|사군자]] 중 한 명인 [[춘신군]]의 고사에서 유래되었다. [[초(춘추전국시대)|초나라]]의 [[고열왕]]은 후사가 없자 춘신군은 자신의 아이를 가진 이원의 여동생을 고열왕의 후궁으로 보냈고 그 때 태어난 춘신군의 아들이 초나라의 태자가 되어 [[초유왕]]이 된 이야기에서 따온 말이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춘신군]] 문서 참조 이 고사 때문에 자신의 아이를 밴 여자를 아무것도 모르는 타인에게 넘겨주어 이득을 노리는, --[[NTR]]-- [[뻐꾸기]]의 [[탁란]] 같은 행위를 이화접목이라고 부른다. 그래서 [[진시황]]의 생부가 아니냐는 의심을 산 [[여불위]] 또한 이화접목의 고사에서 빠지지 않는 인물이다.[* 다만 이쪽은 실제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라기보다는 사실 춘신군의 일화도 어디까지나 설에 불과하다.] == [[무협물]]의 이화접목 == 무협소설 등지에서 이화접목은 특정 [[무공]]의 초식, 또는 무술의 이치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된다. 무리(武理)로서의 이화접목은 공격한 상대가 모르게 적의 힘을 이용해 또 다른 적을 치는 수법을 말한다. 이러한 이화접목의 이치를 따르는 무공의 예시는 《[[천룡팔부]]》에 나오는 [[두전성이]], 《[[의천도룡기]]》에 나오는 [[건곤대나이]], 《[[절대쌍교]]》에 나오는 [[이화접옥신공]] 등을 들 수 있다. [[태극혜검]]이 이화접목의 극치로 나오기도 한다. == 관련 항목 == * [[무공/목록]] * [[무협소설/용어]] [[분류:고사성어]][[분류:무공]][[분류:무공/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