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이황의}}}[br]Lee Hwang-eui'''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황의.jpg|width=100%]]}}} || ||<|2> '''출생''' ||[[1967년]] [[12월 9일]] ([age(1967-12-09)]세) || ||[[충청남도]] [[홍성군]] [[광천읍]] 내죽리[* [[페이스북]]에는 [[충청남도]] [[보령시|보령]]으로 기재되어 있다.] || || '''거주지''' ||[[서울특별시]] || ||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 || '''본관''' ||신평 이씨 ([[https://ko.m.wikipedia.org/wiki/%EC%8B%A0%ED%8F%89_%EC%9D%B4%EC%94%A8|新平 李氏]]) || || '''신체''' ||176cm, 70kg || || '''학력''' ||[[충암고등학교]] {{{-2 (졸업)}}} || || '''데뷔''' ||[[1988년]] 연극 '금관의 예수' || || '''소속사''' ||로로엔터테인먼트 || || '''특기''' ||노래, 기타 연주 || || '''경력''' ||[[2004년]]~[[2010년]] 극단 학전 조연출 || || '''링크''' ||[[https://www.facebook.com/hwangeui.le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https://instagram.com/hwangeuilee?utm_medium=copy_lin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배우]]. 각종 연극, 드라마 등 다양하게 활동 중이다. 연극으로 데뷔하였으며, 연극과 드라마에 많이 출연하였다. 다양한 많은 곳에서 출연 중이라 얼굴을 많이 본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 생애 == 본관은 [[이(성씨)|신평]]이다. 1988년에 시인 [[김지하]]의 희곡 '금관의 예수'로 데뷔하였다. 1995년부터 '극단 학전'의 배우로 활동하며 김민기 연출의 작품들에서 '조연출'과 '배우'로 활약하였다. 현재, [[영화]], [[드라마]], [[연극]] 등에서 꾸준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출연 작품 == === 영화 === || '''{{{#white 개봉 연도}}}''' || '''{{{#white 제목}}}''' || '''{{{#white 배역}}}''' || '''{{{#white 비고}}}''' || || 1999년 || 유령 || 498 || 단역 || ||<|2> 2000년 || 블랙 컷 || 무전기 경찰 || [[단편영화]] || || [[오! 수정]] || 수정 오빠 || 조연 || ||<|2> 2001년 || 숨바꼭질 || [[아빠]] || || || 베사메무쵸 || 한 대리 || 단역 || || 2004년 || [[하류인생(영화)|하류인생]] || 형사 1 || 단역 || || 2006년 || 어느날 갑자기 두번째 이야기 - 네번째 층 || 한창수 || 조연 || ||<|3> 2012년 || [[용의자X]] || 노숙자 1 || 단역 || || 고수 || 무림의 고수 || 29초 영화제 || || 택시 드라이버 || 동광 || [[단편영화]] || || 2014년 || [[하이힐(영화)|하이힐]] || 1인 밴드 || 단역 || ||<|2> 2016년 || '''[[덕혜옹주(영화)|덕혜옹주]]'''[* 여태까지 출연한 영화들 중에서 누적관객 수가 가장 많은 영화. 500만명이 넘는다.] || '''[[이완용]]''' || 조연 || || [[우주의 크리스마스]] || 건물주인 || 단역 || ||<|4> 2017년 || 인질의 극 || 문상언 || 조연 || || 페노미나 || [[아버지]] || || || 돌아온다 || 황의 || || || [[강철비]] || 리만겸 || 단역 || ||<|3> 2018년 || 대국 || [[이세돌]] 아버지 || || || The punishment || || [[단편영화]] || || 청둥아 진정해 || || 주연 || ||<|4> 2019년 || 달팽이 || 집주인 || || || 타선 || [[선생님]] || || || [[어린 의뢰인]] || 면접관 || 단역 || || [[얼굴없는 보스]] || 곽 실장 || 조연 || ||<|3> 2020년 || 비 온 뒤 차차 || [[의사]] || || || 소금 || [[아버지]] || || || '''[[도굴(영화)|도굴]]''' || '''금고기술자''' || 조연 || === 드라마 === || '''{{{#white 방영 연도}}}''' || '''{{{#white 방송사}}}''' || '''{{{#white 제목}}}''' || '''{{{#white 배역}}}''' || '''{{{#white 비고}}}''' || || 2017년 ||<|2>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김과장]] || 박계장 || [[카메오#TV방송, 영화 등에 특별출연한 유명인을 표현하는 말|특별출연]] || ||<|2> 2018년 || 회사 가기 싫어 2018 || 최영수 || 시사/교양[* 회사 가기 싫어 2018은 시사/교양에 해당되기도 한다.] || || [[OCN|[[파일:OCN 로고(2001-2020).svg|width=40]]]] || [[플레이어(OCN)|플레이어]] || 유기훈 || || ||<|5> 2019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svg|width=40]]]] || [[회사 가기 싫어]] || 최영수 || || ||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아스달 연대기]] || 대대 || || ||<|2> [[KBS 2TV|[[파일:KBS 2TV 로고.svg|width=40]]]] || [[저스티스(드라마)|저스티스]] || 도훈제 || || || 스카우팅 리포트 || 이황의 || [[드라마 스페셜]] ||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배가본드(드라마)|배가본드]] || 케빈킴 박사 || 특별출연 || ||<|5> 2020년 ||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머니게임(tvN)|머니게임]] || 김성진 || || ||<|2>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하이에나(드라마)|하이에나]] || 윤충연 || || || [[더 킹 : 영원의 군주]] || [[구서령|서령]]의 [[비선]] ||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svg|width=40]]]] || [[그놈이 그놈이다]] || 남유철 || ||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런 온]] || 서명필 || || ||<|3> 2021년 ||<|3> [[KBS 2TV|[[파일:KBS 2TV 로고.svg|width=40]]]] || [[미스 몬테크리스토]] || [[오병국]] || [* 첫 [[일일 드라마]].] || || [[오월의 청춘]] || [[오월의 청춘/등장인물#한석중|한석중]] || || || [[꽃 피면 달 생각하고]] || [[꽃 피면 달 생각하고/등장인물#한상운|한상운]] || || ||<|3> 2022년 ||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연예인 매니저로 살아남기]] || [[연예인 매니저로 살아남기/등장인물#왕태자|왕태자]] || || || [[딜라이브|[[파일:딜라이브 로고.svg|width=40]]]] || DMZ 대성동 || 최실장 || ||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재벌집 막내아들(드라마)|재벌집 막내아들]] || [[재벌집 막내아들(드라마)/등장인물#모영배|모영배]] || 특별출연 || === 연극 === || '''{{{#white 연도}}}''' || '''{{{#white 제목}}}''' || '''{{{#white 배역}}}''' || '''{{{#white 비고}}}''' || || 1988년 || 금관의 예수 || [[사제]] || 데뷔작 || ||<|2> 1989년 || 대머리 여가수 || 마틴 || || || 그 여자 사람잡네 || [[사제]] || || || 1990년 || 유전무죄 무전유죄 || || || || 1994년 || 외설 춘향전 || 춘향 아버지 성참판 || || || 2001년 || 콤플렉스 리어 || 글리스터 || || || 2003년 || 라이어 3탄 || 이현준 || || ||<|3> 2004년 || 오르골 || 이수인 || || || 장군슈퍼 || 미남 || || ||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 [[검사(법조인)|검사]] || || || 2012년 || 더 복서 || 붉은 사자 || || || 2014년 || 내 심장의 전성기 || 석주 || || || 2015년 || 자이니치 || 셋째 || || ||<|5> 2016년 || 싸이코패스는 고양이를 죽인다 || [[선생]] || || || 흑백다방 || 다방주인 || || || 칸사이 주먹 || 하루키 || || || 자이니치 || 셋째 || || || 칼의 기억, 히젠토 || 야마모토 히로시 || || ||<|6> 2017년 || 중앙차선 버스정류장 || [[청소부]] || || || 흑백다방 || 다방주인 || || || 자이니치 || 셋째 || [* 일번출구 연극제.] || || 무박삼일 || [[남자]] || 음악극 || || 중앙차선 버스정류장 || [[청소부]] || || || 칸사이 주먹 || 마사오 || || ||<|4> 2018년 || 자이니치 || 셋째 || || || 흑백다방 || 다방주인 || || || 칸사이 주먹 || 하루키 || || || 별의 노래 || [[아빠]] || || ||<|3> 2019년 || 자이니치 || 셋째 || || || 코리아특급 || 야마모토 히로시 || || || 흑백다방 || 다방주인 || || ||<|2> 2020년 || 흑백다방 || 다방주인 || || || 중앙차선 버스정류장 || [[청소부]] || || === 뮤지컬 === || '''{{{#white 연도}}}''' || '''{{{#white 제목}}}''' || '''{{{#white 배역}}}''' || '''{{{#white 비고}}}''' || || 1993년 || 샐러리맨의 금메달 || 오지수 || || ||<|2> 1995년 || 지하철 1호선 || 땅쇠 역 외 다수 || || || 개똥이 || 송장벌레 || || || 2001년 || 지하철 1호선 || 땅쇠 역 외 다수 || || || 2003년 || 지하철 1호선 || 땅쇠 역 외 다수 || || || 2004년 || 우리는 친구다 || 뭉치 아빠 || || ||<|2> 2006년 || 개똥이 || [[송장벌레#딱정벌레목 반날개과 송장벌레아과에 속하는 곤충|송장벌레]] || || || 우리는 친구다 || 뭉치 아빠 || || ||<|3> 2009년 || 슈퍼맨처럼! || [[할아버지]] || || || 고추장 떡볶이 || 흰머리 아저씨, 의사 || || || 굿모닝 학교 || [[독사]] || || || 2010년 || 고추장 떡볶이 || 흰머리 아저씨, 의사 || || ||<|2> 2011년 || 학전 20주년 기념 공연 || || || || 우리는 친구다 || 뭉치 아빠 || 연주 || || 2013년 || 슈퍼맨처럼! || [[할아버지]] || || || 2018년 || 지하철 1호선 || || [[카메오#TV방송, 영화 등에 특별출연한 유명인을 표현하는 말|특별출연]] || || 2020년~2021년 || 원더티켓 || 노신사 || || === 오페라 === || '''{{{#white 연도}}}''' || '''{{{#white 제목}}}''' || '''{{{#white 배역}}}''' || '''{{{#white 비고}}}''' || ||<|2> 2022년 ||<|2> 메리 위도우 ||<|2> 크로모프 || [[예술의전당]] || || 경남문예회관 || ==== 더보기 ==== * 이황의가 받은 상은 아니다. |||||||| 수상작 || || 연도 || 제목 || 시상식 || 수상 || ||<|2> 2017년 || 인질의 극 || 제1회 안양 신필름 예술영화제 || 독립영화 경쟁 장편 부문 감독상 || || 돌아온다 || 제41회 몬트리올 국제영화제 || 신인감독경쟁 금상 || ||<|2> 2020년 || 비 온 뒤 차차 || 대한민국 패럴스마트폰영화제 || 개막작[* 수상작은 아니다. 개막작이다.] || || 소금 || Warm Heart Film Fund 2020 || 단편영화 제작지원 최종 선정작 || == 그 외 활동 == === 광고 === || '''{{{#white 연도}}}''' || '''{{{#white 기업명}}}''' || '''{{{#white 제품명}}}''' || '''{{{#white 비고}}}''' || ||<|2> [[2016년]] || 자미보약 || 허브 필로우 || [[https://youtu.be/gbnmR6ODLgM|영상]] || || 아임메디쿱 || 제약광고 전립통평 || [[https://youtu.be/7MPzno_g-KA|영상]] || === 수상 === * [[2018년]] 제5회 서울연극인대상 연기상 == 기타 == * 이름에 대해 별다른 말이 없는 것을 보아하니 이황의는 본명인 것 같다. * [[2018년]]에 데뷔 30주년을 맞이하였다. [[http://naver.me/5WlCNj0i|#]] * 꽤나 다작 배우다. 특히 연극이나 영화에 많이 출연하였다. * 연극 '내 심장의 전성기'에서 [[손병호]]와 함께 출연하였다. * 특기는 노래와 기타 연주이다. [[분류:한국 남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한국의 드라마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연극 배우]][[분류:1967년 출생]][[분류:1988년 데뷔]][[분류:홍성군 출신 인물]][[분류:충암고등학교 출신]][[분류:신평 이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