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이훈구}}}'''[br]'''李勳久'''}}}}}} || || '''창씨명''' ||리다 쿤쿄우(李田勳久) || || '''자 / 호''' ||원칙(元則) / 소촌(小村) || || '''본관''' ||[[여주 이씨]][* 여강경주파(驪江慶州派)-무첨당파(無忝堂派) 23세 구(久) 항렬.] || ||<|2> '''출생''' ||[[1869년]] [[1월 2일]] || ||[[경상도]] [[경주시|경주부]] 안강현 심동[br]{{{-2 (현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경주)|강동면]] 안계리 심동마을 439번지)}}}[* 인근의 양동리·다산리와 함께 [[여주 이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이순구#s-3|이순구]]도 이 마을 출신이다.][* 현재 출생지인 안계리 439번지는 1971년 안계저수지 축조로 수몰되어 있다.[[http://m.gjnews.com/view.php?idx=14843|#]] [[https://theme.archives.go.kr/next/acreage/viewCadastreDetail.do?packid=0000432917&docid=0010873859&mngno=BJCA242058&type=12&want=1&arch_tp_id=&formType=map&rtURL=%2facreage%2flistMapSearch.do%3fpage%3d2%5edepth1%3d%25EA%25B2%25BD%25EC%2583%2581%25EB%25B6%2581%25EB%258F%2584%5edepth2%3d%25EA%25B2%25BD%25EC%25A3%25BC%25EA%25B5%25B0%5edepth3%3d%25EA%25B0%2595%25EB%258F%2599%25EB%25A9%25B4%5edepth4%3d%25EC%2595%2588%25EA%25B3%2584%25EB%25A6%25AC%5earch_tp_id%3d%5eserviceCode%3d7-7-7|1914년 작성된 지적원도]]를 보면, 1914년 당시에도 이훈구의 출생지 안계리 439번지는 이훈구의 소유였다.] || || '''사망''' ||[[1947년]] [[10월 5일]][* 여주(여강)이씨족보 권1 642쪽에는 1948년 10월 3일 별세한 것으로 등재되어 있다.] (향년 78세)|| || '''묘소'''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안계리 심동마을 || || '''상훈''' ||대통령표창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2022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독립유공자]] [[이한구(1870년 9월)|이한구]]·[[이순구#s-3|이순구]] 형제는 그의 4촌 동생들이다.[* 이훈구의 아버지 이능경은 본래 이순구의 아버지 이능종(李能種, 1851 ~ 1890. 5. 6)의 셋째 형이었지만, 11촌 지간의 족숙(族叔) 이재효(李在斆, 1804 ~ 1835. 9. 26)에 입양되었으므로 족보상으론 이훈구는 이한구·이순구 형제에게 14촌 지간의 족형(族兄)이 된다.] == 생애 == 1869년 1월 2일 경상도 경주부 안강현 심동(현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안계리 심동마을 439번지)에서 아버지 이능경(李能璟, 1848 ~ 1889. 12. 18)과 어머니 [[인동 장씨]](? ~ ?. 2. 4)[*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6649&docId=538655&categoryId=46649|여헌 장현광]](旅軒 張顯光)의 후손으로, 장조원(張祚遠)의 딸이다.] 사이의 2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1906년부터 1907년 사이 경상북도에서 산남의진에 참여해 경주군 지방 참모로 활동했다. 1910년 [[경술국치]]를 맞은 뒤 1915년 [[달성군]] [[수성구|수성면]] [[대명동(대구)|대명동]](현 [[대구광역시]] [[남구(대구)|남구]] [[대명동(대구)|대명동]]) 안일암에서 대한광복회가 조직되자,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3497|우재룡]](禹在龍) 등을 통해 조직의 활동 등을 지원했다. 이후 1947년 10월 5일 별세했다. 2022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조선 의병장]][[분류:경주시 출신 인물]][[분류:여주 이씨]][[분류:1869년 출생]][[분류:1947년 사망]][[분류:대통령표창(독립유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