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익산시의 좌석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G_5326.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익산333-1AJS.jpg|width=100%]]}}}|| [목차] == 노선 정보 == === 운행 노선 === ||<-6><:><#2f96c3> [[파일:익산시 CI_White.svg|width=25]] {{{#ffffff 익산시 좌석버스 333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333Iksanmap.png|width=60%]]}}} || ||<-2><:>기점||<:>전라북도 익산시 평화동(익산공용버스터미널)||<-2><:>종점||<:>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서창리(강경우체국)|| ||<|2><:>종점행||<:>첫차||<:>21:04||<|2><:>기점행||<:>첫차||<:>미운행|| ||<:>막차||<:>21:04||<:>막차||<:>미운행|| ||<-2><:>배차간격||<-4><:>일 1회(강경방면 단편운행)|| ||<-2><:>노선||<-4><:>[[익산공용버스터미널]].[[익산고속버스터미널]] → 이리중앙초교 → 익산역 → [[익산시청]] → 원광대병원 → 원대사거리 → [[원광대학교]] → [[원광보건대학교]] → 우남아파트 → 황등역 → 황등면사무소 → 황등아파트 → 함열초교 → 함열역 → 입산 → 용안 → 화북(나바위) → 법원.검찰청 → [[강경시외버스터미널]] → 강경우체국 → 강변타운 → 법원.검찰청 || ===# 폐지 노선 #=== [include(틀:폐선)] [include(틀:익산시의 폐선된 시내버스)] ||<-6><:><#2f96c3> [[파일:익산시 CI_White.svg|width=25]] {{{#ffffff 익산시 좌석버스 333번(용동)}}} || ||<-2><:>기점||<:>전라북도 익산시 평화동(익산공용버스터미널)||<-2><:>종점||<:>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대조리(용동면사무소)|| ||<|2><:>종점행||<:>첫차||<:>21:30||<|2><:>기점행||<:>첫차||<:>06:31|| ||<:>막차||<:>21:30||<:>막차||<:>06:31|| ||<-2><:>배차간격||<-4><:>1일 1회(용동 발은 등교일에만 운행)|| ||<-2><:>노선||<-4><:>[[익산공용버스터미널]].[[익산고속버스터미널]] - 이리중앙초교 - 익산역 - 익산시청 - 원광대병원 - 원대사거리 - [[원광대학교]] - [[원광보건대학교]] - 우남아파트 - 황등역 - 황등면사무소 - 황등아파트 - 함열초교 - 함열역 - 안대동 - 흥왕 - 용동면사무소|| ||<-2><:><#FCBBC2> '''중간 출발 정류장''' || || '''강경''' 방향 || 없음 || || '''익산터미널''' 방향 || 용안 ^^06:27^^, 용동 ^^등교일 06:31^^ || ||<-2><:><#B2EBF4> '''중간 종료 정류장''' || || '''강경''' 방향 || 용동, 용안 ^^등교일에만^^ || || '''익산터미널''' 방향 || 원대사거리 || ||<-6><:><#2f96c3> [[파일:익산시 CI_White.svg|width=25]] {{{#ffffff 익산시 좌석버스 333-1번}}} || ||<-2><:>기점||<:>전라북도 익산시 평화동(익산터미널)||<-2><:>종점||<:>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서창리(강경우체국)|| ||<|2><:>종점행||<:>첫차||<:>06:00||<|2><:>기점행||<:>첫차||<:>07:20|| ||<:>막차||<:>20:20||<:>막차||<:>21:06|| ||<-2><:>배차간격||<-4><:>1일 6회|| ||<-2><:>노선||<-4><:>[[익산공용버스터미널]].[[익산고속버스터미널]] - 이리중앙초교 - 익산역 - 익산시청 - 원광대병원 - 원대사거리 - [[원광대학교]] - [[원광보건대학교]] - 우남아파트 - 황등역 - 황등면사무소 - 황등아파트 - 함열초교 - 함열역 - 안대동 - 흥왕 - 용동면사무소 - 신왕 - 두무 - 수월 - 조흥아파트 - 법원.검찰청 → [[강경시외버스터미널]] → 강경우체국 → 강변타운 → 법원.검찰청 → 이후 역순|| == 개요 == 원광대, 함열읍, 망성면(333-1번)을 경유해 강경읍으로 가는 노선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http://map.naver.com/?busId=2230046|333번]], [[http://map.naver.com/?busId=2230047|333-1번]]) 왕복 운행거리는 70.3km다. == 역사 == * 과거에는 익산 버스 49번과 노선을 공유했다가 49번(터미널-용안강경)이 폐지되면서 해당 노선은 333번으로 일원화되었다. * 2022년 11월 15일, 지간선제 시행으로 인한 개편으로 333과 333-1이 폐선되었다. [[익산 버스 3100]]번이 함열 - 익산구간을 이어받았고 [[익산 버스 3330, 3331|3330, 3331]]번이 함열 - 강경구간을 이어받았다. * 이전 시간표 확인 결과 3100번이 일 1회에 한해 333번 코스로 강경까지 갔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승객에게 혼란을 일으켜서인지 333번이 강경 단편운행으로 부활하였다. == 특징 == * 333번은 하루 1번 용동에서 시종착했었다. 익산시내 방향은 등교일에만 운행하며 포털 사이트 지도에는 구산(구산입구삼거리)에서 출발하는 걸로 되어 있다. * 333-1번 막차는 번갈아 운행했다. 익산시내에서 333번으로 온 차량이 강경에서 333-1번으로 바꾸고 나갔으며, 333-1번으로 온 차량은 강경에서 333번으로 바꾸고 나갔다. * 익산시 경계이자 전라북도와 충청남도의 도계인 망성 정류장을 지나가면 300원이 추가로 부과됐으나 2022년 11월 지간선제 시행으로 인해 시계외요금이 폐지되었다. * 익산시내에서 [[논산시]] [[강경읍]]으로 가는 노선 중, 가장 배차가 좋고 빠른 노선이었다. 다만 대부분의 수요는 [[익산시/행정|함열읍]] - 익산시내 구간이다. === 시간표 === '시내버스 노선 및 시간표 미리보기'를 누르고 하단(모바일은 상단)에서 노선을 선택해 볼 수 있다. [[https://www.iksan.go.kr/index.iksan?menuCd=DOM_000005104001001000|링크]] == 연계 철도역 == * 일반 철도역 : [[익산역]](KTX, SRT,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 남도해양관광열차, 서해금빛열차), [[황등역]](여객업무 미실시), [[함열역]](무궁화호, 누리로), [[용동역]](여객업무 미실시), [[강경역]](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 둘러보기 == [include(틀:익산-타 시·군 간 버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익산 버스 3100, 3200, version=27)] [[분류:익산시의 시내버스]][[분류:2022년 폐지된 버스 노선]][[분류:2022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논산시 경유 관외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