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인씨]] [include(틀:한국의 성씨)] [목차] == 개요 == {{{+2 [[印]]}}} [[한국의 성씨]] 중 하나로, 본관은 교동(喬桐), 연안(延安), 순천(順天) 등이다. 통계청이 조사한 전체 인구 수는 2000년 기준 6,389가구 20,635명으로 나타났다. 2015년 기준 22,363명인데, 그 중 교동 인씨가 20,737명으로 집계되어 인씨 중에 대다수를 차지한다. 드문 성씨이기에 발음상으로는 [[임(성씨)|임씨]], 표기상으로는 [[안(성씨)|안씨]], [[민씨]]와 헷갈릴 수도 있다. * [[교동 인씨]](중국계): 항목 참조. * 강화 인씨: 집계된 숫자는 총 66명인데 교동은 [[강화군]] [[교동면]]을 가리키므로 교동 인씨와 같은 집안으로 추정된다. * [[연안]] 인씨(몽골계): 시조는 [[원나라]]의 [[제국대장공주]]가 [[충렬왕]]과 혼인하고 고려로 넘어올 때 함께 와 귀화한 검교정승 장혜공(莊惠公) '''인후(印侯)'''다. 원래 본명은 훌라타이(忽刺歹)이나, 고려의 대장군 인공수(印公秀)의 성을 따라 고려식 이름을 지었다. [[고려사]] 열전에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72258&cid=62131&categoryId=62163|입전되었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연안 인씨는 1985년에 20가구 120명이, 2000년에 164가구 588명이 있었으나 2015년에는 164명으로 감소하였다. * 순천 인씨(영국계 미국계): 2012년 [[미국]]에서 [[https://news.joins.com/article/7672194|특별귀화]]한 '''[[인요한]](印曜翰)'''이 새로 정한 본관이다. 시조는 인요한의 친조부인 [[윌리엄 린튼|'''인돈(印敦)''']]이며, 그의 직계·방계 후손 93명 중 창성창본 당시 생존했던 58명이 순천 인씨로 등록되었다고 전해진다. 성씨의 첫 글자인 '린'에 [[두음법칙]]이 적용되어서 인씨가 되었고, 순천은 인요한이 자란 고향이다. == 실존인물 == * [[인교진]] - 배우. * [[인교돈]] - 태권도선수 * [[인단비]] - 번역가. * [[인명진]] - 목사 출신 정치인 * [[인석환]] - 축구선수 * [[과즙세연|인세연]] - 아프리카BJ * [[인요한]] - 한국, 미국 복수국적을 가진 의사이자 '''정치인'''.[* 할아버지 인돈은 [[한남대학교]]의 설립자로 유명하다.] * [[인재근]] - 현재 서울 도봉 갑 국회의원. * [[인정옥]] - [[네 멋대로 해라(드라마)|네 멋대로 해라]], [[아일랜드(MBC)|아일랜드]] 등 집필. * [[인주연]] - 프로골퍼. * [[인준명]] - [[천안시/출신 인물]] * [[인지연]] - 변호사이며 인보길의 딸. 현재 [[우리공화당]] 정책위원회 부의장이자 수석대변인, [[영등포구 을]] 조직위원장이다. * [[인창수]] - 전 서울 이랜드 감독. 현 서울 이랜드 코치 * [[인치호]] - [[스타크래프트]] 게이머. * [[인태식]] - 전 재무부 장관, 전 국회의원. * [[인택환]] * [[인현배]] - 前 [[LG 트윈스]] 투수. * [[인주택|인형준]] - 유튜버. * [[인호봉]] - 前 [[삼미 슈퍼스타즈]]-[[청보 핀토스]] 투수. * [[인호진]] - [[스윗소로우]]의 멤버. * [[인효리]] - [[mimiirose]]의 멤버. == 가상인물 == 현실에서도 보기 힘든 만큼 가상인물 중에서도 인씨를 성으로 가진 캐릭터는 많이 없는 편이다. * [[인국두]] - [[힘쎈여자 도봉순]] * 인영혜 - [[속아도 꿈결]] * [[인용민]] - [[일류 디자이너]] * [[인우민]] - [[생존고백]] * [[인윤주]] - [[너의 밤이 되어줄게]] * [[J(제로게임)|인제이]] - [[제로게임]][* 다만 영문판에서는 Lin으로 표기된다.] * [[인태상]] - [[괴담동아리]] * [[인태준]] - [[트레이서(드라마)]] * 인태희 - [[번지점프를 하다]] * [[인하윤]] - [[괴담동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