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스타크래프트 2 협동전의 돌연변이원, rd1=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협동전 임무/돌연변이원/인과응보)]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ALateAndResoluteBeggar, 합의사항1=예시 작성 금지)] ||<-4> '''[[고사성어|{{{#white 고사성어}}}]]''' || || {{{+5 '''[[因]]'''}}} || {{{+5 '''[[果]]'''}}} || {{{+5 '''[[應]]'''}}} || {{{+5 '''[[報]]'''}}} || || 인할 인 || 열매 과 || 응할 응 || 갚을 보 || [목차] == 개요 == [[인과|원인]]에 따라 결과가 있으니 응당 그 보답을 받는다는 뜻의 [[한자성어]]. 어떤 일이 있으면 그에 해당하는 과보(果報)를 받게 된다는 말이다. 즉, [[과거]] 또는 [[전생]]의 선악 인연에 따라서 훗날 길흉화복의 갚음을 받게 됨을 이르는 말이다. 그래서 '''좋은 일에는 좋은 결과가 따르고, 나쁜 일에는 나쁜 결과가 따른다'''는 [[선인선과 악인악과]]와 같은 의미로 쓰인다. 일상 대화에서는 대체로 '과거에 나쁜 짓을 한 것 때문에 이제 그 나쁜 짓에 대한 벌을 받게 되었다'는 맥락에서 종종 사용된다. 본래 이 용어는 [[불교]]에서 유입된 불교 용어로서, [[현장|현장법사]]의 제자 혜립(慧立)이 쓴 현장법사의 일대기 『대자은사삼장법사전』에 처음 나온다. "바라건대 현묘한 도를 얘기함에 있어서, 원인에 따른 결과로 응당 보답됨을 묻습니다. (唯談玄論道, 問因果應報)" 현대 [[중국어]]로는 응보의 [[한자]] 순서가 바뀌어 인과보응(因果报应)으로 쓰인다. == 관련 문서 == * [[고사성어]] * [[권선징악]] * [[선인선과 악인악과]] * [[자업자득]] * [[한자어]] * [[Mamihlapinatapai]]: 뿌리고 싶어 하면서 거두기는 싫어하는 것. [[분류:고사성어]][[분류:엔하계 위키/특징적 표현]][[분류:불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