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문서는 인도 철도를 관리하는 운영기관에 대한 문서입니다. 인도의 철도 환경, rd1=인도의 철도 환경)] [include(틀:고속철도 브랜드)] ||<-2>
{{{#373a3c,#dddddd '''{{{+1 인도 철도}}}'''[br]भारतीय रेल[br]Indian Railway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인도철도청.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본사가 있는 Rail Bhavan(रेल भवन)[* 힌디어로 철도빌딩이라는 뜻이다.]}}} || ||<-2> '''{{{#373a3c,#dddddd 로고}}}''' || ||<-2> [[파일:인도 철도 로고.svg|width=300]] || || {{{#373a3c,#dddddd 종류}}} ||[[국유철도]] || || {{{#373a3c,#dddddd 설립}}} ||1845년 5월 8일 || || {{{#373a3c,#dddddd 국가}}} ||[[파일:인도 국기.svg|width=30]] [[인도]] || || {{{#373a3c,#dddddd 업종}}} ||[[철도]] 여객 운송업 || || {{{#373a3c,#dddddd 사업}}} ||[[철도]] 여객 운송업 || || {{{#373a3c,#dddddd 대표}}} ||아닐 쿠마르 라호티[br](Anil Kumar Lahoti) || || {{{#373a3c,#dddddd 주소}}} ||1, रायसीना रोड, नई दिल्ली[br]1, Raisina Road, [[뉴델리]] || || {{{#373a3c,#dddddd 연락처}}} ||+91-139 || ||<-2> [include(틀:지도, 장소=Rail Bhavan, 너비=100%, 높이=100%)] || ||<-2> [[http://indianrailways.gov.in/| 공식 홈페이지]][br][[https://www.irctc.co.in/nget/train-search| 공식 철도예매사이트(IRCTC)]][br][[https://twitter.com/RailMinIndia| 인도 철도 공식트위터]] || [목차] [clearfix] == 개요 == [[인도]]의 정부기관인 철도부 산하 [[국유철도]]를 운영하는 기업이다. 직제가 상당히 특이한데, 철도부 산하에 철도공사가 존재하고 있다. 세계에서 네 번째로 긴 철도망을 관리하고 있으며 먼 옛날 [[영국 동인도 회사령 인도]]부터 지금까지 오랜 역사를 가진 특징이 있다. 인도 철도는 매우 낙후됐다고는 해도 대략 [[대한민국]]의 1980~90년대 초반 수준은 되며[* 일등석 정도의 열차들은 새마을호 특실과 비슷하며 중간칸은 무궁화 일반실과 비슷. 꼴등칸은 통일호나 비둘기호 정도나 이보다 더 못한 경우도 많다.], 적어도 미국 등 아메리카 지역에 비해 제대로 된 간선철도의 역할을 하고 있다. [[뉴델리]]나 [[뭄바이]] 같은 대도시권에서는 전철화 비중이 꽤 높지만 전력 사정이 매우 원활한 편은 아니고 대도시권을 뺀 대부분의 구간은 비전철화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디젤기관차]] 견인이 주력이며 드물지만 '''[[증기기관차]] 견인 열차'''도 존재한다. == 지역 철도(Zonal Railways) == 지역별로 운영을 담당하는 철도회사가 있다. (영문명 : 약칭) * 센트럴 레일웨이(Central Railway : CR) * 이스트 센트럴 레일웨이(East Central Railway : ECR) * 이스트 코스트 레일웨이(East Coast Railway : East Coast) * 이스턴 레일웨이(Eastern Railway : ER) * 노스 센트럴 레일웨이(North Central Railway : NCR) * 노스 이스턴 레일웨이(North Eastern Railway : NER) * 노스 웨스턴 레일웨이(North Western Railway : NWR) * 노스 이스트 프론티어 레일웨이(Northeast Frontier Railways : NFR) * 노스턴 레일웨이(Northern Railway : NR) * 사우스 센트럴 레일웨이(South Central Railway : SCR) * 사우스 이스트 센트럴 레일웨이(South East Central Railway : SECR) * 사우스 이스턴 레일웨이(South Eastern Railway : SER) * 사우스 웨스턴 레일웨이(South Western Railway : SWR) * 사우스턴 레일웨이(Southern Railway : SR) * 웨스트 센트럴 레일웨이(West Central Railway : WCR) * 웨스턴 레일웨이(Western Railway : WR) * [[메트로 레일웨이 콜카타]](Metro Railway Kolkata : MTP) : 서벵골주 콜카타 시내에서 운행하는 메트로노선으로 인도철도 산하에 있다. === 인도 고속철도 === [include(틀:고속철도 브랜드)] [include(틀:미개통)] [[파일:NHSRCL 로고.svg|width=200]] *[[힌디어]]: भारत हाई-स्पीड रेल *[[영어]]: India High-Speed Rail 인도의 [[고속철도]]는 1980년대 부터 인도 철도가 추진했던 사업이지만 막대한 사업비로 인해 시작되지 못했다. 그러나, 2014년 총선에서 고속철도 공약을 내세운 [[나렌드라 모디]]의 [[인도 인민당]]이 승리하자 13개의 고속선 계획을 발표하고 사업을 시작했다. 2020년대에 일본회사에게 기술수주를 받아서 건설중이다. 현재는 일본 [[신칸센 E5계 전동차]]를 도입하여 [[뭄바이]]에서 [[아마다바드]]간 508.18km 의 고속선이 공사중에 있으며 이 노선은 인도에서 첫번째로 운영될 300km/h가 넘는 인도 최초의 고속철도가 될 예정이다.[*관련기사 관련 기사는 [[고속철도]] '건설중-아시아' 문단을 참조.] 그외 [[델리]], [[콜카타]], [[첸나이]], [[벵갈루루]], [[하이데라바드]] 등에도 신칸센을 도입할 계획이다.[[https://www.google.com/amp/s/www.donga.com/news/amp/all/20161107/81196642/1|#]] 더 나아가 순환선으로 합치자는 주장이 제기된 기사도 있다. == 상세 == == 기타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인도의 철도 환경, version=34)]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인도의 철도 환경, version=51)] [[분류:1845년 기업]][[분류:인도의 기업]][[분류:철도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