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인적자원관리]], [[노무관리]], [[인사관리]]라고도 한다. [[경영학]]과 [[행정학]]의 하위 학문으로, [[인사조직관리]]에서 개개인을 다루는 방법을 연구한다. 채용론, 교육훈련론, 인사평가론(업무평가론), 보상론, 업무분담으로 나뉜다. == 역사 == 미국에서는 건국 초부터 1800년대 말까지 엽관주의가 성행했다. 정당정치를 구현할 수 있어서 대중민주주의 이념에 맞았기 때문이다. 또 당시에는 정부 행정이 단순했기 때문이다. 단 직업 공무원제를 강화할 수 없었다는 한계가 있다. === [[과학적 관리론]] === === 동기-위생이론 === 허즈버그(Herzberg)는 동기요인에 승진, 성장 등의 요소를 포함하고, 위생요인으로 보수, 인간관계 등을 포함한다. 앨더퍼(Alderfer)는 상위욕구에 대한 좌절이 일어날 경우 하위 욕구로 회귀하는 좌절-퇴행 과정이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핵크만(Hackman)과 올드햄(Oldham)은 직무특성이론을 통해 개인의 동기를 직무 자체의 특성과 연관 지어 설명한다. 포터(Porter)와 롤러(Lawler)는 직무만족이 성과의 간접 원인이며, 노력은 직접 요인이라고 주장한다. === 베버(Weber)의 [[관료제]] === 관료는 법규가 정한 직위의 담당자로서 직위의 목표와 법규에 충성을 바친다. === 경제학적 관점과 [[인적자원]] === == 인사 제도 == 교류형 인사제도는 비교류형 인사제도에 비해 기관 간 이해 증진, 업무협조 및 개별공무원의 경력개발 측면에서 유리하다. === 공직의 직종 분류 === 우리나라 공무원은 크게 경력직과 특수경력직으로 나눌 수 있다. * 경력직: 검사, 소방공무원, 교육공무원 등 * 특수경력직: 노동위원회 상임위원 등 === 계급제 === 우리나라의 경우 기본적으로 계급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채용 및 승진, 전직에서 직위분류제의 요소를 부분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계급제를 시행하면 업무의 성격에 큰 구애를 받지 않고 탄력적으로 인력을 운영할 수 있다. 다양한 보직 순환을 통해 개인에게 능력 개발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한 직위에 특화된 전문인을 양성하는 데에 어려움이 많고 직무의 특성을 고려한 보수 형평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 임용 == * 시험의 효용성을 평가하는 기준: [[신뢰도와 타당도]], 난이성, 객관성 == [[직무교육|교육훈련]] == * 기타 훈련방법으로 토의, 현장훈련, 등이 있다. * Off JT (Off-the-Job Training) * [[감수성 훈련]](sensitivity training): 구성원의 감정이나 태도 등의 행태적 변화에 가장 효과적인 교육 훈련 방법이다. 주된 목적은 태도와 가치관의 변화를 통해 대인 관계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이고, 지식 기술의 변화가 주목적이 아니다. * [[사례연구]]: 실제 조직생활에서 경험한 사례 또는 가상의 시나리오를 가지고 문제해결방식을 찾는다. * 역할연기(role playing): 보통 자신과 반대되는 입장의 역할을 부여한다. * 프로그램화 학습: 일련의 질의와 응답을 통해 학습이 가능하도록 진도별 학습지침을 제공하는 책자나 컴퓨터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이다. == 성과평가 == * 근무 성적 평정의 3대 요소: 근무 실적, 직무 수행 능력, 직무 수행 태도. [* '직무 수행 핵심 역량'은 해당하지 않음] * 다면평가: 장점으로는 다수의 참여로 공정성을 높일 수 있고 근무성적평정에의 참여로 평정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일 수 있으며 상관의 권위적 관리 행태가 민주적으로 바뀔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단점으로는 평정자와 피평정자간 서로 잘봐주기(품앗이 효과) 평정을 할 수 있고 업무성과가 아니라 평상시의 인간관계가 평정에 많이 작용하여 타당성을 떨어뜨릴 수 있으며 피평정자를 충분히 관찰할 수 없는 사람이 평정에 참여함으로써 타당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 역량평가(Competency Evaluation): 역량은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 뛰어난 성과를 나타내는 고성과자의 차별화된 행동특성과 태도를 의미한다. 이 평가에서는 단순한 근무실적을 넘어 해당 업무수행을 위한 충분한 역량이 있는지에 대해 평가한다. 성과에 대한 외부 변수를 통제함으로써 개인 역량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시도한다. 역량평가센터를 활용한 역량평가가 도입되었다. == 보수와 [[연금]] == * 우리나라 공무원 보수 체계: 호봉제, 고정급적 연봉제, [[성과급]]적 연봉제 등을 주로 쓰고 있다. [* '성과 계약제'는 우리나라에서는 흔하지 않음] == [[행정윤리]]와 공무원상 == * 인사행정에서 중요시하는 행정의 가치로는 공직자의 재산등록, 선물신고, 취업제한 등이 있다. * 정치적 권리 * 단체행동권은 공무원에게 노동의 권리를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공무원의 특성상 제한이 가장 크게 가해질 수밖에 없는 권리이다. * [[단결권]]은 [[http://m.fpn119.co.kr/68236|소방공무원]] 등 일부 직종에는 2017년까지도 충분히 보장되지 않고 있다. [[분류:조직관리]] [[분류:행정학]] [[분류:경영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