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동통신 메시지 전송 방식)] [목차] == 개요 == Message Software Social Messenger Software Chatting Software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 일종의 [[채팅]] 프로그램이다. 일반적인 채팅([[PC통신]] 시절의 채팅이나 [[IRC]]같은)은 '불특정 다수와의 대화'에 초점을 맞췄지만, 인스턴트 메신저는 '특정 소수와의 대화'에 초점을 맞춘 것이 큰 차이점. 최초의 인스턴트 메신저는 [[이스라엘]]의 Mirabilis에서 1996년 출시한 ICQ이다. 이후 국내외에서 수많은 메신저들이 출몰하였으며, 텍스트 채팅 이외에도 음성이나 비디오 채팅이 가능한 제품들이 등장하였다. 2010년 이후에는 [[스마트폰]]의 발달로 인해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 한국에서 == [[파일:flTggV0r.jpg]] [[http://www.huffingtonpost.kr/2015/06/08/story_n_7532174.html?utm_hp_ref=kr-tech|대한민국 메신저 17년 흥망사]] == 종류 == === PC용 === 대부분 모바일에서도 사용 가능. * [[대한민국]] * [[카카오(기업)|카카오]] - [[카카오톡]], --[[마이피플]]--[*서비스_종료] * [[네이트]] - [[네이트온 메신저]] * [[NHN]] - [[세이클럽]] [[http://tachy.sayclub.com/|Tacky]][* 현재는 링크가 죽었다. 아마도 서비스를 종료한 듯 하다.] * [[네이버]] - --네이버톡-- * [[넥슨]] - [[넥슨 플러그]] * --[[지니#s-2.3|드림위즈 지니]]--[*서비스_종료 서비스 종료] * --[[버디버디]]--[*서비스_종료] * [[둥글]] * --[[틱톡(메신저)]]-- * [[일본]] * [[LINE]] - [[라인(메신저)|라인]] * [[미국]] * [[구글]] - --[[구글 행아웃]]--[*서비스_종료], [[구글 메시지]], [[구글 챗]], --[[구글 알로]]--[*서비스_종료] * [[Discord|디스코드]] * [[마이크로소프트]] - --[[Windows Live Messenger]](MSN)--[*서비스_종료], [[Skype]], [[Microsoft Teams]] * [[Apple]] - [[iMessage]] * [[메타(기업)|메타]] - [[페이스북 메신저]], [[인스타그램]] 다이렉트 메시지, [[WhatsApp]] * [[Signal Private Messenger]] [[https://signal.org/|signal]][*보안_메신저 보안에 특화되었다. 범죄자나 불륜, 성매매에 악용되고 있다.] * [[아마존닷컴]] - [[Wickr]][*보안_메신저] * [[세일즈포스]] - [[슬랙]] * --[[AOL#s-4|AOL Instant Messenger]](AIM)--[*서비스_종료] * [[https://wire.com/|Wire]][*보안_메신저] * [[중국]] * [[QQ]] * [[WeChat]] * [[헬로톡]] * [[모이고]] * [[텔레그램]][*보안_메신저 보안에 특화되었다.] * [[베트남]] * [[Zalo]] * [[캄보디아]] *[[AngkorChat]] * [[인도]] * [[Koo]] === [[모바일 메신저]] === [include(틀:모바일 메신저)] == 사내 메신저 == 특정 조직이나 특정 회사 내에서만 사용하는 인스턴트 메신저. 사내 메신저를 쓰는 큰 이유는 외부 메신저처럼 개인적인 얘기를 못 하게 하고 업무에 집중하여 업무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하지만 [[사내 연애]]를 하는 사람이나 입사[[동기]]들과 친한 사람들에게 사내 메신저는 인터넷 커뮤니티 만큼이나 흥미로운 곳이 된다. 세 가지 경우가 있다. 자체적으로 메신저를 개발해서 쓰는 경우, [[Skype#s-6|Skype for Business]] 같은 외부 메신저를 사내에서 [[Microsoft Outlook|아웃룩]] 계정에 쓰는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 아이디와 연계해서 사용하게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자체 메신저를 도입할 이유가 없는 회사들은 그냥 일반 스카이프나, [[카카오톡]]을 쓰는 곳도 있다. 최근에는 [[https://slack.com|Slack]]이라는 협업 메신저가 국내외 스타트업이나 기업 등에서 활발하게 쓰이고 있다. Facebook도 지난 16년 하반기 Workplace라는 기업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는데 Works Chat이라는 별도의 기업 메신저를 제공하고 있다. Slackr과 UI가 비슷한 [[https://gitter.im/|Gitter]]라는 메신저도 있는데, 이건 외부 고객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되는 메신저이다. 국내에서도 사내 메신저를 제공하는 기업들이 등장하고 있다. Slack를 벤치마킹한 [[https://www.jandi.com|Jandi]]라는 사내 메신저 서비스가 있으며 최근에는 NAVER에서 B2B 서비스 제공을 위해 분사한 Works Mobile에서 제공하는 [[https://line.worksmobile.com/|Works Mobile]]도 기업형 메신저를 포함한 Works Mobile One 서비스를 새롭게 선보였다. 그외에도 메신저에서 나눈 대화와 파일들을 문서로 전환하여 업무 관리가 가능한 [[https://messenger.collabee.co/|콜라비 메신저]]도 최근 출시 후 Apple Appstore에 선정될 정도로 주목받고 있다. 사내 메신저는 카카오톡 등과 달리 처음부터 팀의 협업을 위해 설계되었다. 개인 메신저와 분리된 기업 메신저의 특징 상 개인의 일상과 회사의 업무를 분리해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몇몇 서비스에서는 조직도와 자동 연동되어 임직원이 퇴사 시 자동적으로 탈퇴되는 기능을 제공하는 등 기업에서 중요한 보안 관련 feature들을 추가하는 등 여러가지 에드온 등도 자유롭게 추가할 수 있어 활용도가 무궁무진하다. [[공무원]]들도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만든 내부 메신저를 업무용으로 이용한다. * [[https://messenger.collabee.co/|콜라비 메신저]] * [[스카이프]] [[Skype#s-6|for Business]] *[[Microsoft Outlook]] * [[https://slack.com|Slack]] * [[페이스북]] Workplace, Works Chat * [[https://gitter.im/|Gitter]] * [[https://www.jandi.com|Jandi]] * [[https://line.worksmobile.com/|Works Mobile]]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사내 메신저,version=1)]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메신저,version=88)] [[분류:인스턴트 메신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