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인어공주(2023))] [include(틀:인어공주(2023))] [목차] == 개요 == [[인어공주(2023)]] 세계 흥행을 정리한 문서. == 흥행 == === 전세계 === [include(틀:2023년 세계 영화 흥행 순위)] ||<-4>
출처: [[https://boxofficemojo.com/title/tt5971474|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2023년]] [[5월 24일]] || '''$414,829,062''' || '''[[2023년]] [[6월 11일]]'''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캐나다, 출력= )][[북미]]''' || [[2023년]] [[5월 26일]] || '''$229,170,352''' || [[2023년]] [[6월 11일]]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2023년]] [[5월 26일]] || '''$3,702,114''' || [[2023년]] [[6월 11일]] ||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2023년]] [[5월 24일]] || $11,036,255 || [[2023년]] [[6월 11일]] ||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2023년]] [[5월 24일]] || $9,635,760 || [[2023년]] [[6월 11일]]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023년]] [[5월 24일]] || $4,933,199 || [[2023년]] [[6월 11일]] || ||[include(틀:국기, 국명=호주)] || [[2023년]] [[5월 25일]] || $10,130,447 || [[2023년]] [[6월 11일]] || ||[include(틀:국기, 국명=브라질)] || [[2023년]] [[5월 25일]] || $12,998,227 || [[2023년]] [[6월 11일]] || ||[include(틀:국기, 국명=멕시코)] || [[2023년]] [[5월 26일]] || $18,013,650 || [[2023년]] [[6월 11일]] ||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2023년]] [[5월 26일]] || $24,856,907 || [[2023년]] [[6월 11일]] ||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 [[2023년]] [[5월 26일]] || $8,913,641 || [[2023년]] [[6월 11일]] ||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 [[2023년]] [[5월 26일]] || $8,267,363 || [[2023년]] [[6월 11일]] || * 제작비는 공식 발표로 2억 5,000만 달러이고,[* 코로나19로 인한 3년에 걸친 제작 지연과 안전비용 증가로 인하여 제작비가 늘어났다고 한다.] 제작비 외 홍보마케팅 비용에 8,000만 달러([[https://dlnewstoday.com/2023/05/the-little-mermaid-headed-toward-121m-opening-weekend-propelled-by-80m-promotional-campaign/|출처]]) 혹은 글로벌 마케팅 비용까지 1억 4천만 달러([[https://www.worldofreel.com/blog/2023/6/0rjfvq7cy3675lwj4z75h8v92vmjsw|출처]])가 들어갔다고 한다. 때문에 손익분기점은 최소라도 6억 6,000만 달러, 최대로는 7억 8000만 달러로 본다.([[https://www.thefilmik.com/the-little-mermaid-box-office-will-disneys-live-action-be-a-box-office-flop/|출처]]) 그러나 할리우드 내부자에 따르면 손익분기점은 8억 4천만 달러지만, 미국 유료/무료 tv 및 디즈니+의 수익 1억 달러, dvd 등 전세계 홈 엔터테인먼트 1억 달러, 국제 tv 판매 및 스트리밍 권리 8천만 달러를 미리 계산해서 5억 6천만 달러를 손익분기점으로 잡고 있다. [[https://movieweb.com/the-little-mermaid-box-office-success/|출처]] 당연하지만 이런 식의 손익분기점을 해야할 정도로 꼼수를 부리고 있으며, 손익분기점이 할리우드 내부자에 따르면 당초 예상을 넘어서 '''무려 8억 4천만 달러'''에 달한다는 것이 알려진 것이다. * 1주 차 * 데드라인은 전 세계적으로 개봉 첫 주말에 1억 8,000만 달러를 벌어들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하였다. [[https://deadline.com/2023/05/the-little-mermaid-box-office-weekend-projection-1235378134|#]] 하지만 개봉 첫 주 주말 성적은 1억 6,380만 달러로 집계되어 데드라인 예상치를 10% 정도 하회하였다. * 개봉 이후 북미 지역에서는 사전 예상과 비슷한 수준의 높은 흥행을 기록하며 순항 중인 반면, 흑인과 연관이 없는 동양권이나 예술에 대한 자부심이 강한 유럽권[* 특히 프랑스, 독일에서의 평가가 많이 좋지 못하다.]에서는 흥행이 상당히 부진하며 특히 가장 반응이 안좋은 중국의 흥행은 450만 달러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었다. * 2주 차 * 3억 달러를 돌파했다. 그러나 북미가 1억 8천만 달러인 것과 달리 해외는 1억 4천만 달러로 여전히 부진하며, 그나마 영국에서 2000만 달러를 넘었다고 하지만 그 외에는 아직 1000만 달러를 넘은 나라가 존재하지 않는다. 3주차에 들어서야 몇몇 나라들이 1000만 달러를 넘을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2주차에 예상흥행이 5억 8천만에서 6억 4천만 사이로 추정됐는데 현재 5억 달러를 넘을지도 불투명해졌으며, 손익분기점은 최대 '''8억 4천만 달러'''에 달하므로 약 '''3억 달러의 손해'''가 예상된다. 디즈니 측에서는 [[디즈니+]]로 꽤 짭짤한 추가 수익을 거둔 [[라이온 킹(2019)]]의 사례가 있기 때문에 아직 더 지켜봐야 한다는 듯 하나, 이는 인어공주의 흥행이 실패했다는 것을 부정하려는 디즈니의 술책으로 아예 손익분기점을 디즈니+ 등으로 벌 액수를 포함해서 5억대로 추정하는 등 꼼수를 부리고 있다. 당장 라이온 킹의 경우는 너무 지나친 실사화[* 이것 때문에 17억 달러를 돌파할 예측이 어긋났다고 평가된다.]로 평가가 떨어지긴 했어도 '''전 세계에서 16억 5천만 달러를 번 극장에서부터 대흥행작'''으로 극장에서 수많은 관객들에게 외면받은 인어공주와는 다르다. * 3주 차 * 4억 달러를 돌파했다. === 대한민국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2> 개봉 전 ||2023-05-18. 1일차(목) || 1,035명 ||<|2> 1,693명 || 12위 || 14,347,000원 ||<|2> 20,967,000원 || ||2023-05-19. 2일차(금) || 658명 || 15위 || 6,620,000원 || ||<|7> 1주차 ||2023-05-24. 1일차(수) || 45,931명 ||<|7> 471,845명 || 2위 || 477,712,942원 ||<|7> 4,947,870,295원 || ||2023-05-25. 2일차(목) || 28,027명 || 3위 || 289,157,313원 || ||2023-05-26. 3일차(금) || 38,992명 || 3위 || 418,849,954원 || ||2023-05-27. 4일차(토) || 110,601명 || 4위 || 1,173,811,387원 || ||2023-05-28. 5일차(일) || 119,034명 || 4위 || 1,257,548,212원 || ||2023-05-29. 6일차(월) || 111,645명 || 3위 || 1,152,097,837원 || ||2023-05-30. 7일차(화) || 17,615명 || 3위 || 178,692,650원 || ||<|7> 2주차 ||2023-05-31. 8일차(수) || 14,421명 ||<|7> 128,889명 || 4위 || 109,846,216원 ||<|7> 1,239,275,357원 || ||2023-06-01. 9일차(목) || 8,180명 || 4위 || 78,961,459원 || ||2023-06-02. 10일차(금) || 11,796명 || 4위 || 115,859,810원 || ||2023-06-03. 11일차(토) || 26,462명 || 4위 || 269,340,006원 || ||2023-06-04. 12일차(일) || 27,228명 || 4위 || 273,659,156원 || ||2023-06-05. 13일차(월) || 22,745명 || 3위 || 211,847,247원 || ||2023-06-06. 14일차(화) || 18,057명 || 5위 || 179,761,463원 || ||<|7> 3주차 ||2023-06-07. 15일차(수) || 2,707명 ||<|7> 27,983명 || 5위 || 25,178,919원 ||<|7> 25,178,919원 || ||2023-06-08. 16일차(목) || 2,486명 || 5위 || 23,235,900원 || ||2023-06-09. 17일차(금) || 2,536명 || 5위 || 27,076,289원 || ||2023-06-10. 18일차(토) || 10,287명 || 5위 || 107,121,363원 || ||2023-06-11. 19일차(일) || 10,999명 || 5위 || 112,894,655원 || ||2023-06-12. 20일차(월) || 1,675명 || 5위 || 17,155,049원 || ||2023-06-13. 21일차(화) || 1,835명 || 6위 || 18,261,585원 || ||<|7> 4주차 ||2023-06-14. 22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3-06-15. 23일차(목) || -명 || -위 || -원 || ||2023-06-16. 24일차(금) || -명 || -위 || -원 || ||2023-06-17. 25일차(토) || -명 || -위 || -원 || ||2023-06-18. 26일차(일) || -명 || -위 || -원 || ||2023-06-19. 27일차(월) || -명 || -위 || -원 || ||2023-06-20.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합계''' ||<-6> '''누적관객수 634,953명, 누적매출액 6,539,054,412원'''[* ~ 2023/06/13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를 적용해 주세요. ## 날짜는 개봉 일정에 맞게 변경해 주세요. * 개봉 전 * 개봉주의 전주에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 내주에 〈[[범죄도시 3]]〉가 개봉하면서 개봉 시기적으로 보았을 때 관객 확보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며, 또한 개봉 전 논란들 역시 흥행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다만 범죄, 액션 장르의 이들 작품과는 수요가 다른 관객층에게 입지를 구축한다면 어느 정도 이상의 흥행을 기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 개봉 전주 주말에 〈범죄도시 3〉에 이어 예매율 2위를 기록, 순조로운 출발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단, 예매율에서 이번 작품을 2배 이상으로 앞서는 〈범죄도시 3〉를 넘어서는 것은 어렵고, 다른 개봉작들과의 2위 싸움을 할 것으로 예상돠었다. * 1주 차 * [[ScreenX]]를 뺀 나머지 특별관에서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와 교차하여 상영한다. * 개봉 당일 자정 기준 예매율 19%를 기록하여 예매율 2위를 유지하였다. [[15세 이용가|15세 이상 관람가]] 등급인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에 비하여 [[전체 이용가|전체 관람가]] 등급을 받았기에 보다 관객들의 접근이 쉬운 이점이 발휘된 것으로 보이며, [[NewJeans]] 팬덤의 조직적인 예매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큰 기대를 받으며 압도적인 예매율을 보이고 있는 〈범죄도시 3〉의 개봉 전 한 주 동안은 그 이점을 살려 극장 선두에 설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다만 개봉 전의 논란이 있던 만큼 장기적인 흥행을 위해서는 이를 불식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후기 및 입소문이 중요한데, 만일 개봉 초기부터 이를 만들어내는 데에 실패할 경우 언제든 선두 자리를 내어줄 수 있는 여지가 존재한다. * 개봉 첫날, 더 높은 예매율에도 불구하고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에 조금 미치지 못하는 관객 수를 기록하며 일일 관객 수 2위로 시작하였다. 가족 단위 관람객을 타겟층으로 삼는 전체 관람가 영화 특성상 평일의 흥행 기록은 다소 낮게 집계될 수 있지만, 이전 주차에 개봉하였던 영화보다 적은 관객 수를 기록한 것은 긍정적인 지표로 보기 어렵다. 앞선 논란들과 호불호가 갈리는 실관람 후기가 관객 확보에 영향을 준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관객층이 겹치는 〈[[아기공룡 둘리: 얼음별 대모험]] 리마스터링〉 이 같은 주에 개봉하였고, 장기 상영 중인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2023년 영화)|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동물소환 닌자 배꼽수비대]]〉가 아직 나름의 입지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서 관객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더욱 긍정적인 후기 및 입소문을 기대해야 하지만 상황은 녹록치 않다. * 개봉 2일차, 개봉 4주 차에 접어들었음에도 호평을 받으며 입지를 유지하고 있던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에 밀려 일일 관객 수 3위로 내려앉았다. 목요일이라지만 각종 평점, 커뮤니티 및 맘카페 후기 등이 그다지 긍정적이지 않으며 입소문 또한 나쁘게 탄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보다 강세를 보일 수 있는 주말에 반등을 노려야 하지만 그다지 높지 않은 예매율로 미루어보아 향후 전망은 긍정적이지 않은 상황이다. * 개봉 3일차, 일일 관객 수 3위를 유지하였지만 2위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와의 격차는 약 12,800여 명으로 크게 벌어졌다. * 개봉 4일차, 10만 명대의 일일 관객 수를 기록하였음에도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 〈범죄도시 3〉,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에 이어 일일 관객 수 4위로 하락하였다. * 개봉 5일차, 일요일에도 비슷한 수치의 관객 수를 기록하며 순위 변동 없이 일일 관객 수 4위를 유지하였다. 큰 기대를 받으며 사전 개봉한 〈범죄도시 3〉는 논외로 하더라도, 보다 전체 관람가 영화의 이점을 살릴 수 있는 주말을 맞이하였음에도 반등을 노릴 기회마저 놓치고 나머지 두 영화를 이기지 못하면서 흥행 전망은 더욱이 좋지 않게 되었다. * 개봉 6일차,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보다 약 3,000여 명 많은 관객 수를 기록하며 일일 관객 수 3위로 다시 상승하였다. 최종적으로 부처님오신날 대체공휴일을 낀 3일 연휴 동안 약 11만 명대의 관객 수를 유지하였는데, 경쟁작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 〈범죄도시 3〉가 서로 관객층이 겹쳐 관객이 분산되었고 전체 연령가라는 이점까지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휴 내내 일일 관객수 3, 4위를 전전하며 향후 흥행에 있어서 중요한 1주 차 사이에 입지를 제대로 확보하지 못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 개봉 7일차, 〈범죄도시 3〉의 조기 상영이 종료되었지만 다시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에 밀려 일일 박스오피스 3위를 기록하였다. 드롭율도 평일과 주말의 차이를 감안해도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와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의 70%대보다 낮은 84.2%를 기록하였다. * 2주 차 * 이 주에는 〈범죄도시 3〉가 정식 개봉한다. 〈범죄도시 3〉의 개봉으로 [[IMAX]]와 [[4DX]] 상영이 끝나게 되고, 사전 개봉 당시의 화력으로 나타난 것처럼 〈범죄도시 3〉가 전작들의 명성을 이어받아 극장가를 지배할 것임이 확실시되었기에 1주 차에 입지를 제대로 다지지 못한 〈인어공주〉 입장에서는 그 화력에 밀려 관심 밖으로 밀리게 될 위험이 있다. 그나마 〈범죄도시 3〉와 관객층이 크게 겹치는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에 비해선 타겟 관객층이 넓기 때문에 가족 영화라는 점을 최대한 살린다면 두 영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드롭율로 입지를 유지할 수 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다만 한국 영화라 스크린쿼터제 혜택까지 받는 〈범죄도시 3〉 에게 해외 블록버스터 영화마저 관이 밀리는 와중에 흥행이 두 영화보다 다소 저조하게 나타나는 〈인어공주〉 는 이들보다 불리한 위치에 놓여있는 상황이다. 설상가상으로 현충일에는 기대작인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까지 나오는지라 더더욱 설 자리가 없어질 입장에 놓였다. * 개봉 8일 차, 예측대로 〈범죄도시 3〉가 여러 신기록을 세우며 일일 관객 수 1위를 차지하였고, 남은 2위 자리를 두고 삼파전이 벌어졌다. 그 결과, 〈범죄도시 3〉와 관객층이 크게 겹친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에 비해 안정적인 낙폭을 보인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가 2위 자리를, 큰 낙폭을 보이기는 하였으나 나름 입지를 유지한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가 3위 자리를 차지한 반면, 아직 주말 효과를 받지 못한 〈인어공주〉는 이 주 차에 재개봉한 〈[[극장판 포켓몬스터 DP: 아르세우스 초극의 시공으로]]〉에게 관객층이 겹치며 힘을 내지 못하고 밀리면서 첫날 삼파전 경합에서 가장 낮은 순위를 기록하였다. * 개봉 9일차에 처음으로 천 단위의 일일 관객 수를 기록하였다. 삼파전 경쟁작들인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는 보다 오랜 기간을 상영했음에도 아직 만 단위의 일일 관객 수를 유지하고 있는 것에 더해 이들에 비해 크게 나타나는 1주 차 대비 드롭율로 보아 이후에도 지속될 삼파전에서의 점유율 기대를 하기 어려운 처지다. 그래도 상술하였듯 〈범죄도시 3〉 와 타겟 관객층이 겹치는 두 영화에 비해 관객층이 넓기 때문에 주중과 주말의 관객 수가 거의 10배 이상 차이가 나는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의 예시처럼 비록 주중은 열세일지라도 넓은 관객층이란 이점을 살려 주말을 낀 연휴 기간 동안은 우위를 점할 수는 있으나, 1주 차 주말 당시 삼파전에서 최저 순위를 기록한 것, 관객층이 겹치는 애니메이션 영화들[* 〈극장판 포켓몬스터 DP: 아르세우스 초극의 시공으로〉,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동물소환 닌자 배꼽수비대〉, 〈아기공룡 둘리: 얼음별 대모험〉 등]이 상영 중인 것을 고려하면 주말 연휴가 되어도 경쟁작 대비 보다 더 많은 관객을 확보하리란 기대를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 개봉 11일차, 비록 안정적인 흥행 추세를 보이고 있는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는 넘지 못했으나 주말 효과와 더불어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가 〈범죄도시 3〉와 크게 관객층이 겹친 여파로 인해 관객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며 부진한 틈을 타 삼파전 경쟁 중 중간 순위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와 일일 관객 수가 거의 차이가 나지 않고, 〈극장판 포켓몬스터 DP: 아르세우스 초극의 시공으로〉 에게 관객 수가 약 8천명이나 밀리면서 일일 박스오피스 4위에 머무르고 있는지라 그리 긍정적이지는 않은 실정이다. * 개봉 12일차는 11일차와 마찬가지로 주말 버프를 전혀 받지 못하며 2만명대에 머물렀다. * 개봉 13일차 역시 2만명대 초반을 겨우 기록하였다. * 현충일 공휴일인 개봉 14일차, 당일에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이 개봉하며 일일 관객 수 5위로 하락하였다. 연휴임에도 이전 개봉작들과 비슷하거나 낮은 수치인 350회에 못 미치는 상영횟수를 기록하였는데, 관심도의 급격한 저하로 인한 낙폭이 반영된 것으로 보여진다. * 3주 차 * 스크린 수 177관, 상영횟수 217개로 점유율이 쭉 빠졌다. 6월 7일부터 관객 수가 3천명도 안되는 최악의 성적을 보여주다가, 토요일인 6월 10일에 간신히 1만 명을 넘겼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인어공주(2023)/흥행/대한민국, version=9)] === 북미 === ||<-5>
{{{#ffffff '''북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3년 20주차 ||<|2> → || '''2023년 21주차''' ||<|2> → || 2023년 22주차 || ||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 || {{{#ffffff '''인어공주''' }}} ||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 ||<-5> [[https://www.boxofficemojo.com/weekend/|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개봉 전 * 2023년 4월 28일, 박스오피스 프로에서 오프닝 성적 7,000만~9,000만 달러, 최종 성적 2억 3,500만~3억 500만 달러로 사전 예측을 내놓았다. 과거 1990년대 [[디즈니 르네상스]]의 포문을 열었던 애니메이션 〈[[인어공주(애니메이션)|인어공주]]〉의 명성, 유색인종 핼리 베일리의 캐스팅으로 보다 더 많은 관객들에게 관심을 끌 가능성, 개봉주에 겹친 연휴 기간, 적은 경쟁작들의 수, 전 연령대 여성 관객들 사이에 좋은 입소문이 날 경우 여름까지 장기 흥행을 할 가능성이 있음을 흥행의 요소로 반영하였다. 그러나 애니메이션 〈인어공주〉가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황금기를 열었다고는 하나 작품 자체로는 이후 개봉한 〈[[미녀와 야수(애니메이션)|미녀와 야수]]〉, 〈[[알라딘(애니메이션)|알라딘]]〉, 〈[[라이온 킹]]〉에 비하여 저조하였던 흥행 수입,[* 그러나 여러 해에 걸쳐 수차례 재개봉을 거듭하며 수익을 쌓아올렸던 고전작들을 제외하면 애니메이션 〈인어공주〉는 개봉 당시 역대 애니메이션 북미 흥행 1위를 기록하였던 작품이다.] 2019년 한 차례 불거졌던 [[인어공주(2023)/캐스팅 논란|캐스팅 논란]]이 티저 예고편 공개 후 재점화되며 급증한 복합적인 평가, 스타성이 부족한 출연진 등의 이유를 들며 이러한 점들이 흥행에 불리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https://www.boxofficepro.com/long-range-box-office-forecast-disneys-the-little-mermaid|#]] * 1주 차 * 미국 [[메모리얼 데이]] 연휴 기간과 겹쳐 개봉 첫 주 주말 동안 1억달러 정도, 5월 29일 휴일까지 4일 동안 북미에서 1억 2,000만 달러에서 1억 2,500만 달러 정도를 벌어들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디즈니 르네상스 대표작이라 꼽히는 애니메이션들의 실사화 작품인 〈[[라이온 킹(2019)|라이온 킹]]〉의 1억 9,100만 달러나 〈[[미녀와 야수(2017)|미녀와 야수]]〉의 1억 7,400만 달러보다는 적고 〈[[알라딘(2019)|알라딘]]〉의 메모리얼 데이 포함 1억 1,600만 달러보다는 살짝 많은 수준이다. 흥행 자체는 여타 디즈니 애니메이션 실사화 시리즈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쁘지 않은 초기 성적이 될 것으로 예측되는 수치다. [[https://variety.com/2023/film/news/little-mermaid-box-office-memorial-day-holiday-weekend-1235623771|#]] * 목요일 전야제 수익으로 1,100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 전야제 수익을 포함한 개봉 첫 날 금요일 3,800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 첫주 주말에 1억 1,800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이는 메모리얼 데이 개봉 영화 중 역대 5번째로 큰 금액이다. [[https://twitter.com/FilmUpdates/status/1662857537211990019?t=sa_VuCg-mTT1JC892LJAnQ&s=19|[[파일:트위터 아이콘.svg|width=20]]]] * 2주 차 * 8일 차인 금요일에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가 개봉하면서 2위로 내려갔다. * 전주 대비 57.5%의 드랍율을 보이며 주말 3일간 4천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 13일 차에 2억 달러를 돌파했다. === 중국 === [[https://ys.endata.cn/Details/Movie?entId=736643|인어공주 중국 실시간 박스오피스(단위: 위안)]] >Luiz Fernando와 같은 중국 박스오피스 관측통에 따르면, 이 영화는 개봉 주말 사전 판매로 13,000달러를 벌어들였는데, 이는 중국 영화 관람객들의 심각한 관심 부족을 나타냅니다.[[https://www.cbr.com/the-little-mermaid-box-office-china-prediction/|#]] 개봉 첫 주 1,781만 위안(250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박스오피스 5위로 데뷔했다. 그러나 흥행 부진으로 개봉한 지 일주일도 안 돼서 [[https://www.reddit.com/r/boxoffice/comments/13sisq2/chinese_theaters_are_starting_to_drop_the_little/|관이 빠지고 있다.]] 이 시점부터 이미 흥행은 실패한 것이나 다름없었다. 2주 차에 '''91.7%'''의 드랍률과 함께 박스오피스 10위로 추락하며 누적 2,475만 위안(347만 달러)를 벌었다. 같은 기간 한국의 수입인 400만 달러를 밑도는 수입이다. 양국 인구가 27배 가량 차이가 난다는 것을 생각하면 그냥 망한 수준도 아니고 거의 대폭망 수준으로 중국의 흥행 부진이 얼마나 심각한지 알 수 있다. === 일본 === ||<-5>
{{{#ffffff '''일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2023년 22주차 ||<|2> → || '''2023년 23주차''' ||<|2> → || 2023년 24주차 || ||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2023년 영화)|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 {{{#bc002d '''인어공주'''}}} || ''미정'' || ||<-5> [[http://www.kogyotsushin.com/archives/weekend/|흥행통신]] [[https://www.boxofficemojo.com/weekend/by-year/?area=JP|박스오피스 모조]] [[http://www.kobis.or.kr/kobis/business/stat/boxs/findWeekendForeignBoxOfficeList.do|KOBIS]] || 개봉 첫날부터 영 좋지 않은 평가가 줄을 잇고 있다. 22시 기준 예약률이 12.7%에 불과한데, 지금까지의 디즈니 실사영화(말레피센트, 신데렐라, 정글북, 미녀와 야수, 알라딘, 라이온 킹 등) 가운데 예약률이 제일 낮았던 알라딘이 18.3%였고 그 외에는 다들 20%를 넘겼다는 걸 생각하면 첫날부터 망했다는 평가를 피할 수 없다. 개봉 첫 주 수익이 5백 만 달러로 잠정 집계되었는데, --일단은-- 아시아 1위의 흥행 수익을 기록하던 대한민국을 순식간에 앞지르기는 했지만, 2023년 들어서 개봉한 헐리우드 기대작 영화들 가운데 첫 주 흥행 수익이 1천 만 달러를 넘지 못 한 것은 인어공주가 처음이다.(...)[* 그게 디즈니랜드도 있는 일본에서 개봉한 디즈니영화란걸 생각하면 저조한것이 분명하다.] ||{{{#!folding[  개봉 1주차 순위  ] [[파일:2023년 24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 || 개봉 첫 주차 주말에 일본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다. === 영국 === ||<-5>
{{{#ffffff '''영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3년 20주차 ||<|2> → || '''2023년 21주차''' ||<|2> → || 2023년 22주차 || ||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 || {{{#ffffff '''인어공주''' }}} ||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uk/|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영국 주말 흥행 집계 기준]] || === 프랑스 === ||<-5>
{{{#ffffff '''프랑스 흥행 1위 영화''' }}} || || 2023년 20주차 ||<|2> → || '''2023년 21주차''' ||<|2> → || 2023년 22주차 || ||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 || {{{#ffffff '''인어공주''' }}} ||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 ||<-5> [[https://www.allocine.fr/boxoffice/france/|알로시네]] || === 독일 === 개봉 첫주 2위로 데뷔했다. === 이탈리아 === ||<-5>
{{{#ffffff '''이탈리아 흥행 1위 영화''' }}} || || 2023년 20주차 ||<|2> → || '''2023년 21주차''' ||<|2> → || 2023년 22주차 || ||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 || {{{#ffffff '''인어공주''' }}} || 인어공주 || || 2023년 21주차 ||<|2> → || '''2023년 22주차''' ||<|2> → || 2023년 23주차 || || 인어공주 || {{{#ffffff '''인어공주''' }}} || ''미정''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italy/|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이탈리아 주말 흥행 집계 기준]] || === 스페인 === ||<-5>
{{{#ffffff '''스페인 흥행 1위 영화''' }}} || || 2023년 20주차 ||<|2> → || '''2023년 21주차''' ||<|2> → || 2023년 22주차 || ||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 || {{{#ad1519 '''인어공주''' }}} ||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spain/|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스페인 주말 흥행 집계 기준]] || === 브라질 === ||<-5>
{{{#fedf00 '''브라질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3년 20주차 ||<|2> → || '''2023년 21주차''' ||<|2> → || 2023년 22주차 || ||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 || {{{#fedf00 '''인어공주''' }}} || 인어공주 || || 2023년 21주차 ||<|2> → || '''2023년 22주차''' ||<|2> → || 2023년 23주차 || || 인어공주 || {{{#fedf00 '''인어공주''' }}} || ''미정''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brazil/|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브라질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멕시코 === ||<-5>
{{{#ffffff '''멕시코 흥행 1위 영화''' }}} || || 2023년 20주차 ||<|2> → || '''2023년 21주차''' ||<|2> → || 2023년 22주차 || ||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 || {{{#ffffff '''인어공주''' }}} ||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mexico/|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멕시코 주말 흥행 집계 기준]] || 첫주에는 북미 다음으로 세계 흥행 2위인데 890만 달러가 넘는 흥행이다. 그러나 둘째 주에는 전주 대비 -49.7% 급락한 수익률을 보였다. === 오스트레일리아 === ||<-5>
{{{#ffffff '''오스트레일리아 흥행 1위 영화''' }}} || || 2023년 20주차 ||<|2> → || '''2023년 21주차''' ||<|2> → || 2023년 22주차 || ||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 || {{{#ffffff '''인어공주''' }}} || 인어공주 || || 2023년 21주차 ||<|2> → || '''2023년 22주차''' ||<|2> → || 2023년 23주차 || || 인어공주 || {{{#ffffff '''인어공주''' }}} || ''미정''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australia/|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오스트레일리아 주말 흥행 집계 기준]] || [[분류:인어공주(2023)]][[분류:흥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