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인제대학교)] [include(틀:부산광역시의 대학별 역사)] [include(틀:인제대학교)] [목차] == 개요 == [[인제대학교]]의 역사를 설명하는 문서이다. == 상세 == * 대학이 병원을 만든 것이 아니라 병원에서 먼저 [[의과대학]]을 만들고 의과대학이 종합대학으로 성장한 후 병원이 부속병원으로 바뀐 사례이다. 따라서 대학과 [[세브란스병원]]이 합쳐진 [[연세대학교]]나 대학이 대학과 병원을 인수해 만든 [[고려대학교]][* [[우석대학교(서울)|우석대학교]]-현재의 우석대와는 다른 학교다.]와는 다르고 [[순천향대학교]]의 경우와 유사하다.[* 병원이 커져서 다른 대학을 먹은 [[가천대학교]]의 경우와는 좀 다르다.] * 1932년 [[경성의학전문학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전신] [[외과]] 주임[[교수]]였던 [[백인제]](白麟濟) [[박사]]가 현 서울 저동의 서울백병원 위치에서 우에무라(植村)[[외과]][[병원]]을 [[인수]]와 동시에 [[경영]]하면서 설립한 <백병원>에 그 뿌리를 둔다. 해방 후 1946년 백인제(白麟濟)박사가 전사재를 기부하여 仁術濟世(인덕제세)의 이념으로 한국 최초의 민립 [[공익]] [[법인]]인 財團法人 白病院(재단법인 백병원)을 설립하였는데 그는 [[한국전쟁]] 때 납북되었다. 이후 [[인제대학교 백중앙의료원|백병원]]은 그의 조카 [[백낙환]]과 백인제의 아들 백낙조가 다시 일으켰다. 오늘날 백병원의 위상과 규모는 이들 2세들에 의해 이룩된 것이다. * 1979년 [[부산백병원]](450병상)이 새로 개원하였고 그와 동시에 인제대학교 [[의과대학]]이 설립되었는데,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에 지었다.(현 부산 개금캠퍼스.) [[의과대학]]은 [[한림대학교]], [[순천향대학교]]와 함께 [[삼대장|지방 3룡(龍) 의대]]로 불린다.[* 표현이 좀 애매한데 지방 3룡(龍)이라고 하면 입시 쪽 커뮤니티에선 대충 알아먹는다. 따라서 [[의대]] [[입시]] 경쟁률이 매우 치열하다.] * 1981년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에 교지 12만 평의 부지를 확보하고 1983년 김해로 옮겨가면서 인제대학(仁濟大學)이 되었다가 1988년 종합대학 인제대학교(綜合大學 仁濟大學校) 으로 승격되었다. 다음 해인 1989년 3월 인제대학교 초대 총장 백낙환 박사[* 이후 명예총장으로 재임하다 2018년 12월 7일 숙환으로 별세] 가 취임되었고 8월에는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에 상계백병원(450병상)이 개원되었다. * 1999년 12월 초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이 개원되었다. * 2005년도부터 [[김해시]]와 공동으로 인제대학교 [[영재교육원]]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http://iecgy.inje.ac.kr/|홈페이지]] * 2010년도 3월 초 [[해운대 신시가지]]에 [[해운대백병원]]이 새로 개원되었다.[* 전국의 5곳의 [[백병원]]들 중에 가장 최근인 [[2010년대]]에 개원되었기 때문에 규모와 시설 면에서 가장 좋다고 한다. --이제 [[김해시]] 내에서만 새로 개원하면 되지만 전망이 밝지 않다. 인제대는 이 부지 때문에 매년 수억원의 세금을 물고 있으나 병원 부지로 묶여 있어서 매각도 하지 못하고 있다.] * 2013년 3월 약학관이 탐진관 옆쪽에 새로 준공되었다. * '''2016년 8월 교육부의 [[프라임 사업]] 대형부분에 선정'''되었다. * 2017년 10월 BNIT융합대학관(제약공학과 등)이 [[학생군사교육단|학군단]] 건물 뒤편에 새로 준공되어 BNIT 관련 학과들이 본 건물로 이전되었다. * 2020년 8월 BK21 2단계 (6개 사업단), 3단계(3개 사업단)에 이어 4단계 지원 사업에 3개의 중심사업단이 연속 선정되었다. * 2020년 9월 IPP형 일학습병행사업 성과평가(전국 총 37개 대학만 선정)에서 취업률 등 성과를 인정받아 5년 연속 A등급(우수대학)에 선정되었다. * 2020년 9월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가 교육부(한국연구재단)의 2020년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에 최종 선정(예체능 분야 전국 최초)되어 6년 간 약 15억 5000만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게 되었다. * 2021년 3월 단과대학으로 [[정보대학|AI융합대학]]이 새로 신설되었다. 이에 따라 학부 개편이 이루어졌는데 [[컴퓨터공학과]] 등 소프트웨어 대학의 일부 전공과 [[빅데이터]], [[사물인터넷]],인공지능(AI), 정보보안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전공 트랙이 새롭게 개설되었다. [[분류:인제대학교]][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인제대학교, version=1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