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묘호]] {{{+3 仁宗}}} [목차] == 개요 == [[한자 문화권]]에서 [[왕]]의 [[묘호]]나 [[시호]]로 붙이는 단어 중 하나로, 묘호 치고는 비교적 뒤늦게 등장한 편이다. 어질 인([[仁]])을 쓴 만큼 [[유교]] 문화권 군주로서는 최고의 시호이자 묘호라 할 수 있겠으나, 어째 [[송인종]]을 제외하곤 하나같이 [[단명]]하거나 수난을 겪었다. 단적으로 고려 인종은 통치 기간 내내 여러 전란에 시달렸고, 조선 인종은 재위한 지 1년도 채 되지 않아 사망했다. 조선 [[성종(조선)|성종]]의 묘호가 인종이라 붙여질 뻔 했었다. 논의 끝에 [[연산군]]이 성종이라고 붙였는데, 연산군은 자치통감을 읽고는 송인종이 유하기만 해서 여러 차례 [[요나라|오랑캐]]의 화를 입었다고 깠다.[[http://sillok.history.go.kr/id/kja_10101020_003|#]] 그래도 군주들의 개인적인 성품은 글자의 의미처럼 대부분 온화하고 너그러운 경우가 많았다. == 인종의 묘호를 받은 [[군주]]들 == || '''{{{#CCF8FF 성명}}}''' || '''[[묘호|{{{#CCF8FF 묘호}}}]]''' || '''[[시호|{{{#CCF8FF 시호}}}]]''' || '''{{{#CCF8FF 재위 기간}}}''' || '''{{{#CCF8FF 비고}}}''' || || [[인종(고려)|왕해]](王楷) || [[고려]]인종[br](高麗仁宗) || 극안공효대왕[br](克安恭孝大王) || 1122~1146 || 17대 대왕 || || [[인종(조선)|이호]](李峼) || [[조선]]인종[br](朝鮮仁宗) || 헌문의무장숙흠효대왕[br](獻文懿武章肅欽孝大王) || 1544~1545 || 12대 왕 || || [[송인종|조정]](趙禎) || [[북송|송]]인종[br](宋仁宗) || 체천법도극공전덕신문성무예철명효황제[br](體天法道極功全德神文聖武睿哲明孝皇帝) || 1022~1063 || 4대 황제 || || [[인종(서하)|이인효]](李仁孝) || [[서하]]인종[br](西夏仁宗) || 성덕황제[br](聖德皇帝) || 1139~1193 || 5대 황제 || || [[야율이열]](耶律夷列) || [[서요]]인종[br](西遼仁宗) || 경황제(景皇帝) || 1151~1163 || 2대 황제 || || [[원인종|보르지긴 아유르바르와다]][br](孛兒只斤 愛育黎拔力八達) || [[원나라|원]]인종[br](元仁宗) || 성문흠효황제[br](聖文欽孝皇帝) || 1311~1320 || 4대 황제 || || [[홍희제|주고치]](朱高熾) || [[명나라|명]]인종[br](明仁宗) || 경천체도순성지덕홍문흠무장성달효소황제[br](敬天體道純誠至德弘文欽武章聖達孝昭皇帝) || 1424~1425 || 4대 황제 || || [[가경제|아이신기오로 용얀]][br](愛新覺羅 顒琰) || [[청나라|청]]인종[br](淸仁宗) || 수천흥운부화수유숭문경무광유효공근검단민영철예황제[br](受天興運敷化綏猷崇文經武光裕孝恭勤儉端敏英哲睿皇帝) || 1795~1820 || 7대 황제 || || [[리 인종|이건덕]](李乾德) || [[리 왕조|이]]인종[br](李仁宗) || 효자성신문무황제[br](孝慈聖神文武皇帝) || 1072~1127 || 4대 황제 || || [[인종(쩐)|진금]](陳昑) || [[쩐 왕조|진]]인종[br](陳仁宗) || 법천숭도응세화민융자현혜성문신무원명예효황제[br](法天崇道應世化民隆慈顯惠聖文神武元明睿孝皇帝) || 1278~1293 || 3대 황제 || || [[레인종|여방기]](黎邦基) || [[후 레 왕조|후여]]인종[br](後黎仁宗) || 흠문인효선명총예선황제[br](欽文仁孝宣明聰睿宣皇帝) || 1442~1459 || 3대 황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