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현재 운행 중인 동일 번호 노선, rd1=인천 버스 순환43)] [include(틀:폐선)]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BC%F8%C8%AF43.jpg]] [* 위 차량은 간선도색 되어 7번으로 넘어가 운행하다가 2018년 초에 대차되었다.]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인천광역시 지선버스 순환43번}}} || ||<-2><:>기점||<:>인천광역시 연수구 청학동(청학아파트)||<-2><:>종점||<:>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동(농산물센터)|| ||<|2><:>종점행||<:>첫차||<:>05:30||<|2><:>기점행||<:>첫차||<:>05:30|| ||<:>막차||<:>23:00||<:>막차||<:>23:00|| ||<-2><:>평일배차||<:>70~80분||<-2><:>주말배차||<:>70~80분|| ||<-2><:>운수사명||<:>[[인천교통공사]]||<-2><:>인가대수||<:>1대|| ||<-2><:>노선||<-4><:>청학아파트 - 용담마을 - 동남스포피아 - 가천의대 - (→ [[신연수역]] →/← 연수초등학교 ←) - [[선학역]] - [[문학경기장역]] → 농산물센터 → [[남동경찰서]] → [[문학경기장역]] → 이후 역순|| == 개요 == [[인천교통공사]]에서 운행했던 지선버스 노선으로, 총 운행거리는 14.7km였다. == 역사 == * 2012년 4월 1일에 '청학현대아파트 - 성호.시대아파트' 구간이 '청학아파트 - 한전남인천지사 - 성호.시대아파트'로 변경되었으며, '신연수역 - 농산물센터' 구간이 연장되었다. [[http://bus.incheon.go.kr/iw/jsp/_admin/bbs/upload/20120322_43.pdf|인천광역시 공지사항(pdf 파일)]] 청학현대아파트로 가려면 좁은 데다가 주정차차량도 많은 골목길을 지나야했는데, 이런 난코스로 더 이상 들어가지 않게 되었다. 다만 증차가 되지 않아 배차간격이 30~50분에서 70~80분으로 크게 늘어났다. * 2016년 7월 30일 개편 때 폐선되었다. === 대체 교통편 ===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43.jpg]] * 청학아파트, 한국전력남인천지사, 성호아파트, 용담마을, 동남스포피아, 연수1동주민센터, 문남마을~연수초, 선학역, 선학체육관, 터미널, 농산물센터 사이로는 523번으로 대신할 수 있다. * 박태환수영장~터미널, 터미널→신연수역으로는 600원 정도 더 내고 304번을 타야 한다. * 농산물도매시장과 남동경찰서는 523번을 타고 터미널에서 내려서 걸어가는 편이 다른 버스로 환승하는 것보다 더 빠르다. * 유천아파트후문, 가천의과대, 연수3동주민센터의 경우, 유천아파트후문에서는 연수1동주민센터로 이동해서 523번을 타고 / 연수3동주민센터는 신연수풍림아파트로 이동해서 523번을 타면 되며 / 가천의과대에서는 비류대로 상의 가천의과대 정류장으로 가서 780-2번을 타면 터미널로 갈 수 있다. == 특징 == * 종점을 제외하고 [[인천 버스 65|65번]]과 노선이 거의 일치하였으며, 배차간격 면에서도 밀렸다. 덕분에 손익분기점의 1/4도 채우기 힘든 '''적자 노선 중 하나였다'''. * 이 노선의 메리트는 막히는 곳이 용담마을 뿐이라 시간표에 기재된 시간에 정확히 탈 수 있다는 점과 편하게 앉아서 갈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요금이 싸다는 점, 그리고 연수구에서 문학터널을 넘어갈 때 환승을 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하지만 긴 배차간격이 모든 장점을 다 상쇄해버렸다(...). * 2020년 12월 31일 신설된 [[인천 버스 순환43|순환43번]] 송도공영차고지 - 송도스포츠센터(LNG야구장) 운행구간 하고 전혀 관련이 없다. 현재는 인천교통공사이며 당시에도 인천교통공사였다. == 연계 철도역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신연수역]], [[선학역]], [[문학경기장역]] [[분류: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폐선]][[분류:2016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