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인천광역시 간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5_1507-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5_1583.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15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15_인천_0116기준_배차오류수정본.png|width=100%]]}}} || ||<-2> 기점 || 인천광역시 서구 가좌동(가좌동차고지) ||<-2> 종점 || 인천광역시 남동구 서창동(서창공영차고지) || ||<|2> 종점행 || 첫차 || 05:00 ||<|2> 기점행 || 첫차 || 05:00 || || 막차 || 23:10 || 막차 || 23:10 || ||<-2> 평일배차 || 8~11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10~14분 / 공휴일 12~16분 || ||<-2> 운수사명 || [[시영운수]] ||<-2> 인가대수 || 25대[* 토요일 19대 / 공휴일 17대 운행.] || ||<-2> 노선 ||<-4> 가좌동차고지 - (→ 가좌환경사업소 →) - 현대제철 - 동국제강후문 - 만석부두 - [[인천역]]([[차이나타운(인천)|차이나타운]]) - 신포동행정복지센터 - [[동인천역]] - [[도원역]]([[인천축구전용경기장]]) - [[제물포역]] - 도화초등학교.수봉도서관 - 시민공원.문화창작지대 - 석바위 - 주원고개 - (→ 석천시장 →) - 간석오거리 - 간석사거리(상인천중학교) - 만수종합시장 - 만수주공정문 - 장수사거리 - [[인천대공원역]] - [[운연역]] - 서창도서관입구 - 서창센트럴푸르지오 - 서창동우체국 - [[서창공영차고지]] || ||<-2> {{{#fff '''중간 출발 정류장'''}}} || || '''서창동''' 방향 || 두산인프라코어, 신포시장, 숭의목공예마을앞, 제일시장, KT인천지사, 간석사거리, 만수7.8단지앞, 운연역 || || '''가좌동''' 방향 || 운연천, 만수주공정문, 간석사거리, KT인천지사, 수봉공원, 도원역 || == 개요 == [[시영운수]]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5.6km다. [[http://map.naver.com/?busId=21014&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공동배차 시절부터 운행하던 노선이다. 이후 2002년 경 단독배차가 시행되면서 [[경향여객]]에서 운행을 담당하게 되었다. * 2003년 12월 28일 노선이 [[성산여객|세원교통]] 가좌지점에 매각되었다. 이후 분리되어 시영운수에서 운행하게 되었다. * 2004년 당시 주안역 환승센터 개장 당시, 노선이 석바위시장 - 석암초교 - 주안역환승센터 구간으로 변경되었으나 이용승객들의 항의 민원으로 인하여 얼마 못 가서 환원되었다. * 2009년 개편 이전에는 '월미도 - (→ 대한제당 →/← 인천해사고 ←) - 인천역 - 동인천역 - 제물포역 - 주안사거리 - 석바위 - 간석전화국 - 간석오거리 - 간석사거리 - 만수주공 - 장수공영차고지(인천대공원입구)'를 운행하는 노선이었다. * 2009년 1월 30일 대개편 때 월미도 구간을 45번에게 물려주고, 폐선된 5번을 대신해 만석동과 동국제강을 경유하게 되었다. * 2011년 2월 28일 기점이 동국제강에서 가좌동 차고지로 연장되었다. * 2012년 10월 1일에 가좌동차고지가 이전되어 기점 구간이 변경되었다. * 2015년 11월 7일부터 21일까지 만석고가교 교면포장공사에 따라 인중로와 우회고가교로 우회하였다. * 2016년 7월 30일 시내버스 개편으로 배차간격이 6~7분으로 줄어들었다. * 2017년 7월 22일에 '수현로 - 수현마을' 구간이 '만수북중 - 만수주공4단지 - 남동정수장 - 인천대공원역 - 운연역 - 서창공영차고지'로 변경되었고, 배차 간격이 8분으로 늘어났다. 기존 구간은 [[인천 버스 534|534번]]이 대체한다. * 2017년 10월 14일 '만수주공3단지 - 숭덕여고 - 만수북중학교 - 조동초등학교 - 엘지슈퍼 - 만수주공4단지' 구간이 '만수시장 - 만수4동주민센터 - 만수주공4단지'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 2018년 12월 1일부터 운연역에서 바로 뒷방죽들로 가지 않고 서창1지구(현대모닝사이드, 서창도서관)과 서창2지구(서창e편한세상1002동, 서창센트럴푸르지오)으로 돌아서 간다. 그리고 서창차고지(뒷방죽들) 막차시각이 23:30에서 23:10으로 당겨졌다. == 특징 == * 중구 - 미추홀구 - 남동구 구간 수요, 통학수요가 많다. 인천에 있는 웬만한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경유하고, 제물포역 인근에 위치한 선인재단 학생들도 많이 이용하기 때문에 출근시간에는 학생들과 통근하는 사람들도 미어터진다. * 만수주공에서 주안동 이동이 목적이라면 이 노선을 이용하는 것보다 [[인천 버스 8|8번]]을 이용하는 것이 더 빠르다. 이 노선은 간석오거리로 돌아가기 때문에 소요시간이 8번보다 오래걸린다. * 서창동 방향 차량은 주원고개에서 간석오거리로 갈 때 신호체계 문제로 인해 석천시장 골목을 거쳐 간석오거리로 향한다. 2016년 7월 30일 ~ 2020년 12월 30일까지 [[인천 버스 592|592번]]의 회차 구간이였지만 2020년 시내버스 개편으로 해당 구간을 경유하지 않게 되면서 단독 구간이 되었다. * 서창동에서 구도심권인 주안동, 도화동쪽으로 가는 노선중 하나이지만, 서창동 주민들은 이 노선을 잘 이용하려 하지 않는다. 운연역과 만수주공단지를 돌고 난 이후에 주안으로 가는지라 소요시간이 다른 루트에 비해 오래 걸리기 때문. 애초에 이 노선이 서창동으로 들어가는 이유가 서창동 주민들의 운연역 접근 향상이다. 이 목적에 맞게 '서창동- 운연역'의 수요는 어느정도 있는 편. * 의외로 최초 타이틀이 많이 달린 노선이다. 전면LED부착, 통합요금함 도입 등.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인천역]], [[동인천역]], [[도원역]], [[제물포역]], [[도화역]][* 도화초등학교.수봉도서관 하차 후 도보.] * [[파일:Incheonmetro1_icon.svg|width=17]]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간석오거리역]] * [[파일:Incheonmetro2_icon.svg|width=17]]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시민공원역]], [[석바위시장역]], [[만수역]], [[인천대공원역]], [[운연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인천역, [[신포역]][* 신포동행정복지센터 하차 후 도보.] [[분류:인천광역시의 간선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