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BB%E7%C1%F8_379.jpg]]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인천광역시 광역버스 1900번}}} || ||<-2> 기점 || 인천광역시 서구 오류동(금오동종점) ||<-2> 종점 ||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1가(서울역) || ||<|2> 종점행 || 첫차 || 05:30 ||<|2> 기점행 || 첫차 || 06:00 || || 막차 || 00:00 || 막차 || 01:00 || ||<-2> 평일배차 || 15~25분 ||<-2> 주말배차 || 30분 || ||<-2> 운수사명 || [[신백승여행사]] ||<-2> 인가대수 || ?대 || ||<-2> 노선 ||<-4> 금오동종점 - 검단원흥아파트 - 볼로동월드아파트 - 원당지구 - 유현사거리 - 장기동 - [[올림픽대로]] - [[합정역]] -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 - [[서울역]] || == 개요 == [[신백승여행사]]에서 운행했던 광역버스 노선. == 역사 == * 검단 지역 중에서도 광역 교통의 소외지였던 오류동 지역과 불로동 지역 주민들을 위해 2009년 10월 15일에 신설되었다. 참고로 신백승여행사(현 [[신강교통]])는 인천 버스 중에서도 한정면허 노선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였다. 즉, 이 노선도 '''한정면허''' 노선이었다는 뜻. * 2011년 여름 [[민주노총]] 소속 [[삼화고속]] 노조원들의 파업으로 인해 모든 삼화 광역 노선들이 운행중단되었을 때 반사이익을 많이 받았던 노선이었다. --물론 거의 다 [[인천국제공항철도]]나 [[경인선]]이 커버 가능한 수요이긴 했으나--1100번과 1101번의 대체노선인 데다가 [[인강여객]]의 노선 전 차량이 강남행인 것에 반해 이 노선이 유일한 강북행이었기 때문. 그리고 삼화고속 파업이 장기화되면서 10월부터 서울역까지 임시로 연장되었다. * 2012년 1월 30일에 '이대역 - 충정로역 - 경찰청' 구간이 연장되었다. [[http://121.172.227.6/iw/jsp/_admin/bbs/upload/201201261.hwp|인천광역시 공지사항(hwp 파일)]] * 검단사거리역 공사로 인해 2012년 2월 18일부터 (시기 미상)까지 검단로445번길로 우회하였다. [[http://bus.incheon.go.kr/iw/jsp/_admin/bbs/upload/20120221_2.xls|인천광역시 공지사항(xls 파일)]] * 2012년 5월 21일에 드디어 서울역까지 정식으로 연장되었다. 대신 경찰청에는 정차하지 않게 되었다. [[http://bus.incheon.go.kr/iw/jsp/_admin/bbs/upload/20120509_1900.pdf|인천광역시 공지사항(pdf 파일)]] 원래는 14일에 변경될 예정이었지만 일주일 늦춰졌다. * 신백승여행사가 1100번과 1101번을 물려받게 되면서 더 이상 1900번의 필요성이 사라졌다. 따라서 2012년 7월 30일에 1101번으로 흡수되었다. [[http://bus.incheon.go.kr/iw/jsp/_admin/bbs/upload/20120725-1.pdf|인천광역시 공지사항(pdf 파일)]] == 특징 == 검단에서는 약간의 '''택배근성'''을 보인다. 그럴 수 밖에 없는게, 불로동의 거의 [[김포]]시 경계에 걸쳐있는 동네라 서울을 최단거리로 가기 위해서는 김포를 거쳐야 하는데 [[김포]]시에서 다른 동네 회사 버스가 이 지역을 지나가게 내버려두기 만무하고, 그래서 원당~불로 간 '''왕복 2차로'''의 좁은도로를 통해서 인천으로 내려간다. 신설 인가 당시에는 마전지구 경유까지 있었으나, 운행 개시 때에는 마전지구 경유는 제외되었다. --진짜 되었다면 이건 [[광역버스]] 탈을 쓴 [[마을버스]]지. [[삼화고속]]이 있는데 뭐하러-- 원당지구에서 장기동까지는 삼화고속 노선([[인천 버스 1100|1100번]], [[인천 버스 1101|1101번]])과 중복되기 때문에 이 노선이 신설되었을 당시에는 [[삼화고속]]에서 은근히 이 노선에 대한 견제가 꽤 심했다고 한다. 하지만 원당지구 주민들은 배차간격 미준수 및 횡포 등으로 인해 [[삼화고속]]에 악감정을 가지고 있었던지라[* 특히 배차간격 똥망인 2100번 문제도 있었고...] 1900번 신설에 호의를 보였고, 일부 주민들 사이에서는 '삼화고속 안 타기 운동'을 벌여 1900번만을 이용하는 운동까지 있었다. 이에 화가 난 삼화 측에서는 직원을 동원하여 이 운동에 제동을 걸기까지 했다고. 여담으로, [[양화대교]] 공사로 인해서 다리를 지나갈 때 급구배 때문에 운전자들이 위험천만한 환경에 노출해 있어 이에 대한 시정 요구가 높아지고 있었을 때 결국 우려가 현실이 되어 양화대교에서 큰 교통사고가 일어났다. '''그리고 1900번이 이 사고의 피해자였다'''. == 연계 철도역 == 폐선 당시에 존재했던 역만 기재하였다.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합정역]], [[홍대입구역]], [[신촌역(도시철도)|신촌역]], [[이대역]], [[아현역]], [[충정로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충정로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합정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울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분류: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폐선]][[분류:2009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12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