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인천광역시 간선버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n20-ac.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20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231028_인천_20번_지도노선도.svg|width=100%]]}}} || ||<-2> 기점 ||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소래포구역종점) ||<-2> 종점 || 인천광역시 부평구 산곡동(문화교회) || ||<|2> 종점행 || 첫차 || 05:30 ||<|2> 기점행 || 첫차 || 05:30 || || 막차 || 22:40 || 막차 || 22:40 || ||<-2> 평일배차 || 11~15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14~20분 / 공휴일 16~22분 || ||<-2> 운수사명 || [[인천스마트]] ||<-2> 인가대수 || 13대 || ||<-2> 노선 ||<-4> [[소래포구역]]종점 - (← 에코메트로5단지 ← 에코메트로12단지 ←) - 소래역사관 - 논현푸르지오.유호엔시티 - 소래풍림아파트 - 논현12~14단지 - 논현1동행정복지센터 - 논현9단지냇마을신영지웰A - 청능로사거리 - 논현7~1단지 - 논현주공1.2단지 - 남촌풍림3차아파트 - 선수촌사거리 - 구월아시아드8.5단지 - 롯데케슬모래내시장 - 벽산.이삭아파트 - (농장주유소 → 대웅실업 → 부평농장 →) - 인천가족공원입구 - 부평사거리 - [[백운역]] - 현대3단지 → 산곡여중(마장로삼거리) → 문화교회 → 이후 역순 || ||<-2> {{{#fff '''중간 출발 정류장'''}}} || || '''문화교회''' 방향 || 청능로사거리, 사리울삼거리, 롯데캐슬모래내시장 || || '''소래포구역''' 방향 || 소구월사거리, 남촌풍림2차아파트 || == 개요 == [[인천스마트]]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33.51km다. [[http://map.naver.com/?busId=21018&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예전에는 [[인천 버스 21|21번]]과 더불어 논현고잔동 지역의 교통편의를 위한 노선이었고, '동인천역 - 도원역 - 제물포역 - 시민회관 - 석바위 - 인천고등학교 - 인천시청후문 - 팬더아파트 - 소구월사거리 - 남동구청 - 만수3단지 - 수산동 - 도림동 - 논현사거리 - 호구포 - 고잔동 - (주)창원 - 유수지길 - 연수구청 - 동춘동(동남아파트)' 구간을 운행하던 초장거리 노선이었다. 당시 지역의 중고생 통학[* 논현지구 개발 이전에는 논현고잔동에 중고등학교가 없어서 중학교는 만수동과 구월동으로, 고등학교는 인천고, 선인재단, 동인천, 연수구 일대로 통학해야 했다.]과 시청과 시내(동인천)으로 이어주는 선형을 가지고 있었다. '동인천역 - 논현사거리' 구간은 21번과 동일했으며, 당시에는 고잔동과 호구포 지역의 유일한 대중교통 수단이었지만 배차간격이 매우 널뛰는 노선이었다. 그래서 카풀을 하는 경우도 많았고, 배차가 훨씬 좋았던 [[인천 버스 35|35번]]을 타고 나가기도 했다. * [[파일:attachment/인천 버스 20/Example.jpg]] 과거 노선 [[고잔동(남동구)|고잔동]] 구간 중, 평범한 주택가 동네 골목길(앵고개로697번길, 논현고잔로128번길)을 대형버스로 다녔다. 덕분에 골목길마다 '시내버스 통행구간, 주차금지'라는 팻말이 설치되어 있었는데, 누군가 골목길에 차를 세우면 못 빠져 나가는 크락션 소리가 동네 떠나가라 계속 울리곤 했다.[* 물론 노선이탈이 안됐기 때문에... 거기다가 길도 버스 1대가 겨우 지나갈 정도로 좁은 턱에 그래서 여기 못 빠져나오면 기사 아저씨들이 차에서 나와 화를 내고 싸움이 일어나는 경우도 많았다.] * 결국 1999년에 버스조합이 적자를 이유로 시에 반납하였고, 사실상 운휴에 들어가 폐선과 가까운 절차를 밟게 되었다. * 다행히도 2000년 9월 15일부터 용현운수 계열사인 인천버스가 인수하여 운행을 시작했으며, 차량도 몇 대 늘려 배차간격이 다소 개선되었다. * 하지만 계속되는 적자와 비효율적인 노선으로 인해 결국 2000년 12월 20일에 노선이 현재와 비슷하게 변경되었다. 더 이상 20번이 다니지 않게 된 '고잔동 - 호구포 - 논현사거리' 구간은 2000년 10월에 노선이 변경된 [[인천 버스 27|27번]]이 계승하게 되었다. 다만, 고잔동 골목길 구간은 계승되지 않았다. * 2003년 6월 23일에 월곶까지 연장하려다가 철회되었다. * 부안고가교 밑 백운역 1번출구 앞 공터에서 회차했다. 이곳에서 버스를 회차시켜 골목길을 통해 인천가족공원으로 가는 노선이었다. 그러다 부안고가 재가설로 인해 회차에 애로사항이 생기면서 2012년 6월 5일부터 부안고가를 넘게 되었다. 이후 신촌사거리에서 부평 현대아파트 113동 → 105동 →102동 → 부평 현대아파트 정류장 순으로 회차했다.[* [[인천 버스 564|564번]]과 이 당시 종점을 같이 공유했다. 이 구간은 2020년 12월 31일에 이 루트로 회차하려고 했으나 현대 1단지 주민들이 반대해서 산곡여중 회차로 바뀌었다.] 또한 기종점이 서로 뒤바뀌게 되었으며, 소래 구간에서도 소래로 대신 장도로 경유로 변경되었다. * 2013년 5월 1일에 '소래종점 - 소래포구역' 구간이 연장되었다. * 이후 신촌 현대 1차 루프가 폐지되고 부평사거리([[부평삼거리역]]) 회차로 변경되었다. 부안고가교 완공 후 1번 출입구 앞에 버스정류장까지 만들었으나 다시 들어오지 않았고, 결국 정류장이 2014년 6월에 철거되었다. * 2015년 3월 18일에 2대 증차됨과 동시에 부평역으로 연장되었다. * 2015년 6월 15일부터 구월아시아드선수촌을 추가로 경유하게 되었다. * 2016년 7월 30일 시내버스 개편으로 백운역 - 2001아울렛 - 부평역 - 부평시장로터리 구간이 폐지되고 대신 동수역 - 인천성모병원 - 일신동 - 송내역으로 연장되었다. 7대가 증차되어 배차 간격은 9~13분으로 조정되었다. * 2017년 7월 말쯤에, 지선버스만 정차하던 비전교회와 삼미타운 정류장이 정식으로 인가되었다. * 2018년 12월 1일에 2대가 감차되었고, 송내남부역 정류장 위치가 변경되었다. * [[파일:202010191724122881.jpg]] 2020년 12월 31일 시내버스 개편으로 인천가족공원입구 - 송내역 구간이 단축되었으며, 부평삼거리 단축 이전의 2016년 시내버스 개편 전으로 환원되었다. 인천가족공원 - 송내역 구간은 [[인천 버스 37|37번]]이 대체한다. [[https://www.incheon.go.kr/traffic/TR070501/2059093|개편 홍보문]] * [[파일:Screenshot_20201231-122719_Polaris Office.jpg]] 개편 초기에는 종점 구간에 아파트 입주민의 도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우회해서 들어갔다가 2021년 1월 16일부터 회차지가 확정되어 종점이 문화교회로 변경되었다.[* 기사들 말로는 현대 1단지 주민들이 반대해서 그랬다는 말이 있다.][[http://bus.incheon.go.kr/bis/noticeView.view#|관련 공문]] * 2021년 11월 27일부터 소래포구의 주말 혼잡을 피하고 이용객 편의를 개선하기 위해 주말에 소래포구어시장을 경유하지 않는 운행계통 노선인 20A번이 분리 신설되었다. 본선 운행거리도 35.39km로 늘어나지만 배차간격의 변화는 없다. * 2023년 6월 10일부터 20A번을 폐선하고 전일 20번으로 운행한다. == 특징 == * [[소래포구]] 앞쪽을 직접 경유하는 단 둘 뿐인 노선이다. 다른 하나는 [[인천 버스 순환52|순환52번]]이 있는데 이 노선의 배차간격이 좋아서 사실상 수요는 이쪽으로 몰린다. * 논현2지구 구간을 제외하고는 선형이 거의 직선이다. 논현동에서 모래내시장이나 부평구를 가는데 최적화된 노선이며, 인천가족공원으로 가기에도 적합한 노선이다. * '''이 노선은 명절 시즌과 성묘 시즌에 특히 터져 나간다.''' 바로 부평2동에 있는 [[인천가족공원]] 때문이다. 인천가족공원은 공동묘지와 봉안당, 화장장이 있는 장묘시설으로, 명절때마다 이용객이 폭증한다. 양 방향으로 경유하는 노선은 20번만 다녔으나 2020년 시내버스 개편으로 [[인천 버스 37|37번]]이 추가가 되었다.[* [[인천 버스 539|539번]]도 있지만 단방향으로만 순환하기 때문에 역방향으로 가려면 걸어가야 한다.] * 과거 논현고잔동 개발 초기에는 심각한 적자 노선이었다. 하지만 2000년대 들어 논현지구와 고잔동이 개발되고 나면서 수요가 많이 늘어났다. 그래서 논현동에서 구월동, 부평구 방면으로 편하고 빠르게 갈 수 있다. * '논현주공2단지~태화두진아파트' 구간에서 [[인천 버스 급행95|급행95번]]과 나란히 달린다. 이 구간에서 20번은 중간에 구월아시아드를 경유하지만 급행95번은 호구포로로 직통하기 때문에 논현동에서 부평구를 가려면 이 노선보다 급행95번을 이용하는 것이 더 빠르다. 사실상 급행95번의 보조 노선. 동사의 [[인천 버스 38|38번]]과도 큰방죽사거리부터 청능로사거리까지 노선이 중복되지만, 종점과 이후 중간 경유지가 달라 수요 간섭은 적은 편이다. * [[소래포구]]에서 수산물을 구입하면 반드시 스티로폼 박스에 밀폐시켜 포장해서 버스를 탑승해야 한다.[* 구입할 때 상인에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거라 스티로폼 박스에 포장해달라고 부탁하면 된다.] 수산물을 일반 비닐봉지에 담아서 탑승하려 하면 승차거부를 당한다. 이는 똑같이 소래포구를 경유하는 [[인천 버스 순환52|순환52번]]도 동일하다. 이러한 승객들이 탑승하면 버스 내에 비린내가 진동해 청소하는데 애먹는다고 한다.[* 안그래도 소래포구를 경유하는 같은 회사 다른 노선들도 버스 창문 한 쪽에 '''물기가 흐르는 수산물을 가지고 탑승할 수 없으니, 수산물은 포장하여 탑승해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스티커를 붙여놓았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지나치기 일쑤라 종종 뭣모르고 수산물을 포장하지 않고 탑승하는 몰상식한 승객들이 있다.] 이는 정당한 승차거부라 관련기관에 신고해도 아무런 소용이 없다. === 일평균 승차인원 === ==== 본선 ==== ||<-3> {{{#ffffff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20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9년 || 5,364명 || - || || 2020년 || 4,238명 || {{{#blue ▽ 1,126}}} || || 2021년 || 4,560명 || {{{#red △ 322}}} || || 2022년 || 5,560명 || {{{#red △ 1,000}}} || ||<-3> {{{-1 ※ 하차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stcis.go.kr/pivotIndi/wpsPivotIndicator.do?siteGb=P&indiClss=IC03|교통카드 빅데이터 통합정보시스템]] *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 폐지된 노선 ==== ||<-3> {{{#ffffff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20A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21년 || 2,212명 || - || || 2022년 || 2,770명 || {{{#red △ 558}}} || ||<-3> {{{-1 ※ 하차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stcis.go.kr/pivotIndi/wpsPivotIndicator.do?siteGb=P&indiClss=IC03|교통카드 빅데이터 통합정보시스템]] *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백운역]] * [[파일:Incheonmetro1_icon.svg|width=17]]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부평삼거리역]][* 인천가족공원입구 하차 후 도보.] * [[파일:Incheonmetro2_icon.svg|width=17]] [[인천 도시철도 2호선]]: [[모래내시장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소래포구역]], [[인천논현역]][* 청능로사거리 하차 후 도보.] == 둘러보기 == [include(틀:남촌농산물도매시장경유노선)] [[분류:인천광역시의 간선버스]][[분류:1985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