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인천광역시 간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n28-fbs.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28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인천_28_노선도_23.09.png|width=100%]]}}} || ||<-2> 기점 || 인천광역시 서구 가좌동(가좌동차고지) ||<-2> 종점 ||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대동아파트) || ||<|2> 종점행 || 첫차 || 05:00 ||<|2> 기점행 || 첫차 || 05:00 || || 막차 || 23:00 || 막차 || 23:00 || ||<-2> 평일배차 || 14~19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18~24분 / 공휴일 19~27분 || ||<-2> 운수사명 || [[세운교통]] ||<-2> 인가대수 || 14대[* 토요일 11대 / 공휴일 10대 운행.] || ||<-2> 노선 ||<-4> [[가좌동차고지|가좌동차고]] - 엠파크타워 - 가구단지사거리 - 송림고개(도화신동아아파트) - 서화초등학교(도화e편한세상) - 도화사거리.더샵인천스카이타워 - [[주안역|주안북부역]] - 한국폴리텍2대학남인천캠퍼스 - 공단본부 - (→ 태평양인천물류센터 →/← 현대써비스 ←) - 가재울사거리 - 가좌초등학교 - 범양상가 - 명신여자고등학교 - 한양쇼핑 - KT부평지사 - 부평여자고등학교 - 부평구청 - [[굴포천역]](롯데마트) - 삼산주공7단지 - 아인스월드.삼산타운4단지 - 휴먼시아1단지 - 미래타운1.2단지 - 작전풍림아파트 - 이마트 → 대동아파트 → 계산여자고등학교 → 계양구청 → 동보아파트 → 이마트 → 이후 역순 || ||<-2> {{{#fff '''중간 출발 정류장'''}}} || || '''대동아파트''' 방향 || 대화초등학교, 공단본부, 삼보아파트, 삼산월드체육관 || || '''가좌동차고''' 방향 || 작전풍림아파트, 삼산주공7단지, 범양상가, 공단본부 || == 개요 == [[세운교통]]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6.9km다.[[http://map.naver.com/?busId=21024&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공동배차제로 운행했다가 2000년 3월부터 [[부성여객]]에서 운행했다. * 2003년 31대에서 6대가 감차되어 25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민원이 지속되어 매각설이 나돌기 시작했다. * 2003년 4월 23일에 운수업체가 [[성산여객|세원교통]]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세원교통이 [[시영운수|시영운수]]로 분리되면서 노선이 함께 넘어갔다. 당시 노선은 '연안부두 - 인하대병원 - 신흥로터리 - 중구청 - 인천역 - 만석초교 - 화수동 - 동인천역 - 도원역 - 독정이 - 인천고 - 석바위 - 주안북부역 - 주안공단 - 가좌범양아파트 - 거북시장 - 가정오거리 - (→ 연희동 →/← 심곡동 ←) 였다.(당시 노선은 연안부두~서구청) [[파일:external/www.incheonbus.or.kr/28_map.gif]] * 2004년 8월에 주안역을 기준으로 노선이 둘로 갈라지면서 28-1번이 분리신설되었다. 이 때 주안역환승센터로 들어오게 되었다. * 2005년 1,2월경 검암1지구로 연장됐고, 3월 28일 검암2지구로 연장되었다. 당시에는 가정오거리-서곶로-심곡초-공촌마을-공촌사거리-대인고-서곶로-검암사거리-검암2지구-검암경서동사무소-구도로(승학로)경유로 가정오거리를 운행했는데 가정오거리를 기준으로 엄청난 루프구간이 존재했던 셈이다. * 2005년 10월 4일 두 노선이 다시 합쳐졌다. 이 때 다시 환승센터로는 들어가지 않게 되었다. * 2007년 3월 23일 검암역 개통으로 검암2지구→연안부두 방향만 검암역을 경유하도록 바뀌었다. * 2007년 7월 2일 ‘연안부두 ~ 동인천역’ 구간이 폐지되었고 연안부두 대신 ‘동인천역 ~ 인천역 ~ 만석부두 ~ 송림이마트 ~ 현대제철’ 구간으로 P자 회차방식으로 변경되었다. * 2009년 개편 직전에는 '북항 - 석바위 - 주안북부역 - 가좌동 - 가정오거리 - 검암역' 구간을 운행하는 장거리 + 택배근성 노선이었다. * 2009년 1월 27일 개편 때 주안역에서 석바위로 가는 구간을 없애고 주안공단 쪽으로 변경했는데, 민원이 폭발하자 [[인천 버스 28-1|28-1번]]을 분리신설했다. 검암2지구-가정오거리 구간은 검암1,2지구 구간과 심곡동 구도로 구간이 사라지고 검암역-서곶로직진-공촌사거리-공촌마을-심곡초-가정오거리 양방향경유로 변경되었다. * 2011년 8월 9일부터 인천역 방향 한정으로 검암경서동주민센터를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원래는 10일에 변경할 예정이었지만, 하루 앞당겨졌다. * 가좌동차고지가 이전하면서, 2012년 10월 1일에 기점 구간이 변경되었다. * 청라국제도시 진입도로가 개통하면서 2014년 9월 18일에 노선이 변경되었다. * 2015년 6월 1일부터 검암2지구로 들어가게 되었다. * 2016년 7월 30일 시내버스 개편으로 인천 도시철도 2호선과 중복되는 가좌범양아파트~검암역 구간이 단축되고 부평구청역~삼산택지~계산택지지구(도두리마을, 계양체육관)까지 연장되었다. 운행시간이 줄어 배차간격이 6~9분으로 좁혀진다. * 2018년 12월에 2대가 28-1번으로 이동되었다. * 2020년 12월 31일 시내버스 개편으로 만석비치타운을 추가로 경유하게 되었다. [[https://www.incheon.go.kr/traffic/TR070501/2059101|개편 홍보문]] * 2022년 3월 26일에 3대가 감차되었다. * 2022년 8월 30일 [[시영운수]]에서 [[세운교통]]으로 이관되었다. * 2023년 9월 2일부터 산업용품단지 대신 엠파크타워를 경유하도록 변경되고, 송림휴먼시아-제물포역 구간을 미경유하고 서화초등학교를 경유하도록 변경된다. 운행거리는 단축되었지만 11대가 감차되어 10대는 분리 신설되는 26번에, 1대는 [[인천 버스 11|11번]]에 증차되며, 배차간격은 오히려 12~16분으로 조금 늘어난다. 단축 구간은 [[인천 버스 26|26번]]이 대체한다. {{{#!folding [ 변경 이전 지도 노선도 ] [[파일:28_인천_0116기준수정본.png|width=100%]]}}} * 2023년 9월 25일 배차간격 현실화로 배차간격이 평일 14∼19분, 토요일 18∼24분, 공휴일에 19∼27분으로 조정되었다. == 특징 == * 과거에는 굴곡이 많았고, 노선 분리 이후 완화되어 가좌공단~굴포천역 구간은 거의 직선이지만 삼산동 구간부터 계산동으로 가는 길목은 또 굴곡이 있다. * [[인천 버스 46|46번]]처럼 개통 초기와 현재의 노선이 완전히 다르다. 그나마 2016년의 개편에서는 '가좌동차고지 - 주안공단'에서 어느정도의 흔적이 남아있는 것 같았으나, 2023년 9월 2일에 '송림동 - 제물포역' 구간이 대폭 잘려나가 이마저도 완전히 사라졌다. 번호만 같지 현재와 과거의 노선이 완전히 달라졌다고 봐도 무방하다. * 2016년 개편으로 주안공단에서 부평구나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으로 가는 수요가 소폭 생겼다. * 아인스월드 정류장은 부천시에 있다. * 송림동 - 굴포천역 구간은 주안북부역과 주안공단으로 돌아가고, 가좌동 구간도 약간 굴곡이 있어서 [[인천 버스 24|24번]]이 더 빨리 간다. * [[인천 버스 81|81번]]과 함께 [[인천도화도시개발사업|도화지구]]에서 [[주안역]]으로 가는 수요를 분담한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28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8년 || 8,762명 || - || || 2019년 || 10,006명 || {{{#red △ 1,244}}} || || 2020년 || 7,679명 || {{{#blue ▽ 2,327}}} || || 2021년 || 7,807명 || {{{#red △ 128}}} || || 2022년 || 9,826명 || {{{#red △ 2,019}}} || ||<-3> {{{-1 ※ 하차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stcis.go.kr/pivotIndi/wpsPivotIndicator.do?siteGb=P&indiClss=IC03|교통카드 빅데이터 통합정보시스템]]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도화역]][* 대화초등학교 하차후 도보.], [[주안역]] * [[파일:Incheonmetro1_icon.svg|width=17]]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부평구청역]] * [[파일:Incheonmetro2_icon.svg|width=17]]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주안역, [[주안국가산단역]][* 한미반도체 하차 후 도보.]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부평구청역, [[굴포천역]] [[분류:인천광역시의 간선버스]][[분류:1977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부천시 경유 관외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