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42-1.jpg]] [* 위 차량은 현재 NEW e-화이버드 대차후 [[인천 버스 206|206번]]에서 운행하고 있다.]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42-1번}}} || ||<-2><:>기점||<:>인천광역시 서구 청라동(청라우미린)||<-2><:>종점||<:>인천광역시 서구 검암동(검암역(원당방면))|| ||<|2><:>종점행||<:>첫차||<:>05:10||<|2><:>기점행||<:>첫차||<:>05:30|| ||<:>막차||<:>23:00||<:>막차||<:>00:00|| ||<-2><:>평일배차||<:>출퇴근 10분/평시 14~17분||<-2><:>주말배차||<:>14~17분|| ||<-2><:>운수사명||<:>[[영종운수|영풍운수]]||<-2><:>인가대수||<:>7대|| ||<-2><:>노선||<-4><:> 청라우미린 - 한양수자인 - 반도유보라 - SK뷰 - 호반베르디움4차 - 청라휴먼시아 - 한일베라체.레이크파크 - 한라비발디 - 부광하우스 - 광명메이루즈 - 청라웰카운티1차 - 인천녹지관리사업소 - 빈정내사거리 - 검암1지구 - [[검암역]](원당방면) || == 개요 == [[영풍운수]]에서 운행했던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5.3km였다. == 역사 == * 대진운수 시절에 [[인천 버스 42|42번]]에서 분리신설하였다. 당시 영종도에서 인천 육지를 오가는 카페리가 출발하는 율도선착장[* 41번과 42번 등이 출발하던 율도종점과 다른 곳이며, 북항 한진중공업 인천공장 인근에 위치했다.]의 연계를 위해 '''동암역 - 십정사거리 - 제물포중 - 가좌3동주민센터 - 석남초교 - 태양공단 - 율도선착장'''으로 다니던 노선이었다. 당시에는 30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0032324|관련 기사]] * 이후 [[동서교통]]이 인수하였다. * 동서교통이 부도처리되면서 영풍운수가 인수하였다. * 하지만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영종대교) 개통 이후 카페리 수요가 줄어들면서 당시 카페리를 운항하던 삼보해운이 문을 닫았고, '율도선착장 - 영종도' 뱃편도 사라졌다. 이로 인해 종점이 서부공단으로 변경되었다. * 이후 경서동 아파트단지로 연장되었다. 당시 약 45~55분의 배차간격을 가지고 있어서 동암역에서 경서동으로 가려던 승객들의 불편이 있었던 노선이었다. * 2010년에 청라지구를 경유하여 검암역까지 연장하였고, 반대편도 동암역에서 간석오거리역까지 연장하였다. 그러면서 42번 차량을 더 가지고 와 배차간격을 약 24분까지 줄였다. 그러나 여전히 배차간격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청라 주민들의 민원이 여전했다. * 중봉로 도로포장공사에 따라 2011년 3월 25일부터 29일까지 우회하였다. * 2011년 6월 14일에 청라동주민센터 대신 남광하우스토리를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 2011년 10월 1일에 청라풍림엑슬루~간석오거리역 구간이 뎅겅 잘려서 '''[[검암역]] - 경서동입구 - 경서동 - 서부공단입구 - 청라고 - 광명메이루즈 - 공무원연금공단 - 한일베라체 - 청라휴먼시아'''로 단축되었다. * 2011년 7월 15일에 2대가 감차되었다. * 2011년 8월 9일에 대인고 대신 검암경서동주민센터 경유로 변경되었다. 원래는 10일에 변경할 예정이었지만, 하루 앞당겨졌다. * 2011년 10월 1일에 '청라국제도시 - 간석오거리' 구간이 단축되었으며, '경서지구입구 - 청라한식뷔페 - 중흥S클래스1차 - 웰카운티1차 - 광명메이루즈' 구간이 '경서지구입구 - 서부공단입구 - 녹지관리사업소 - 청라고 - 호반베르디움 - 광명메이루즈'로 변경되었다. 회차는 청라휴먼시아를 끼고 P턴 회차로 변경. * 2011년 11월 1일에 순환노선이 되면서 시계방향 노선은 기존 번호인 '''42-1번''', 반시계방향은 [[인천 버스 42-2|42-2번]]이 되었다. 변경 이후 구간은 '''청라우미린 - 청라휴먼시아 - 한라비발디 - 청라고등학교 - 서부공단입구 - 경서동 - 경서동입구 - 검암역 - 경서동입구 - 서구보건소 - 가정1동주민센터 - 청라동주민센터 - 광명메이루즈 - 한라비발디 - 한일베라체 - 청라휴먼시아 - 청라우미린'''. 이미 개통 초기 노선의 흔적은 온데간데 없다. * 42-1번 구간 중 가장 수요가 많았던 '청라지구 - 검암역' 수요를 더욱 극대화시키기 위해, 2012년 4월 1일에 '청라한화.한라아파트 - 부광하우스 - 청라힐스테이트 - 청라중 - 청라웰카운티1~2차 - 청라고 - 녹지관리사업소 - 경서지구입구 - 경서초교 - 경서동태평아파트 - 공영의청사 - 경서동입구' 구간이 '청라한화.한라아파트 - 제일풍경채 - 부광하우스 - 청라힐스테이트 - 린스트라우스 - 광명메이루즈 - 청라웰카운티1차 - 녹지관리사업소 - 우성아파트 - 빈정내사거리 - 경서동입구'로 변경되었다. 기존 구간은 42-2번이 떠맡게 되었다. * 2012년 5월 14일에 검암역 막차가 10분 늦춰졌다. * 2012년 8월 30일에 청라우미린 인근 구간이 변경되었다. * 2013년 3월 11일에 청라 첫차가 20분 빨라졌다. * 2013년 7월 24일에 첫차가 10분 빨라졌다. * 2014년 6월 21일에 5대가 감차되었다. * [[파일:external/5608e4f19971c7250c4a9ec3bdb07eb7cc9ed357c28a9245b1310915cd3f03b2.jpg]] 2016년 7월 30일 시내버스 개편 때 폐선되었다. 대체노선은 [[인천 버스 43-2|43-2번]]. 42-1번을 타던 청라국제도시 일원 주민들과 아시아드경기장, 검암경서동주민센터, 검암역 이남 택지 주민들은 43-2번을 타면 42-1번이 가던 길을 그대로 갈 수 있다.그리고 43-1번 을 타도 42-1번이 가는 길을 거의 그대로 갈 수 있다 하지만 검암역 연계가 나빠졌고 11대가 다니던 42-1에 비해서 배차간격이 길다는 문제가 우려된다. == 특징 == * [[청라국제도시]] 주민들에게는 없어서는 안 될, 빛과 소금같은 존재였다. 검암역으로 가는 노선들 중 배차간격이 가장 짧았기 때문. 하지만 청라국제도시역 개업으로 인한 노선개편과정에서 [[인천 버스 202|202번]]에 차량을 넘겨주어 다른 노선들과 비슷한 배차간격을 갖게 되었다. * 인천에서 최초로 [[현대 블루시티]]를 투입하여 운행했다. * [[영풍운수]]에서 엄청 오랜만에 출고한 [[NEW BS106]] CNG 차량이 투입되었다. == 연계 철도역 == 폐선 당시 기준. 인천2호선이 개통된 날 폐선되어 2호선은 기재하지 않았다. * [[인천국제공항철도]] : [[검암역]] [[분류: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폐선]][[분류:2016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