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5.jpg]]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5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인천!5 구노선도.gif|width=100%]]}}} || ||<-2> 기점 || 인천광역시 서구 가좌동(가좌범양아파트) ||<-2> 종점 || 인천광역시 남구 주안동(주안역) || ||<|2> 종점[br]행 || 첫차 || - ||<|2> 기점[br]행 || 첫차 || - || || 막차 || - || 막차 || - || ||<-2> 평일배차 || - ||<-2> 주말배차 || - || ||<-2> 운수사명 || [[용현운수|인천스마트]] ||<-2> 인가대수 || -대 || ||<-2> 노선 ||<-4> 가좌동범양아파트 - [[제물포역]](북부) - 만석부두 - [[인천역]] - [[중구청]] - 숭의로터리 - [[제물포역]](남부) - [[주안역]] || == 개요 == [[용현운수|인천스마트]]에서 운행했던 간선버스 노선. == 역사 == * 공동배차 시절부터 운행하던 오래된 노선으로, 1980년대까지는 주안역을 미경유하였다. * 2001년 2월 개별배차 시행 이후 [[영종운수|영풍운수]]에서 운행을 담당했다. 당시 노선 선형이 굴곡으로 유명한 인천 시내버스 중에서도 최고의 굴곡 노선이었다. * 2001년 5월경 [[용현운수|인천스마트]]로 양도되었다. * 이랬던 노선이 2004년 장거리 노선을 분할한다는 개편 정책에 의해 환승장이 있는 주안역환승장을 기준으로 분할되어 [[인천 버스 5-1|5-1번]]이 신설되었다. 또한 종점이 인하대후문에서 주안역환승장으로 단축되었다. 이후 5-1번은 그럭저럭 승객이 있는 편이었으나, 5번은 '''[[굴곡 노선/버스/인천광역시|굴곡 노선]]'''에다 수요도 적어 [[공기수송(교통)|공기수송]]을 하는 나머지 배차간격이 점점 길어지다가 결국 2009년 1월 30일 대개편 때 폐선되었다. == 특징 == * [[용현운수|인천스마트]]의 유일한 서구 출입 노선이었다. * 노선 선형이 그 유명한 인천광역시 버스 중에서도 최강을 보여줬었다. 제물포역 남광장에서 이 차를 놓쳤을 경우 근처 식당에서 밥 한 끼 배불리 먹고 북광장으로 가면 인천시를 다 돌고 오는 아까 그 버스를 탈 수 있었다.[* 게다가 [[동인천역]]을 피해가는 선형이 아주 기가 막혔던데다, 수요가 별로 없던 인천역쪽으로 우회해서 빙빙 돌아가는 기형적인 선형이었다.] * 앞서 말했듯이 굴곡도 심한데다가, 지나는 구간도 전부 대체 노선이 수두룩한데다가, 배차도 시원찮아서 수요가 처참했다. == 연계 철도역 == 폐선 당시 기준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수도권 전철 1호선]]: [[주안역]], [[제물포역]], [[인천역]] [[분류: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폐선]] [[분류:2009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