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철도차량]][[분류:인천 도시철도 1호선]][[분류:전동차]][[분류:1998년 출시]] [include(틀:하위 문서, top1=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현황)] [include(틀:인천 도시철도 전동차)] [include(틀:한국형 표준 전동차)] ||<-3> [[인천교통공사|[[파일:인천교통공사 CI.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759cce '''인천교통공사 {{{+1 1000호대 전동차}}}'''[br]{{{-1 Incheon Metro}}} series 1000 EMU}}} ||}}}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인교공1000호대1차분.jpg|width=100%]]}}} || ||<-3> {{{#759cce 105편성 (1차분)}}}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인교공1000호대2차분.jpg|width=100%]]}}} || ||<-3> {{{#759cce 129편성 (2차분)}}}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3세대).jpg|width=100%]]}}} || ||<-3> {{{#759cce 135편성 (3차분)}}} || ||<-3> {{{#white '''차량 정보'''}}} || || '''열차 형식''' ||<-2>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2> 8량 1편성[* 향후 10량까지 증결 가능] || || '''운행 노선''' ||<-2> [[파일:Incheonmetro1_icon.svg|width=16]] [[인천 도시철도 1호선|{{{#759cce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 '''도입시기''' ||<-2> 1998~1999년 [br] 2007~2008년 [br] 2025년 || || '''제작사''' ||<-2> [[대우중공업|[[파일:대우중공업 로고.svg|width=80]]]] / [[현대로템|[[파일:현대로템 CI.svg|width=60]]]] / [[다원시스|[[파일:다원시스 로고.svg|width=70]]]] || || '''생산량''' ||<-2> 272량 || || '''소유기관''' ||<|2><-2> [[인천교통공사|[[파일:인천교통공사 CI.svg|width=120]]]] || || '''운영기관''' || ||<-3> {{{#white '''차량 제원'''}}}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 '''전장''' ||<-2> 17,680㎜ || || '''전폭''' ||<-2> 2,750㎜ || || '''전고''' ||<-2> 4,000㎜ || || '''궤간''' ||<-2> 1,435㎜ || ||<|3> '''차중''' ||<-2> TC: 31.5t || ||<-2> M: 32.0t || ||<-2> T: 26.4t || || '''급전방식''' ||<-2> 직류 1,500V || || '''운전보안장치''' ||<-2> [[지멘스|Siemens]] [[LZB]]700M [[열차자동방호장치|ATP]]/[[열차자동운전장치|ATO]] || || '''제어방식''' ||<-2> ~~[[알스톰]] [[VVVF]]-[[IGBT]]~~[* {{{#759cce 101~125편성}}}. [[2022년]] [[10월 28일]]까지 {{{#759cce 117편성}}} 운행 후 개량 작업으로 전량 퇴거.] [br] [[우진산전]] [[VVVF]]-[[IGBT]][* {{{#759cce 101~125편성}}}. [[2022년]] [[11월 21일]]까지 개조 완료 후 전량 장착.] [br] [[현대로템]] [[VVVF]]-[[IGBT]](IPM)[* [[미쓰비시]] 소자 기반] || || '''동력장치''' ||<-2> 3상 교류 농형 유도전동기 || || '''제동방식''' ||<-2>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2> '''최고속도''' || 영업 || 80㎞/h || || 설계 || 100㎞/h || || '''기동[br]가속도''' ||<-2> 3.0 ㎞/h/s || ||<|2> '''감속도''' ||<-2> 상용:3.5 ㎞/h/s || ||<-2> 비상:4.5 ㎞/h/s || || '''MT 비''' ||<-2> 4M 4T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인천 도시철도 1호선]]에서 운행된 전동차. 현재 34개 편성이 재적되어 있다. 1차분은 [[1998년|1998]]~[[1999년]], 2차분은 [[2007년|2007]]~[[2008년]]에 도입되었다. == 분류 == === 1차분 ([[1998년 9월|1998.09]]~[[1999년|1999.05]])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ncheonRapidTransitCorporation-train-1009.jpg|width=100%]]}}}||{{{#!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인교공1000호대1차분.jpg|width=100%]]}}}|| || 인천광역시지하철공사 시절 109편성 || 인천교통공사 {{{#759cce 105편성}}}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www.yhenews.co.kr/img_20121025185054.jpg|width=100%]]}}}||{{{#!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1차분 내부(124편성).jpg|width=100%]]}}}|| || 가연재 시절 || 불연재 개조 후 || * {{{#759cce '''101~125편성'''}}} (총 25편성) * 제작사: '''[[대우중공업]]'''[* [[현대로템]], [[현대두산인프라코어]], [[대우조선해양]] 등의 전신이다.] [[1998년 9월]]부터 [[1999년 5월]]까지 개통에 대비하여 반입된 전동차. 총 25개 편성이 반입되었다. 한국 최초로 유선형 전면부가 적용된 것이 특징.[* 이후 이 금형을 개량한 게 [[대구도시철도공사 2000호대 전동차]]다. ] 또한 출입문 구동 방식도 공기식으로 대동단결이었던 관례를 깨고 스크류모터식 출입문이 적용되었다.[* 그것도 저소음 방식이다. 이것을 시작으로 [[2005년]] 이후의 전동차들은 대부분 스크류모터식 출입문이 적용되었다.] 이것도 아시아 최초. 심지어 제어방식 또한 현재까지도 유용하게 쓰인 [[VVVF]]-[[IGBT]] 인버터 방식의 선구자며, 측면 일체형 통유리 창문도 최초다.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와 더 불어 이래저래 '최초'나 '유일'이란 수식어가 많이 붙은 전동차.[* 반면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 3차분({{{#0052a4 311B28~41편성}}})과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1차분({{{#0052a4 101~106편성}}}), 2차분({{{#0052a4 107~110편성}}})은 각진 전면부에 측면의 2단 창문, 출입문 구동방식도 공압식, GTO 소자 등등 구형 전동차들과 [[별]] 차이가 없다. 바로 뒤에 나온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 4차분({{{#0052a4 311B42~47편성}}}), 5차분({{{#0052a4 311B48~63편성}}}), 6차분({{{#0052a4 311B64~65편성}}})과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 2차분({{{#747f00 718~763편성}}}),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2차분({{{#f15b66 816~820편성}}})부터 각각 유선형 선두부와 측면 통유리, [[IGBT]]를 적용하였으며 2005, [[2007년]]에 스크류모터식 출입문을 적용한 등 [[인천교통공사]]는 한국철도공사나 [[서울교통공사]]에 비해 신기술 도입이 1발 빠른 편.] 신호 제어 장치 및 열차 정보 장치는 독일 [[지멘스]] 사의 부품을 채용하였으나, 추진제어 장치(인버터)와 주전동기는 GEC-[[알스톰]]의 [[IGBT]] 1레벨 인버터와 G354AV 모터를 채용하였다.[*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중 [[대우중공업]] 제작 편성에 채용된 G354AZ의 개량형] 그러나 [[IGBT]] 이면서 [[알스톰]]의 GTO 같은 [[구동음]]은 여전하다. [[알스톰]] GTO 인버터와의 차이점은 [[구동음]]이 시작된 음계가 [[수도권 전철 4호선]]에서 운행되는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대우산과 같은 'G'이 아니라 저 멀리 [[런던 지하철]] [[주빌리선]]의 [[런던 지하철 1996년식 전동차|1996년형 전동차]]와 비슷한 'D'란 것. [[2012년]] 하반기부터 추진제어장치 교체 사업이 시작되어, [[2022년 11월]] 현시점 전 편성의 인버터가 [[알스톰]] [[IGBT]]에서 [[히타치 제작소|히타치]] 소자를 기반으로 한 [[우진산전]]의 [[IGBT]] 인버터로 교체되었으며, 그리고 아직 교체되지 않았던 117편성 또한 [[2022년]] [[10월 28일]]부터 교체가 시작되었다. [[https://www.ictr.or.kr/main/bbs/bbsMsgDetail.do?msg_seq=50803&keyfield=title&keyword=%EC%86%8C%EC%9E%90&bcd=voc|실제 인천교통공사 차량팀의 공식 답변.]] 남은 1편성까지 [[알스톰]] [[IGBT]] 부품을 취거하면서 인천 1호선에서 [[알스톰]] [[IGBT]] 특유의 사운드를 더 이상 들을 수 없게 되었다. [[파일: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내장재 개조 전 LCD 전광판.jpg]] 차내 안내 장치도 도입 초기엔 8색 PDP 패널 전광판을 사용하여 LED 전광판을 사용했던 동 세대의 다른 전동차들에 비해 전광판이 상당히 컬러풀하였다. [[2004년]]에 내장재를 불연재로 개조한 이후에도 남아있으나, [[2006년]]에 LCD 전광판 제품으로 교체하여 현재는 볼 수 없게 되었다. 불연재 개조는 전국의 도시철도/광역철도 가운데 상당히 빨리 이루어진 편이었으며[* 여담으로 한국철도공사 1호선 {{{#0052a4 311B07~10편성}}}은 [[2003년 12월]]에 불연재 개조가 되었는데 인천지하철 1호선도 이 시기 쯤부터 개조에 들어간 것으로 추정된다.], 이 과정에서 객실 선반이 제거되었다. 한편, [[http://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2306246|기사]]에 나온 내용을 보면, [[인천교통공사]]도 해당 차량 대차 계획이 있어 보인다. [[귤현차량사업소|귤현차량기지]]는 [[경인 아라뱃길]]과 가깝고 송도 구간도 바다와 가깝다 보니 해풍으로 인한 산화, 부식이 빠르게 진행되어 상태가 썩 좋지 않다고 한다. [[알스톰]] 인버터도 결함 문제가 심각한 상황에서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와 같은 부품 수급 문제를 동시에 겪고 있다 보니 인버터 개조 작업은 멈추지 않고 계속 진행 중에 있다. [[2019년]] {{{#759cce 115편성}}}을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내구연한 도래에 대비하여 정밀안전진단 시행 중에 있다. 그런데, 최근 인천교통공사 공식 보도자료에 따르면 정밀안전진단 결과 성능 안전성 검증을 합격하여 잔존 수명이 10년 이상 연장되었다. [[2013년 1월]]부터 [[2018년]]까지 모든 차량의 연결 통로막을 가연재에서 불연재로 교체하였다. 재질만 불연재로 교체하여 구겨진 것은 여전하나, 이전보다는 통로막이 덜 구겨진다. 초기에 교체한 것은 무광을 띠고, 최근에 교체한 것은 유광 재질인 것이 특징. [[2019년]], 일부 열차의 노후화된 객실 좌석시트를 새 것으로 교체하였다. [[https://blog.naver.com/kricorkr/221707776599|#]] [[파일:40752_30757_315.png]] '''현재 {{{#759cce 101편성}}}은 전두부 도색이 변경되었다.''' ||<-2> ↑ '''[[계양역|{{{#759cce 계양}}}]] 방면''' || || '''10##'''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 '''19##'''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 '''18##'''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 '''15##''' || T(무동력객차) || || '''14##''' || T(무동력객차) || || '''13##'''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 '''12##'''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 '''11##'''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2> ↓ '''[[송도달빛축제공원역|{{{#759cce 송도달빛축제공원}}}]] 방면''' || === 2차분 ([[2007년]]~[[2008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ncheonRapidTransitCorporation-train-1030.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인교공1000호대2차분.jpg|width=100%]]}}} || || 인천광역시지하철공사 시절 {{{#759cce 130편성}}} || 인천교통공사 {{{#759cce 129편성}}}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00999000.jpg|width=100%]]}}} || ||<-2> 내부 || * {{{#759cce '''126~134편성'''}}} (총 9편성) * 제작사: '''[[현대로템|주식회사 로템]]→[[현대로템]]''' [[송도국제도시]] 연장에 대비하여 반입된 전동차. {{{#759cce 126~134편성}}}이며, 총 9개 편성이 반입되었다. 제작사는 [[현대로템]]. [[코레일 31x000호대 전동차|31x000호대 7~11차분]](뱀눈이)의 전면부를 기초하여 제작하였기 때문에 생김새가 비슷하다. 내장재는 처음부터 불연재로 제작되었다. LED 전자노선도와 함께 8색 PDP 안내 패널 대신 LCD TV가 장착됐다. 인버터도 [[IGBT]] 2레벨 IPM 인버터가 사용된 등 많이 흡사하다. [[구동음]]은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1~2차분,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1차분, [[서울 지하철 9호선 9000호대 전동차]]와 동일하다. '''[[2007년]]에 도입된 {{{#759cce 126편성}}}은 [[주식회사 로템]], [[2008년]]에 도입된 {{{#759cce 127~134편성}}}은 [[현대로템]] 제작분이다.''' 1차분과는 다르게 종이노선도 대신 LED 전자노선도가 채택되었다. 또, 좌석 색깔이 1차분은 [[남색]]이고 2차분은 [[하늘색]]이다. 그리고, 바닥 색깔이 다르다. 1차분은 [[하늘색]]이고 2차분은 민트색이다. 또, 2차분에만 노약자석에 선반이 설치되어 있다.[* 1차분은 도입 당시 모든 좌석에 선반이 있으나, 불연재 개조와 함께 사라졌다.] '''자동 통로문으로 되어있는 2호선 2차분과 같은 07~08년식임에도 수동 통로문으로 되어있다.''' '''[[2018년]]에 방영했던 [[tvN]] 드라마 [[나의 아저씨]]의 촬영지다.''' '''{{{#759cce 130편성}}}은 [[2013년]]에 [[해양경찰청]] 랩핑열차로 운행한 이력이 있다.''' === 3차분 ([[2025년]] 예정)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3세대).jpg|width=100%]]}}}|| || {{{#759cce '''135편성'''}}} || * {{{#759cce '''135편성'''}}} (총 1편성) * 제작사: '''[[다원시스]]''' 검단 연장 대비 증차분으로, 1편성만 도입할 예정이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139050|#]] 단편성 발주인 탓에 제작업체들이 적극적으로 입찰에 참여하지 않아 몇차례 유찰이 발생하였는데, 결국 7호선 차량과 통합발주 하였다. [[http://naver.me/IxbOnMfN|#]] '''[[2022년]] [[5월 30일]] 최종적으로 [[다원시스]]가 낙찰되었다. 이번 입찰에 [[현대로템]]은 참여하지 않았다.''' || [[파일: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디자인 시안(외부).png|width=100%]] || || 외부 디자인 시안. 3안이 선정되었다. || || [[파일: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디자인 시안(내부).png|width=100%]] || || 내부 디자인 시안. 2안이 선정되었다. || || 편성 || 갑종회송일자 || 운행개시일 || 출발지 || 경유지 || 도착지 || || '''{{{#759cce 135}}}''' || 2025년 예정 || 도입 예정 || || || || '''[[소테츠 12000계 전동차]]와 유사한 디자인이다.''' == 기타 == * 수도권 전철에서 운행된 전동차 중 유일한 중형 전동차다. [[파일:인천1호선 128편성 통로문.jpg]] * [[2016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모든 전동차의 연결통로 문위에 [[태극기]]를 부착하였다. [[인천 도시철도 2호선]]에 투입된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역시 모든 차량에 [[태극기]]가 부착되었다. 그러나, [[2022년]]은 태극기 대신 차량 내 실시간 미세먼지 농도 안내판으로 전부 바꿨다. * [[2014년]]에 [[인천아시안게임]]을 맞아 전 역사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후 측면 행선 표시기가 [[철거]]되고 해당 자리에 [[인천교통공사]] 스티커가 부착되었다. * '''1차분 {{{#759cce 111편성}}}은 개통 당시 기념화환을 달고 운행했고, 불연재 개조도 1번째로 되었다. ''' * '''[[2020년]] 국제업무지구~송도달빛축제공원 연장으로 전면부 행선표출의 글자가 바탕체로 변경되었다.''' * 출입문 창틀은 다른 지하철들과 다르게 내부 쪽으로 튀어나왔다. 이는 5호선 전동차, 7호선 / 8호선 1차분 전동차들도 그랬으나 내장재 개조 이후 사라졌다. * 1차분 전동차는 도색이 멀쩡한 편성이 거의 없다. 꼭 한두개의 도색 스티커가 떨어져있다. 2차분 또한 도색이 바래지고 있다. 현재 1차분 전동차는 재도색을 하고 있다. == 관련 문서 == * '''[[인천교통공사 전동차]]''' [include(틀:포크됨2, title=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d=2023-01-17 20:1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