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인천국제공항에서 출발하는 KTX 운행계통, rd1=인천국제공항발 KTX, other2=인천국제공항발 KTX 운행계통 재신설을 추진하는 노선, rd2=제2공항철도)] [include(틀:폐선)] ||[[파일:인천국제공항ktx.jpg|width=100%]]|| || 당시 사업계획도 || [목차] == 개요 == [[인천국제공항철도]]와 [[경의선]]을 잇는 [[수색직결선]] 착공 및 준공을 주 사업으로 하여 [[인천공항1터미널역|인천국제공항역(현 인천공항1터미널역)]]을 기점 및 종점으로 하는 운행 계통으로, 2014년 6월 30일에는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동해선]], 2018년 2월 1일에는 [[강릉선 KTX|경강선 KTX]] 열차가 차례로 개통되었다. 하지만 운행 실적 저조로 인하여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평창 동계 패럴림픽]] 폐막 5일 뒤인 같은 해 3월 23일부터 열차 운행이 전면 중단되었고, 9월 1일에는 공식적으로 운행 노선을 폐지했다. 열차번호는 500번대를 사용하였다. == 개통 전 == * [[인천광역시]]는 6개 광역시 중에 유일하게 [[KTX#s-6|KTX 정차역]]이 없어 KTX를 이용하려면 멀리 떨어진 [[서울역]], [[용산역]], [[광명역]] 등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을 겪었다. * 이러한 문제를 조금이나마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정부|정부]]와 [[인천광역시]]가 [[수색역]] 인근에서 [[경의선]]과 [[인천국제공항선]]을 잇는 [[수색직결선]] 사업을 중심으로 인천국제공항 착발 KTX 사업을 진행하였다. 특이하게도 [[광명시]]에서 적극적으로 인천국제공항 착발 KTX를 지지하였다. [[광명역]]에서 [[인천국제공항]]으로의 접근성 향상이 주요 요인으로 보인다. == 개통 후 == * '''2014년 6월 30일''', [[수색직결선]]이 완공되어 인천국제공항 착발 KTX가 개통되었다. 인천 관내 정차역은 [[인천공항1터미널역|인천국제공항역]](현 [[인천공항1터미널역]])과 [[검암역]]이다. 특이한 점은 [[수색직결선]]을 통과한 인천공항발 KTX는 [[경의선]]을 지났기 때문에, [[인천공항1터미널역|인천국제공항역]]을 출발하고 도착하는 [[KTX]] 열차는 모두 [[서울역]], [[용산역]] 경유로 운행되었다. * '''2018년 1월 13일''', [[인천공항2터미널역]]이 개통하면서 정차역 추가와 동시에 출도착역이 [[인천공항2터미널역]]으로 변경되었다. * '''2018년 2월 1일'''부터 인천공항2터미널역에서 출발하는 부산, 진주, 포항, 목포, 여수EXPO 방향 KTX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수송지원을 위해 중지--를 가장한 폐지--되었고, 그 대신 경강선 계통 열차만 운행되기 시작했다. 해당 열차를 이용하던 승객들은 [[서울역]], [[용산역]] 등지에서 환승해야 한다. * '''2018년 2월 22일''' 한국철도공사는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 수송지원을 위해 인천공항에서 출발하는 부산, 진주, 포항, 목포, 여수EXPO 방향 KTX 운행을 2018년 3월 1일부터 재개한다는 당초 계획을 보류했다. * [[인천국제공항]]을 바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4년간 지속적인 이용객 부족[* 실제로 2018년 1월 1일부터 3월 22일까지의 [[검암역]]을 합한 승하차 이용객 총합이 8만명을 겨우 넘기는 수준에 불과했다. [[http://info.korail.com/mbs/www/jsp/board/view.jsp?spage=1&boardId=9863289&boardSeq=14830639&mcategoryId=&id=www_060702000000|출처]]]으로 난항을 겪다가,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이 끝나고, [[코레일]]은 3월 23일부터 3월 31일까지 차량 정비를 이유로 운행을 중지한다는 내용을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55&aid=0000624629|국토교통부에 보고]]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운행중단 기간이 8월까지 연장되었다. [[코레일]]은 중단 원인을 계속된 운행으로 인한 차량의 피로 누적이라고 설명했지만, 실제로는 이 때부터 폐지를 준비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광명역 도심공항터미널]] 개장 등) * '''2018년 7월 27일''', 결국 인천공항발 KTX 폐지가 확정되었고, 같은 해 9월 1일에 운행 노선이 완전 폐지 되었다. 하지만... == 폐지 후 == * 2019년 7월 9일 ~ 7월 29일까지 [[2019 광주 세계수영선수권대회]]의 영향으로 [[KTX]] 임시 열차를 운행하였으며, 하루 7회 운행하였다[* [[인천공항2터미널역|인천공항2터미널]] → [[광주송정역|광주]] 1일 4회, [[광주송정역|광주]] → [[인천공항2터미널역|인천공항2터미널]] 1일 3회 [[https://www.yna.co.kr/view/AKR20190523102200054?input=1195m|관련 자료]]]. 앞으로도 이런 국제행사가 있을 기간에 한해 임시 KTX를 운영할 것으로 보인다. 2024 강원 청소년 동계올림픽때도 용산선 경유 무정차편등등을 운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이후 [[수인선]]과 [[화성고속연결선]](미개통)을 이용하는 인천발 KTX 운행을 계획하고 있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인천발 KTX)] * 2021년 현재 [[인천광역시]],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제2공항철도]] 및 [[인천발 KTX]]를 통해 공항발 KTX를 부활시키려 했으나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되지는 못했다. 이 노선이 확정되면 [[인천국제공항발 KTX]]는 서울로 들어가지 않고 화성에서 곧바로 수인선으로 좌회전해서 송도역을 지난 후 인천 시가지 지하에서 제2공항철도로 진입하여 곧장 인천국제공항으로 향하게 되는데, 이 경우 지방발 [[인천공항터미널|인천국제공항행]] [[공항버스]]의 경기도 내 선형과 유사해지게 된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2공항철도)] * 끝으로 [[수색-광명 고속철도]] 예비타당조사에 따르면, 해당 선로와 [[수색직결선]]을 연결해 본 운행계통의 부활을 대비하기로 하였다. 정확하게는 가좌역과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사이에서 해당 구간의 시점을 지정했는데, 여기서 수색직결선으로도 연결선로를 만들어 수요가 있다면 언제든지 고속열차를 인천공항으로 보낼 수 있게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수색-광명 고속철도)] == 문제점 == * 당시 인천공항을 출발한 KTX는 [[부산역|부산]]까지 평균 3시간 40분이 걸리고, [[광주송정역|광주]]까지는 3시간, [[여수EXPO역|여수]]까지는 4시간이 걸렸다. 이는 [[수원 경유 KTX]], [[구포 경유 KTX]]보다 훨씬 더 떨어지는 스펙이다. * 이러한 긴 운행시간은, 우선 [[경의선]] 서울 도심 구간에 그 유명한 [[서소문역|서소문 드리프트]]를 통과하는 등의 좋지 않은 선형 상태가 첫번째 원인이다. 그 다음으로는 분명 출발역은 인천공항인데 수요 문제로 인한 [[서울역]] 또는 [[용산역]]에서 일어나는 출발역과 비슷한 정차시간[* 평균 약 8~12분]이 있다. 또한, [[전라선]], [[경전선]], [[동해선]] KTX는 복합열차로 운행하기 때문에 [[동대구역]] 또는 [[익산역]]에 열차 분리, 병합 작업으로 10~15분간 정차한다. * [[광역철도]]가 오가는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와 [[경의선]] 선로를 KTX가 오가는 것이기에 운행횟수가 많을 수가 없다. [[전라선]], [[경전선]], [[동해선]] 열차는 하루 왕복 1회, [[호남선]]은 왕복 2회, [[경부선]]은 왕복 8회에 불과했으며,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 열차들도 배차간격이 길어지는 불편한 상황이 발생했다. 열차 운행시간이 길어져도 운행 가능한 시간은 한정되어 있는데, 결국 하루 운행 가능 횟수가 줄어들면서 전체 열차의 좌석 공급량도 덩달아 감소했다. * 이 때문에, [[인천국제공항철도]] 선로에서 아주 조그마한 고장 사고로 열차가 멈춰도 다른 시간의 인천공항 KTX와 [[인천국제공항철도]] 열차가 모두 지연을 먹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그것도 여려차례-- * 상술한 것처럼 운행횟수가 몇 안 되기 때문에 인천공항 착발 대부분 열차들의 정차역이 완행 수준이다. 특히 하루 2회 운행하는 [[호남선]] KTX가 [[인천공항1터미널역|인천국제공항]] - [[목포역]]까지 2개 정도를 제외한 모든 역[* [[인천공항2터미널역|인천공항2터미널]] ↔ [[인천공항1터미널역|인천공항1터미널]] ↔ [[검암역|검암]] ↔ [[서울역|서울]] ↔ [[용산역|용산]] ↔ [[광명역|광명]] ↔ ([[천안아산역|천안아산]]) ↔ ([[오송역|오송]]) ↔ ([[공주역|공주]]) ↔ [[익산역|익산]] ↔ [[정읍역|정읍]] ↔ [[광주송정역|광주송정]] ↔ [[나주역|나주]] ↔ [[목포역|목포]] [[http://www.korailtalk.co.kr/367|관련 자료]]]에 정차하는데, 휴게소에 단 한 번 쉬면서 최단 거리로 오가는 고속버스와 시간상 큰 차이가 없다. 실제로 [[인천공항1터미널역|인천국제공항역]] ~ [[여수EXPO역]] KTX가 4시간 걸리는 반면, 인천국제공항 ~ [[여수종합버스터미널]]은 5시간 10분으로 '''KTX가 고속버스보다 겨우 1시간 10분 빠르다.''' * 그 외에도 [[고속버스]]에 비해 좌석이 좁고, 수하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좁다는 [[KTX]]의 고질적인 단점이 있다. 막말로 차멀미만 없다면 [[인천공항터미널|인천공항버스터미널]]에서 프리미엄 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낫다. * 기존 시설을 활용한다는 명목에 의해 외진 구석에 있는 [[검암역]]이 인천 내륙의 유일한 [[KTX#s-6|KTX 정차역]]으로 결정되었다.[* 사실 서구 지역 주민들의 대부분은 검암역과 거리가 있는 [[청라국제도시]]가 차지했기 때문에, 서구 주민들도 별 관심 없었다. --KTX가 운행한 4년동안 1번 탈까 말까한 수준이었다--] 이후에 개통된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이 [[검암역]]을 정차하면서 [[환승역#s-2.1|환승역]]이 되었지만, 그래도 외곽은 외곽이다. * 이러한 불편함과 비효율성으로 인해 공항 내 고속열차 수요는 2017년을 기준으로 [[인천공항1터미널역|인천국제공항역]]의 KTX 이용객은 승하차객 합산 하루 평균 약 2500명으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공항의 고속열차 정차역 치고는 상당히 이용수가 적다. 광역시 소재의 주요 기차역 ([[광주송정역]], [[광주역]], [[대전역]], [[서대전역]], [[대구역]], [[동대구역]], [[울산(통도사)역]], [[구포역]], [[부산역]]) 사이에서는 압도적 꼴찌를 기록하였으며, '''역 근처에 정말 아무것도 없었던''' [[김천(구미)역]]이 [[인천공항1터미널역|인천국제공항역]]보다 이용객 총합이 2배나 더 많았다. [[http://info.korail.com/mbs/www/jsp/board/view.jsp?spage=1&boardId=9863289&boardSeq=14693252&mcategoryId=&id=www_060702000000|근거 자료]] * 여기에 비수도권 대부분 지역에서 굳이 고속철도를 타고 [[인천국제공항]]에 가지 않아도 될 만큼의 대체재가 충분히 있던 깃도 흥행에 악재였다. 일단 각 대도시나 중견도시마다 [[인천국제공항]]으로 가는 [[고속버스]], [[시외버스]]가 다니고 있었다. [[부산광역시|부산]]의 경우 기존 [[김해국제공항]]에서 외항사를 이용해서 인천 대신 [[나리타 국제공항|도쿄]], [[간사이 국제공항|오사카]],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베이징]],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상하이]], [[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광저우]], [[홍콩 국제공항|홍콩]],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타이베이]], [[싱가포르 창이 공항|싱가포르]],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마닐라]], [[수완나품 국제공항|방콕]],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쿠알라룸푸르]], [[노이바이 국제공항|하노이]], [[떤선녓 국제공항|호찌민]]을 거쳐서 [[유럽]], [[중동]],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러시아]],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오세아니아]] 등으로 갈 수 있었다. == 여담 == * [[강릉선 KTX]](운행 당시는 경강선 KTX)을 인천국제공항발로 운영하기 위해 [[용산선]]에 추가 개량 공사를 진행했다. [[인천공항2터미널역]], [[인천공항1터미널역]]에서 '''[[서울역]], [[용산역]]을 무정차'''하여 [[진부역]], [[강릉역]]까지 운행하는 노선이 용산선을 경유했기 때문이다. * 차내도시락인 레일락의 경우 인터넷으로 예약한 후 검암역, 인천국제공항역에서 타도 도시락 신청을 할 수가 있었으나 해당 역에서 수령할 수가 없었다. 물류창고가 없기 때문에 서울역이나 용산역에서 수령을 해야 했었다. == 역 목록 == [include(틀:철도 관련 정보/일러두기)] || ㎞ || 역명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환승[* [[인천국제공항철도]] 노선 제외] || 소재지 || || 0.0 || [[인천공항2터미널역|인천공항2터미널]] || K T || ─ || ● || [[용유차량삼각선]] || || [[인천광역시]] [[중구(인천)|중구]] || || 5.8 || [[인천공항1터미널역|인천공항1터미널]] || K T || ─ || ● || [[용유차량기지선]] || {{{#ffcd12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 [[인천광역시]] [[중구(인천)|중구]] || || 31.3 || [[검암역|검 암]] || K t || ─ || ● || || [[파일:Incheonmetro2_icon.svg|width=20]]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인천2호선]] || [[인천광역시]] [[서구(인천광역시)|서구]] || || 49.2 || [[수색직결선|공항철도직결선분기]] || ─ || ─ || † || [[인천국제공항선]] || || [[경기도]] [[고양시]] || || 51.4 || [[수색직결선|수색연결선분기]] || ─ || ─ || † || [[경의선]] || || [[서울특별시]] [[은평구]] || ||<-8> 이후 [[서울역]]이나 [[용산역]]을 경유해 [[경부고속철도]], [[호남고속철도]], [[강릉선 KTX]][* 운행 당시에는 경강선 KTX라고 불렸다.] 계통과 직결운행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인천발 KTX, version=175, paragraph=3)]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운행계통]][[분류:인천국제공항철도]][[분류:경의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