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080><:> '''{{{#fff {{{+1 인천해역방어사령부}}}}}}[br]{{{#ffffff 仁川海域防禦司令部}}}[br]{{{#ffffff Incheon Naval Sector Defense Command}}}''' || ||<#ffffff><-2><:>[[파일:인방사마크.jpg|width=300]] || ||<-7><#000080><:> '''{{{#fff }}}''' || ||<#000080><:> '''{{{#fff 창설일}}}''' ||<(> [[1999년]] [[7월 1일]] || ||<#000080><:> '''{{{#fff 약칭}}}''' ||<(> 인방사 || ||<#000080><:> '''{{{#fff 소속}}}''' ||<(> [[대한민국 해군]] || ||<#000080><:> '''{{{#fff 상급부대}}}''' ||<(> [[제2함대(대한민국 해군)|제2함대]] || ||<#000080><:> '''{{{#fff 역할}}}''' ||<(> 수도권 해상방위 || ||<#000080><:> '''[[사령관|{{{#fff 사령관}}}]]''' ||<(> 박노호 [[준장]] ([[해군사관학교|해사]] 48기) || ||<#000080><:> '''{{{#fff 위치}}}''' ||<(> [[인천광역시]] [[중구(인천)|중구]] || [목차] || [[파일:external/dimg.donga.com/35078918.2.jpg]] || || 인천해역방어사령부 정문 || [clearfix] == 개요 == '''인천해역방어사령부'''(인방사)는 [[대한민국 해군]] [[제2함대(대한민국 해군)|제2함대]] 예하의 [[전단(군대)|전단]]급 부대로, 수도권 유일의 해상방위 부대다. 인방사는 [[인천광역시]]의 구 2함대 군항 부지와 인접 바다, [[도서]] 지역인 [[강화도]], [[영종도]], [[무의도]], 덕적 군도, 대부도 등을 경비 및 방어하며,[* 책임해역: 2,200km² (140여 개 유·무인 도서 포함)] [[인천국제공항]] 인근 해역의 경비 업무도 인방사가 전담한다.[* 그래서 인천국제공항에 가보면 [[제17보병사단|17사단]] [[제3경비단]] 소속 '''군인들이 [[실탄]]이 장전된 총을 들고''' 경비를 선다. 이는 테러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자 [[북방한계선#s-2|NLL]]과 [[군사분계선#s-1.1|휴전선]]과 워낙 가깝고 사람들이 많아서 북한의 주요 타깃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육군, 해군 및 해병대가 동시에 마크해 줄 정도로 중요한 곳이다. 인방사는 고속정편대가 영종도와 용유도 해안선을 방어하고 [[해병대 제2사단|제2해병사단]]은 신속대응부대를 제공해 준다. 즉 육군과 해병대 신속대응부대 그리고 공항경찰대가 지상 전력인 셈이다.] 또한 관할지역인 [[옹진군(인천)|옹진군]] 남부 도서지역들의 [[예비군]] 관련 업무를 수행하며, [[대한민국 해양경찰청]]과 함께 경인운하에 대한 방어임무 및 해난사고 발생 시 구조 임무도 수행한다. 본래 [[제2함대(대한민국 해군)|2함대]]는 인천 연안부두 인근 군항을 모항으로 하고 있었고, 이들 항만을 방어하기 위해 제201항만방어[[전대(군대)|전대]]가 존재했다. 1999년 12월에 2함대사령부 및 예하 부대가 [[평택]]의 [[제2함대(대한민국 해군)|신군항]]으로 이전하면서 비게 된 부지를 유지하고 수도권 서측 해역 방어를 위해 201전대를 사령부로 격상시켜 지금의 인방사가 탄생했다. 지휘관은 해군 [[준장]]이다. == 상징 == === 부대가 === [[이루마]]가 작곡한 곡이다. [youtube(UA4iqxfe6Q0)] >'''인천해역방어사령부가''' >(1절) >겨레의 새천년을 >향해 뻗은 서해 누비는 >군함타고 늠름하게 >인천해역 지키는 우리 >필승의 신념으로 책임 해역 사수 >거친 파도 헤쳐나가자 >필승 필승 부대 >우리의 인방사 > >(2절) >외침의 역사를 딛고 >전승의 영광 빛나는 >월미산의 정기 받아 >수도 관문 지키는 우리 >충무의 정신으로 수도 해역 방어 >조국영광 위해 나가자 >필승 필승 부대 >우리의 인방사 == 연혁 == * [[1945년]]: 해방병단 인천기지 창설 * [[1973년]] [[7월 1일]]: 제5해역사령부 예하 항만방어대(港灣防禦隊)로 창설 * [[1980년]] [[3월]]: 항만방어전대(港灣防禦戰隊)로 개편 * [[1986년]]: 제2함대 예하 제201방어전대(第二艦隊 第201防禦戰隊)로 개편 * [[1999년]] [[7월 1일]]: 인천해역방어사령부(仁川海域防禦司令部)로 승격 == 사령관 == 2016년 최초로 인방사령관에서 [[소장(계급)|소장]]으로 진급하여 바로 함대사령관으로 영전한 사례가 생겼다(해사 41기 [[이성환(군인)|이성환]] 제독). 그 이전까지는 인방사령관 출신 중 단 2명만이 소장으로 진급했다(해사 35기 박찬석 소장, 해사 39기 박헌수 소장). 2023년, 17대 인방사령관 [[강동길(군인)|강동길]] [[중장]]이 [[해군참모차장]]으로 영전하면서 두 번째로 중장 출신을 배출하게 되었다. ||||<-10><:> '''{{{#ffffff 역대 인천해역방어사령부 사령관}}}'''[* '''볼드'''로 강조된 이름은 [[대장(계급)|대장]] 진급이 된 사령관.] || || '''{{{#ffffff 대}}}''' || '''{{{#ffffff 이름}}}''' || '''{{{#ffffff 계급}}}''' || '''{{{#ffffff 임관}}}''' || '''{{{#ffffff 재임기간}}}''' || '''{{{#ffffff 비고}}}''' || || 1대 || 박희병 || 예) 준장 || 해사 27기 || - || - || || 2대 || 이상수 || 예) 준장 || 해사 29기 || - || - || || 3대 || 김달윤 || 예) 준장 || 해사 30기 || - || - || || 4대 || 안상준 || 예) 준장 || 해사 31기 || - || - || || 5대 || 방운학 || 예) 대령 || 해사 30기 || - || - || || 6대 || 김용환 || 예) 준장 || 해사 34기 || - || - || || 7대 || [[박찬석(군인)|박찬석]] || 예) 소장 || 해사 35기 || - ||21대 [[해군군수사령부|해군군수사령관]] || || 8대 || 채홍필 || 예) 준장 || 해사 36기 || - || - || || 9대 || 이승준 || 예) 준장 || 해사 37기 || - || - || || 10대 || 정인양 || 예) 준장 || 해사 38기 || - || - || || 11대 || 박헌수 || 예) 소장 || 해사 39기 || - ||前 [[제8전투훈련단]] 창설준비단장, 23대 [[제2함대(대한민국 해군)|2함대사령관]] || || 12대 || 변남석 || 예) 준장 || 해사 39기 || 2014.12.15 ~ 2015.11.3 ||前 제주민군복합항 사업단장 || || 13대 || [[이성환(군인)|이성환]] || 예) 중장 || 해사 41기 || 2015.11.4 ~ 2016.10.20 ||28대 [[해군작전사령관]], 前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군사지원본부장 || || 14대 || 박동선 || 예) 준장 || 해사 41기 || 2016.10.21 ~ 2018.1.4 ||前 [[대한민국 해군본부|해군본부]] 정보화기획참모부장 || || 15대 || [[유근종]] || 소장 || 해사 44기 || 2018.1.5 ~ 2018.11.27 ||27대 [[제2함대(대한민국 해군)|2함대사령관]], 前 [[대한민국 해군본부|해군본부]] 정보화기획참모부장 || || 16대 || [[황정오]] || 소장 || 해사 45기 || 2018.11.28 ~ 2019.11.13 || - || || 17대 || [[강동길(군인)|강동길]] || 중장 || 해사 46기 || 2019.11.14 ~ 2020.12.9 || 現 [[해군참모차장]] || || 18대 || 김학연 || 준장 || 해사 46기 || 2020.12.10 ~ 2022.1.26 ||前 [[대한민국 해군본부|해군본부]] [[비서실장]] || || 19대 || 김병재 || 준장 || 해사 47기 || 2022.1.26 ~ 2023.1.28 ||現 [[제8전투훈련단|제8전투훈련단장]] || || 20대 || 박노호 || 준장 || 해사 48기 || 2023.1.28 ~ ||現 [[사령관]] || == 조직 == || [[파일:/pds/200901/14/07/a0105007_496d38e2c34be.jpg|width=100%]] || || 인천해역방어사령부의 [[항만경비정]](전투정)[* 뒤쪽에 보이는 라-107은 [[청수정]]이다. 현재는 퇴역한 함정이다.] || 예하에 제27전투전대와 제218조기경보대대 등을 두고 있다. [[연안]] 경계 및 방어 부대이기 때문에 [[솔개급 고속상륙정|고속상륙정]](LSF), [[참수리급|고속정]](PKM,PKMR), [[항만경비정|전투정]](HP), [[물개급 상륙정|군수지원정]](LCU/L) 등 500톤 이하의 소형 함정들만을 보유하고 있다. === 편성 === * 사령부 * 제27전투전대[* 구 제27고속정전대. 고속정 편대, 경비정대, 고속상륙정 편대로 이루어져있다.][[http://kookbang.dema.mil.kr/newsWeb/20150113/2/BBSMSTR_000000010024/view.do|#]] * 제218조기경보대대 -223전진기지 -226전진기지[* 고속상륙정 기지 및 전비반 역할도 겸하고 있어서 평상시 고속상륙정 편대는 여기서 생활한다.] -227전진기지[* YPK 바지선 기지다.] -283 r/s 기지 -286 r/s 기지 -291 r/s 기지 * 인천기지방호대대[* 구 인천기지대대] -군사경찰대 -항만지원대 [* [[물개급 상륙정|군수지원정]]과 [[청수정]]이 여기에 배속되어 있다.] -화생방지원대 -공병대 * 인천기지지원대대 * 정보통신대 == 수도권 측방 부대 == *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의 관문인 [[인천항]]과 대한민국의 관문인 [[인천국제공항]], 한강으로 통하는 [[경인운하]]를 포함한 [[인천광역시]] 해역을 방어하는 중요한 부대이지만 인지도는 낮은 편이다.[* 별 하나 차이지만 보병사단치곤 엄청난 규모의 17사단장에게 밀릴 정도다.] * 항만 시설의 일부를 [[해양경찰]]과 공유한다.[* 인방사에서 잘 안쓰는 부두에 해경 함정이 자주 계류한다. 해경 함정용 육전 단자함이 있을정도.] 그래서 해경 측에서 [[어린이날]]마다 부두 개방 행사를 할 때, 조금이나마 철조망 너머의 함대 시설을 조망할 수 있다. 또한 바다그리기의 날 행사, 인천 상륙작전 전승 기념행사시에는 인방사를 개방해서 부두 및 함정을 개방한다.[* 이날 전 장병은 출근해서 평상 시 과업을 해야한다. 다만 이런일이 있으면 전투휴무를 보장하기도 한다.] 행사지원, 훈련으로 군수지원함, 상륙함, 대형구축함 등도 종종 입항하기도 한다.[* 이때는 인천항 도선사를 승선시키고 민간TUG를 붙여서 출,입항 시키고 있다.] * 육군 [[제17보병사단]] 맹호대대 소속 [[육군경비정]] 1척이 상시 파견되어 세들어 살고 있다. * 예비군 관련 행정 업무는 인방사가 수행하나, 일부 도서지역 [[예비군 관리대대|예비군 관리대]]를 제외하고는 부지가 좁아 훈련은 평택의 2함대에서 맡는다. === 부대 이전 계획 === 조류의 흐름이 바뀌어 퇴적물이 급속도로 쌓이는 등의 이유로 항만 두 곳이 사실상 사용 불가 상태가 되는 등 기능이 마비되기 일보 직전이다. 게다가, 2009년 준공된 [[인천대교]]가 [[공습]]이나 기타 여러 공격 및 사고 등으로 붕괴할 경우 부대를 운용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부대 이전을 준비하고 있다. 후보지로 인천신항이나 [[무의도]] 등이 거론되고 있으나, 정부와 인천, 현지 주민들과의 이견 차이로 계속 난항을 겪고 있다. 이는 인천광역시가 구 부지와 신 부지를 1:1로 교환하기로 한 약속을 신 부지 가격 상승을 이유로 일방적으로 파기한 탓이 크다. 물론 부지 가격이 3배 이상 차이나고 인천신항 신 부지 확보를 위해 바다를 매입할 때의 비용 부담도 큰 문제였을 것이다. 여기에 국방부가 인천시내 군부대 이전에 미온적인 것도 인천시의 태도 변화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덕분에 컨테이너 가건물에서 생활해야 하는 영내 장병들의 불편이 커지고 있다. 이게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0651286&pDate=20141120|언론 보도를 탔을 정도.]] 여기에 이전 대상지 인근에 위치한 [[송도국제도시]] 주민들의 반발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인천시와 국방부가 부지 교환과 비용 부담에 대한 합의를 하더라도 송도 지역 민원은 해결하기 어렵다.[* 일화 하나가 있는데 보통 인천해역방어사령관(준장) 보직은 [[한직|전역코스]]로 유명한데 정인양 사령관은 어떻게든 전역 클리셰를 피하고자 [[송영길(정치인)|당시 인천시장]]을 구워삶아 이전을 담판지으려 했다. 그 작업의 일환으로 주말에 부대 내 테니스장에서 친선대회를 열었는데 전날 저녁 소나기가 내려 테니스장이 축축해지자 토치를 동원해서 테니스 장을 말린 일화가 있다.] 2018년 함정생활관이 컨테이너 가건물 옆에 새로 지어져서 더이상 컨테이너에서 생활하진 않는다. == 근무 환경 == * 인방사는 간접적으로 수도 서울을 방위하는 부대이며 따라서 사령관에 따라 빡세지기도 한다. 그럴 때는 헬방사(...)라는 별명을 얻는다. NLL이 가까워 신경써야 할 게 많다. 물론 [[제2함대(대한민국 해군)|2함대]] 본진에 걸리는 부담보다는 덜 빡세지만. 또한, 빡센 곳은 부조리가 덜하다는 통념과 다르게 내무생활이 제법 빡센 부대로 손꼽힌다.[* TV조선에 나온 뉴스인 고참병장 5명이 후임병장을 집단으로 폭행하고 가혹행위를 한 사건도 이 부대에서 일어났다. (다만 인방사 본부에서 일어난 일은 아니고 인방사 예하 도서기지에서 일어난 일이다.)] 오죽하면 [[해군 갤러리]]에서 꼭 인방사 실무배치는 되도록 피하라는 말이 나올 정도이다. * [[서울특별시]]에서 가장 가까운 해군부대라는 특성상, [[국군방송]]에서 방청객으로 해군 수병들을 요청하면 대부분 이곳에서 차출해 보낸다. 또 연평도 포격도발 기념행사나 수도권에서 열리는 해군행사가 있으면 장교와 부사관들도 안내요원으로 차출되어 행사지원을 나가고 해군장이 있어서 서울에서 장의 행사를 하면 장의지원도 나가기도 한다. * [[PX]]는 꽤 좋다![* GS25, 카페, 분식집(분식+치킨, 피자를 판매한다.)] 2019년 하반기에 리모델링 공사를 해서 시설이 많이 좋아졌다. 2022년부로 분식집이 위치를 옮기면서 [[BHC]]가 새로 입점했다!. PX 좋기로만 따진다면 [[제2함대(대한민국 해군)|2함대]] 본진의 복지회관이 더 널직하고 좋지만 말이다.[* 16년도 1/4분기 기준으로 평택[[제2함대(대한민국 해군)|2함대]] 복지회관이 종류도 더 많고 메뉴도 풍부하다.] 2함대는 부대 규모와 함대사령부라는 걸 생각하면 복지시설이 잘 되어있는 게 당연하고, 인방사도 부대 규모가 굉장히 작은 걸 감안하면 다른 부대보다 복지시설이 굉장히 잘 돼있는 편이다. 거기다가 22년 상반기에 기존 분식집자리에 카페가 새로 입점하면서 복지수준이 더욱더 좋아졌다!. 다만 부지가 협소한 편이기 때문에, 해병대 도서파견대의 많은 인원과 함께 사용하는 날에는...[* 다만 도파대가 px에 단체로 오는 경우는 거의 없기때문에 딱히 신경쓸필요는 없다.] * 병영쉼터라는 건물을 새로 지었다. 탁구장, 헬스장, 노래방, 여자화장실, 도서관 등이 있다.[* 전에도 위 시설들은 있었으나 규모를 확장하기 위해 새 건물을 지어서 이전했다. 문제는 전 건물에도 몇몇 시설들이 남아있어서 병들은 관리할 건물이 늘었다.] * 영내 독신자 숙소 역시 매우 낙후되었다. 현재 신축 독신자 숙소를 짓고 있으나 건설관계사의 재무 상태 악화로 언제 공사가 완료될지는 미지수이다.(19년 완료) 독신자 숙소 주변에 음식점이 없고 약 1km를 나가야 식당, 술집 등의 상업지가 보이기 시작한다. 간부들은 퇴근 후에 어떻게 저녁을 해결하는가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한다. 동인천 택시 카풀을 독신 장교나 부사관이 해서 식사를 같이 하고 함정 근무 요원들은 같은 부서나 같은 계급 끼리 움직이는 경우가 많다. 다만 만수동 관사 일부를 독신자숙소로 사용하고 나서 만수동 거주 간부들의 여가 생활이 많이 나아진 것은 사실이다. * 20년 후반기 육상장병을 위한 생활관(박동혁관)이 완공되어 더 쾌적한 생활을 하고 있다. * 해군의 훈련소 위치 특성상 전라도나 경상도출신의 사람들이 과반을 차지하는 반면 해군에서 비중이 적은 수도권 출신 사람들이 은근히 이곳을 집이랑 가까운 이유로 많이 선택한다. 따라서 훈련소에서 자주 마주칠 수 있었던 경상도 사람들보다 수도권 사람들이 이곳엔 훨씬 많다. === 시내버스 === * [[인천 버스 23]] == 사건·사고 == * 2005년 6월 28일, 예하부대인 제288해상전탐감시대(288[[레이더 사이트|R/S]])에서 해군판 [[530GP 사건]]이 될 뻔했던 [[해군 동검도 제초제 사건]]이 일어났다. * 2021년 10월 28일에 해군 고참병장 5명이 후임 병장에게 석달간 집단괴롭힘 및 폭행을 자행하다가 간부의 신고로 적발된 사건이 발생했다.[* 해군은 병장 복무개월만 5~6개월이라 병꺾이라는 용어가 존재할 정도로 육군에 비해 복무기간이 길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448&aid=0000342533|#]] == 기타 == * [[백령도]] [[연평도]] 등 [[서해5도]]에 근무하는 해군 및 [[대한민국 해병대|해병대]]원들 중 배치를 앞둔 신병들은 이곳의 [[해병대]] 도서파견대에 짐을 풀고 첫 휴가를 다녀온 뒤 이곳으로 복귀 후 입도해 실무부대로 간다. 이후 휴가 때도 서해5도 장병들은 하루전 파견대로 도착해 하루 대기 후 다음 날 아침에 휴가를 떠난다. 이후 휴가복귀 때는 복귀 당일 저녁에 파견대로 복귀 후 다음날 아침 배를 타고 다시 부대로 향한다. 만약 기상 악화로 휴가 복귀를 못 한다면 이곳에서 [[여객선]]이 출항 가능할 때까지 대기한다. 파견대 대기기간, 파견대까지 이동하는 시간은 단순한 부대이동으로 봐서 휴가일수에서 차감하지 않는다.[* [[현빈]]도 해병대 입대 후 첫 휴가를 이곳에 도착 후 다녀왔다.[[http://www.tvreport.co.kr/?c=news&m=newsview&idx=111463|#]]] 배가 안뜰경우 인방사 기지내 잡무들을 시킨다. 같은 백령도에 있는 타군인 공군은 숭의동에 모처에 파견대가 따로 있다. 백령도로 가는 배를 타다보면 공군이 몇명씩 보인다. 도서파견대는 해병대 6여단 및 연평부대 소속으로 도서파견대장([[원사(계급)|원사]]) 역시 6여단 소속이다. 도파대 때문에, 인천으로 가는 1호선 전동차에서는 집이 수도권인 해병대 장병들이 많이 보인다. 집이 지방인 경우에는 주로 4명 정도를 모아서 택시를 이용해 광명역으로 가는 경우가 많으나, 김포공항에서 국내선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고속철보다 항공료가 더 비싸긴 하지만 김포공항의 경우 대중교통으로도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금액적으로 큰 차이 없다.[* 도서파견대는 인방사와 한 지붕에 사는 관계이기 때문에, 수병과 해병이 서로 자주 마주치게 되는 곳이다. 특히 입도 대기 중인 해병들 중 이병이나 일병은 식사당번 등으로 불려나가기도 하는데, 이때는 서로의 출신을 가지고 배척하거나 하지는 말자. 해병도 [[수병]]도 한 식구이며 괜히 싸움이 나 봤자 좋은 얘기 하나도 못 듣는다.] * [[항덕]]에게는 [[인천국제공항]]에서 이착륙하는 비행기가 바로 보이기 때문에 눈이 즐거워지는 곳이다. 물론 공항 방호훈련 한번 뛰면 [[영종도]]하면 고개를 젓게 된다. * [[SK그룹]] 가문의 [[최민정(1991)|최민정]]이 인방사 지휘통제실 상황장교를 끝으로 만기 전역하였다. 인방사 전입 이전에는 [[청해부대]]에서 근무했다. [[분류:대한민국 해군]][[분류:사령부]][[분류:해군작전사령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