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피니티(자동차)|[[파일:infiniti1.png|width=15%]]]]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인피니티 Q45.png|width=100%]]}}} || || {{{#ffffff '''Q'''}}} || [목차] '''Infiniti Q45 / インフィニティ・Q45''' '''Nissan-Infiniti Q45 / 日産・インフィニティQ45'''[* 일본 시장 한정] --'''Infiniti Q41/インフィニティ・Q41'''-- == 개요 == [[일본]]의 자동차 제조사인 [[닛산자동차]]의 고급 브랜드 [[인피니티(자동차)|인피니티]]에서 1989년부터 2008년 [[대한민국]] 시장에서 단종될 때까지 생산한 [[FR(자동차)|후륜구동]] [[대형차]]이다. 1~3세대 모두 V8 엔진을 얹었고, 모델 트림은 Q45, Q45t 두 가지였다. == 역사 == === 1세대 (G50, 1989 ~ 1997) === || [[파일:1990 인피니티 Q45_(1).jpg|width=100%]] || [[파일:1990 인피니티 Q45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0 인피니티 Q45_(3).jpg|width=100%]]}}} || ||<-2> {{{#000 '''전기형'''}}} || ||<-2> {{{#fff '''인피니티 Q45'''}}} || || [[파일:1989 닛산 인피니티 Q45_(1).jpg|width=100%]] || [[파일:1989 닛산 인피니티 Q45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1989 닛산 인피니티 Q45_(3).jpg|width=100%]] || [[파일:1989 닛산 인피니티 Q45_(4).jpg|width=100%]] ||}}} || ||<-2> {{{#000 '''전기형'''}}} || ||<-2> {{{#fff '''닛산 인피니티 Q45'''}}} || >'''ジャパン・オリジナル(Japan Original)''' >출시 당시 슬로건 1989년 [[닛산자동차]]가 북미에 고급 디비전인 인피니티를 출범시키면서 내놓은 첫 모델 겸 플래그십 차종이다. 디자인은 닛산 사내에서 이루어졌고 11월에 [[일본]] 시장에서 닛산 인피니티 Q45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다. 인피니티 앰블럼이 배치되어 있으나, 작게나마 NISSAN 로고가 리어 가니쉬 하단부 중앙에 부착되어 있었다.[* 이는 1세대 후기형에 가서 눈에 띌 정도로 커진다.] 경쟁 차종과 달리 우드 그레인 대신 옻칠 패널을 사용하여 [[일본]]풍의 고급스러움을 더했으며, 당시의 대형차들에 있던 관념들을 일부 타파하기도 했다. 일례로 초기형은 라디에이터 그릴이 없었다는 것을 예시로 볼 수 있다. 디자인은 일본풍을 따랐지만, 주행 성능 등은 닛산 240Z와 같은 성능으로 인해 젊은층에게 스포티한 차량으로 인식되기도 했다. 전후면 모두 [[멀티링크 서스펜션]]이 적용되었으며, 유압식 액티브 서스펜션을 적용한 사양이 미국 및 일본 시장에서도 판매되었다. 수출 사양 차량은 [[4WD]]이 설정되기도 했으며, 엔진 출력은 300마력으로 잡아 [[닛산 페어레이디 Z]] 및 [[닛산 스카이라인 GT-R]] 처럼 300마력 트리오를 구성하려고 했으나, 당시 일본 교통부에 의해 280마력으로 규제를 당하기도 했다. 금색 열쇠가 딜러 옵션으로 있었는데, 현재는 [[일본]] [[도쿄도]] [[긴자]] 지역에 위치한 닛산 본사 갤러리에 전시되어 있다고 한다. 북미 사양으로 리어 스포일러와 BBS 휠 및 슈퍼 HICAS[* 이는 일본에서 판매하는 버전에는 적용되지 않았다.]이 적용되기도 했으며, 투어링 형태의 Q45t와 액티브 서스펜션이 적용된 Q45a도 존재하였다. 북미 시장에서는 일본처럼 규제가 따로 없었기 때문에 [[닛산 페어레이디 Z]]와 함께 일본차 최초의 300마력 차량이 되기도 했다. 초기형 차량은 그릴리스 디자인으로 유명하다고 했는데, 이로 인해 몇몇 사람들이 가짜 그릴을 붙이고 다니기 시작하면서 에어로 파츠를 제조하는 회사에서 프론트 그릴을 개발하기도 했다. ||<-2> [[파일:1995 인피니티 Q45.jpg|width=100%]] || ||<-2> {{{#000 '''후기형'''}}} || ||<-2> {{{#fff '''인피니티 Q45'''}}} || || [[파일:1993 닛산 인피니티 Q45_(1).jpg|width=100%]] || [[파일:1993 닛산 인피니티 Q45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1993 닛산 인피니티 Q45_(3).jpg|width=100%]] || [[파일:1993 닛산 인피니티 Q45_(4).jpg|width=100%]] ||}}} || ||<-2> {{{#000 '''후기형'''}}} || ||<-2> {{{#fff '''닛산 인피니티 Q45'''}}} || 이를 인지한 [[닛산자동차]]-[[인피니티(자동차)|인피니티]] 브랜드에서는 결국 1993년 6월에 출시된 [[페이스리프트]] 차량에 [[로버 800]]과 비슷한 그릴과 우드 그레인 패널로 변경되었으며, 리어 가니쉬의 색상이 검은색으로 변경되었다. 이듬해 [[닛산 프레지던트]](JG50)[* 여기서 J는 일본 내수형 차량을 의미함]가 출시되었으며, Q45와 다르게 큰 라디에이터 그릴을 가지고 있었다. 북미 시장에서는 1세대 차량이 단종되기 1년 전인 1996년에 2세대 FY33형을 출시하면서 단종되었으나, [[일본]] 시장에서는 FY33형 [[닛산 시마]]와 통합하는 형태로 라인업을 정리하면서 단종되었다. 여담으로, 닛산은 [[인피니티(자동차)|인피니티]] 브랜드를 [[일본]] 시장에 도입하려는 계획도 있었는데, 실제로는 도입하지 못하다가 13세대 [[닛산 스카이라인]]과 2세대 [[닛산 푸가|푸가]] 차량에 [[인피니티(자동차)|인피니티]] 로고를 붙이는 것으로 만족해야만 했다. 다만, Q45가 [[인피니티(자동차)|인피니티]]가 아닌 닛산 계열의 차량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스카이라인은 [[인피니티(자동차)|인피니티]] 브랜드로 취급하고 있다는 점은 다르다.[* 다만, 스카이라인과 푸가는 [[2019년]] [[페이스리프트]]와 연식 변경을 거치면서 원래 [[닛산]] 로고로 회귀하였다.] ||<-8> {{{#293139 '''1세대의 파워트레인'''}}} || || {{{#ffffff '''모델'''}}} || {{{#ffffff '''엔진'''}}} || {{{#ffffff '''엔진 형식'''}}} || {{{#ffffff '''과급 방식'''}}} || {{{#ffffff '''배기량'''}}} || {{{#ffffff '''최고 출력'''}}} || {{{#ffffff '''최고 토크'''}}} || {{{#ffffff '''변속기'''}}} || || '''Q45''' || 닛산 VH45DE || 4.5L V형 8기통 || 자연흡기 || 4,494cc || 282ps || 40.7kg·m || 4단 [[자동변속기]] || === 2세대 (FY33, 1996 ~ 2001) === || [[파일:2세대 Q45.png|width=100%]]||[[파일:2000 Q45.png|width=100%]]|| || {{{#ffffff '''초기형'''}}} || {{{#ffffff '''후기형'''}}} || 1세대는 인피니티의 자체 모델이었지만, 2세대부터는 [[닛산 시마]]의 [[배지 엔지니어링]] 차량으로 바뀌었고 앞 서스펜션은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맥퍼슨 스트럿]] 형태로 바뀌었다. 2세대 차량 역시 투어링 사양인 'Q45t' 차량이 판매되었으며, 열선 시트 및 리어 스포일러가 장착되었다. 차명은 기존의 Q45라는 이름을 유지했지만, 기존의 [[닛산 VH 엔진|VH]]45DE 엔진을 4.1L로 다운사이징한 탓에 종종 Q41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1998년에 연식변경이 이루어지는데, HID 헤드램프와 아날로그 시계가 적용되었고, Q45t의 경우 17인치 알루미늄 휠과 전자 제어 서스펜션이 표준 사양으로 적용되었다. 1999년에는 [[닛산 시마]]와 차별화를 두는 [[페이스리프트]]가 이루어지는데, 트렁크 부분의 피니쉬 부분이 사라졌다. 2001년에 3세대 차량이 출시되어 단종되었다. 시마와 같이 내비게이션이 장착되지만 시마의 xanavi와는 다르다.[* 세피로의 그것과 비슷하다. 반대로 렉서스 LS430은 토요타 셀시오의 EMV와 같다(…)] ||<-8> {{{#293139 '''2세대의 파워트레인'''}}} || || {{{#ffffff '''모델'''}}} || {{{#ffffff '''엔진'''}}} || {{{#ffffff '''엔진 형식'''}}} || {{{#ffffff '''과급 방식'''}}} || {{{#ffffff '''배기량'''}}} || {{{#ffffff '''최고 출력'''}}} || {{{#ffffff '''최고 토크'''}}} || {{{#ffffff '''변속기'''}}} || || '''Q45''' || 닛산 VH41DE || 4.1L V형 8기통 || 자연흡기 || 4,130cc || 270ps || 38.4kg·m || 4단 [[자동변속기]] || === 3세대 (F50, 2001 ~ 2008) === || [[파일:2003 Q45.png|width=100%]]||[[파일:3세대 Q45.png|width=100%]]|| || {{{#ffffff '''초기형'''}}} || {{{#ffffff '''후기형'''}}} || 2000년 4월 제 100회 뉴욕 국제 오토쇼에서 최초로 공개되었으며, 북미 시장에서 2001년 4월에 출시되었다. 2세대처럼 [[닛산 시마]]의 배지 엔지니어링 차량이며, 이전 세대의 V8 4.1L 엔진에서 1세대와 같은 4.5L V형 8기통 형태로 되돌아왔지만 345마력의 힘을 내는 '''VK45DE''' 엔진이 탑재되었다. 2005년에 전면부 및 후면부를 [[닛산 시마]]와 차별화하는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닛산 푸가]], [[닛산 스카이라인]]과 후면 디자인이 비슷하게 통일되었다. 또한 전장이 5,069mm에서 5,101mm로 늘어났고 동년 7월부터는 [[한국닛산]]이 [[인피니티(자동차)|인피니티]] 브랜드가 [[대한민국]] 시장에 공식 런칭되면서 판매를 시작했다. 인피니티 라인업에서 가장 비싼 1억원대 가격[* 당시 국내에 공식 판매 중이었던 1억원대 일본차는 [[렉서스 LS|LS]]가 유일했다.]으로 판매되었다.[* Q45가 단종되고나서 [[인피니티 QX80|QX80]]가 유일한 억대 가격의 인피니티 차량이 됐다.] 하지만 브랜드 파워 및 마케팅의 한계로 2006년에 [[대한민국]] 시장 및 중동 시장을 제외한 모든 시장에서 단종되어 [[인피니티(자동차)|인피니티]]의 F-세그먼트 세단은 공석이 돼버렸고, 플래그십은 [[인피니티 Q70|M]]이 맡게 된다. 2008년에 중동 시장에서 단종되었으며, 이후 [[대한민국]] 시장에서도 단종이 확정되면서 Q는 퇴장하게 된다.[* 인피니티의 새로운 작명법이 세단에 Q를 붙이는 방식으로 결정되면서, 사실상 Q가 부활했다고 보면 된다.] 그 해 2월에 [[페이스리프트]]된 [[닛산 시마]]가 후면부의 디자인을 채용했다. 원판인 시마는 2010년에 단종됐으며, 푸가의 롱 휠베이스로 명맥을 이어갔으나 이 마저 단종되었다. 초기형 차량의 경우 전면부가 [[기아 로체]] 초기형 모델과 약간 닮았다. ||<-8> {{{#293139 '''3세대의 파워트레인'''}}} || || {{{#ffffff '''모델'''}}} || {{{#ffffff '''엔진'''}}} || {{{#ffffff '''엔진 형식'''}}} || {{{#ffffff '''과급 방식'''}}} || {{{#ffffff '''배기량'''}}} || {{{#ffffff '''최고 출력'''}}} || {{{#ffffff '''최고 토크'''}}} || {{{#ffffff '''변속기'''}}} || || '''Q45''' || 닛산 VK45DE || 4.5L V형 8기통 || 자연흡기 || 4,494cc || 345ps || 46kg·m || 5단 [[자동변속기]] || == 제원 == ||<-4> {{{#293139 {{{+1 '''Q'''}}}}}} || || {{{#ffffff '''세대 구분'''}}} || {{{#ffffff '''1세대'''}}} || {{{#ffffff '''2세대'''}}} || {{{#ffffff '''3세대'''}}} || || {{{#ffffff '''생산 국가'''}}} ||<-3>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 || || {{{#ffffff '''코드네임'''}}} || G50 || FY33 || F50 || || {{{#ffffff '''차량형태'''}}} ||<-3> 4도어 [[대형차|대형]] [[세단]] || || {{{#ffffff '''승차인원'''}}} ||<-3> 5명 || || {{{#ffffff '''전장'''}}} || 5,090mm || 5,056 → 5,069mm || 5,069 → 5,101mm || || {{{#ffffff '''전폭'''}}} || 1,825mm || 1,820mm || 1,844mm || || {{{#ffffff '''전고'''}}} || 1,430 → 1,425mm || 1,450 → 1,445mm || 1,495 → 1,490mm || || {{{#ffffff '''축거'''}}} || 2,875 → 2,880mm || 2,830mm || 2,870mm || || {{{#ffffff '''윤거(전)'''}}} || 1,570mm || 1,540mm || 1,580mm || || {{{#ffffff '''윤거(후)'''}}} || 1,570mm || 1,540mm || 1,560mm || || {{{#ffffff '''공차중량'''}}} || 1,780 ~ 1,840kg || 1,760kg || 1,724 ~ 1,820kg || || {{{#ffffff '''타이어 크기'''}}} || 215/65R15 || 215/60R16 || 225/55R17 || || {{{#ffffff '''구동방식'''}}} ||<-3> [[FR(자동차)|앞엔진-뒷바퀴굴림(FR)]] || || {{{#ffffff '''전륜 현가장치'''}}} || [[멀티링크 서스펜션]] ||<-2>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 || {{{#ffffff '''후륜 현가장치'''}}} ||<-3> [[멀티링크 서스펜션]] || || {{{#ffffff '''전륜 제동장치'''}}} ||<-3>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 || {{{#ffffff '''후륜 제동장치'''}}} ||<-3> [[디스크 브레이크]] || == 둘러보기 == [include(틀:인피니티의 차량)] [include(틀:닛산의 차량)] [[분류:인피니티/생산차량]][[분류:닛산/생산차량]][[분류:1989년 출시]][[분류:2008년 단종]][[분류:대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