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명이인]][[분류:이름/로망스어권]][[분류:테일즈 오브 시리즈/등장인물]] [목차] == [[프랑스어]]식 이름 Irène의 잘못된 표기 == [[그리스어]]로 '[[평화]]'를 의미하는 [[에이레네]]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Irène는 프랑스어에서 [[이렌]](/i.ʁɛn/)으로 읽는 것이 올바르다. 일단 R을 ㄹㄹ로 표기하지도 않고, 프랑스어에서 자음 뒤의 e가 '으'와 유사하게 발음되기는 하지만 n이나 m 뒤의 e는 비모음으로 발음하는 것을 막는 장치라서 묵음이다. 그러나 프랑스인들은 어말자음이 비음이라도 여운을 남겨 발음하는 경향이 있는데[* Zsuzsanna Fagyal, Douglas Kibbee, Frederic Jenkins(2006) 《French: A Linguistic Introduction》, p61] 이게 마치 '으'를 붙인 것처럼 들리다 보니 뒤에 '느'가 남게 되었다. 그러한 통용 표기를 인정하더라도 '이렌느', '이레느'라고 쓰는 것이 올바르고 일레느는 완전히 잘못된 표기이다. == [[대항해시대 온라인]]의 등장인물 == [[일레느(대항해시대 온라인)]] 참조. == [[영웅서기]]의 등장인물 == [[일레느(영웅서기)]] 참조. == [[예익의 유스티아]]의 성녀 일레느 == 사실 직책명에 가깝다. 자세한 사항은 [[성녀 일레느]] 항목으로. == [[테일즈 오브 데스티니]]의 등장인물 == 일레느 렘브란트(イレーヌ・レンブラント). 성우는 시마카타 준코. 노이슈타트의 저택에서 살고 있는 인물. 아버지인 샤인 램브란트가 [[휴고 질크리스트]]의 집사라, 오베론사에서 일하고 있다. 부잣집 아가씨지만 매우 유능하며 가난한 사람에게도 친절하게 대하면서 복지 정책을 펼치고 있어서 민중의 지지도가 높다. [[스탄 엘론]]도 그런 그녀의 면모를 동경했을 정도. [include(틀:스포일러)] 휴고 질크리스트가 흑막임이 드러나고 그녀 또한 아무리 복지 정책을 펼쳐도 현실이 바뀌는 일이 없으니 세계를 처음부터 다시 세우지 않으면 사람들을 바꿀 수 없다며, 스탄 일행과 대립한다. 좋은 사람이기는 했지만 결국 그녀의 사상은 위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는 것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것. [youtube(gtVmFU4NbAA)] 결국 비행선에서 스탄과 결전을 벌이는데 오리지널은 약하지만 리메이크는 다르다. 체력은 5000도 안 되지만(노말 기준) 방어력이 엄청나게 높아서 고전하게 된다. 판넬 피델릿트(フィデリット)을 계속해서 소환하는데다가 본인도 상급 정술을 퍼부어대니 토가 나올 지경. 특히 HP1이 되면 나오는 그 악몽의 패턴[* 자그마한 기계를 9개 소환. 다 부수기 전에는 일레느를 쓰러트릴 수 없다!] 덕에 패드를 집어던진 사람도 있다. 결국 자신의 패배를 인정하고 스탄이 옳다는 것을 받아들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탄의 손길을 거부하고 스스로 비행선에서 뛰어내려 자살한다. [[테일즈 오브 이터니아]]에서는 렌즈 교환상으로 나온다. 렌즈를 일정 숫자 찾아내서 그녀에게 보여주면 레어 아이템을 선물로 준다. ==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시리즈의 등장인물 == [[손노리]]의 롤플레잉 게임 [[어스토니시아 스토리]]과 리메이크 버전인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R의 히로인. 현자 레자일의 외손녀로 귀하게 자라 제멋대로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블루디프 산 주막에서 레자일을 찾아가던 로이드와 우연히 만나게 되고 이후로 인연이 시작된다. 자세한 내용은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항목을 참조. == [[BLOOD+]]의 등장인물 == [[일레느(BLOOD+)]] 참조. == [[전장의 발큐리아]]의 등장인물 == [[일레느 엘레트]]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