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일리예스 사토우리)] ||[[파일:attachment/일리예스 사토우리/2012/800px-Stephano_WCSEU2012_1.jpg|width=600]]|| || WCS 유럽 우승 뒤, 프랑스 국기를 드는 모습 || [목차] == [[Iron Squid]] Chapter 1 == 20강 C조에 속하게 된다. 같은 조에는 [[정지훈(프로게이머)|정지훈]], [[문성원]], [[이승현(1997)|이승현]], [[MaNa]] 선수들이 속해있었다. 첫 상대인 [[MaNa]] 선수를 이기나, 정지훈과 이승현 선수에게 패배하며 상위라운드 진출이 불가능해지자, 마지막경기로 남았던 문성원과의 경기를 포기해버리는 불상사를 저지르고만다[[http://www.ironsquid.tv/iron-squid-pool-c-stephano-forfeits-vs-mma|#]]. 결국 소속팀 밀레니엄에서는 대신해서 사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 [[ASUS ROG]] Winter 2012 == 2월 24일 32강 B조에서 3전 전승 조1위로 16강에 진출한다. 16강부터 [[오진실]], [[elfi]], [[이호준(프로게이머)|이호준]] 선수들을 꺾어내고 결승전에 진출한다. 결승전에서 [[최성훈(프로게이머)|최성훈]] 선수를 만나 정말 극한의 저테전을 보여주는 혈전을 펼쳤으나, 결국 1:4로 패배하고 준우승에 머물고 만다. 하지만 이 때부터 최성훈 선수와 상당히 친해지며 이후 TSL과 밀레니엄팀의 파트너쉽을 맺고, 스테파노는 한국에 가서 TSL 숙소에서 연습을 하는 등 우승보다 값진 인연을 얻게된다. == [[IPL 4]] == [[IPL 4/영국 예선|영국 온라인 예선]]에서는, 결승상대인 [[김원형]] 선수를 꺾으며 우승한다.[* 하지만 스테파노는 이미 IPL 4 시드권을 확보했기 때문에, 비행기표는 2위인 김원형이 가지게된다.] 본선 토너먼트가 시작되고, 20강 B조에 속하게 된다. 같은 조에는 [[이정훈(프로게이머)|이정훈]] ,[[White-Ra]], [[이원표]], [[박진영(게임 해설가)|박진영]] 선수들이 속해있었다. 이정훈 선수에게만 패배하고 나머지 선수들을 잡아내며 조2위로 챔피언쉽 브라켓에 진출한다. 챔피언쉽 브라켓 승자조 1라운드에서 [[최지성(프로게이머)|최지성]] 선수를 잡아내나, 승자조 2라운드에서는 [[임재덕]] 선수에게 패배하며 패자조 2라운드로 떨어진다. 그리고 패자조 2라운드에서는 [[문성원]] 선수에게 다시 패배하며 결국 탈락하고만다. 전시즌보다 일찍 탈락하긴했지만, 스테파노는 당시 챔피언쉽 브라켓의 유일한 非한국인 선수였다.(...) 이 때문에, 스테파노는 챔피언쉽 브라켓에 든 자체만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았었다. == MLG Pro Circuit 2012 Spring Arena 2 == 승자조 1라운드부터 [[김동원(프로게이머)|김동원]], [[요스|Ret]], [[장민철]], [[김민혁(프로게이머)|김민혁]] 선수들을 연달아 꺾어내며 파이널 브라켓에 직행한다. 하지만 파이널 브라켓 1라운드에서 [[김동환(프로게이머)|김동환]] 선수에게 패배하고, 패자조 결승에서도 [[강동현]] 선수에게 다시 패배하며, 결국 대회 3위로 마무리하게된다. == MLG Pro Circuit 2012 Spring Championship == 24강 C조에서 같은 조의 [[김동원(프로게이머)|김동원]], [[양준식(프로게이머)|양준식]], 최성훈, [[박서용]], [[김동주(프로게이머)|김동주]], [[박진영(게임 해설가)|박진영]] 선수들을 모두 잡아내며 조1위로 챔피언쉽 브라켓에 직행한다. 챔피언쉽 브라켓 1라운드에서 [[이정훈(프로게이머)|이정훈]] 선수한테 1:2로 분패하고, 당시 예상외의 선전 중이던 [[SaSe]] 선수에게도 일격을 당하며 탈락하고만다. == 2012 [[DreamHack]] Open Summer == 128강부터 32강까지, 3번의 조별리그를 모두 조1위로 통과한다. 본선 16강 토너먼트부터는 [[황규석]], [[Nerchio]] 선수를 이기나, 4강에서 [[그레고리 코민츠]] 선수에게 패배하고만다. == MLG Pro Circuit 2012 Summer Arena == Bracket 1의 승자조 1라운드부터 [[케빈 라일리|qxc]], [[김동현(스타크래프트 2)|김동현]] 선수들을 이기나, 승자조 4강에서 [[김학수]] 선수에게 1:2로 패배하고 패자조로 떨어진다. 패자조 4라운드에서 [[김동원(프로게이머)|김동원]], 5라운드에서 [[송현덕]] 선수를 잡고 최종전 결승까지 올라가나, 다시 만난 김학수 선수에게 0:2로 패배하고 탈락하고만다. == MLG Pro Circuit 2012 Summer Championship == 그룹 C조 1라운드에서 [[김민혁(프로게이머)|김민혁]] 선수를 잡아내나, 2라운드에서 [[김동환(프로게이머)|김동환]] 선수에게 패배하며 패자조로 떨어진다. 패자조 2라운드부터 [[박서용]], 김민혁, [[최연식(프로게이머)|최연식]] 선수들을 잡아내며 C조 결승까지 진출하나 다시 김동환을 만나며 패배하고만다. 게다가 챔피언쉽 브라켓 패자조 진출권에마저도 [[김동현(스타크래프트 2)|김동현]] 선수한테 0:2로 패배하며, 챔피언쉽 브라켓에는 진출하는데 실패한다. == 배틀넷 월드 챔피언쉽 시리즈 SC2 2012 유럽 컨티넨탈 == WCS 프랑스예선에서 우승을 하고서, 유럽 컨티넨탈에 참가하게 된다. 승자조 1라운드부터 [[HasuObs]], [[Dayshi]], [[LoWeLy]], [[LucifroN]] 선수들을 모두 이기고 파이널 브라켓으로 직행한다. 파이널 브라켓에서 [[VortiX]] 선수를 2:0으로 잡아내고 최종 결승으로 직행한다. 패자조 결승에서 다시 올라온 VortiX 선수를 최종 결승에서 만나 첫 3전2선승제를 한번 패배하나, 승자 어드벤티지로 3전2선승제를 한번 더 치러 2:0으로 이기고 WCS 유럽 우승에도 성공한다. == [[Electronic Sports World Cup]] 2012 == 프랑스 국가대표로 참가하게 된다. 32강 조별리그 F조에서 조1위로 본선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16강부터 [[JonnyREcco]], [[PandaTank]] 선수들을 이기나, 4강에서 [[MaNa]] 선수에게 패배하고만다. 3/4위 결정전에서는 [[NeOAnGeL]] 선수를 이기고, 대회 3위로 마치게 된다. == [[배틀넷 월드 챔피언쉽 시리즈 SC2 2012 그랜드파이널 상하이]] == 11월 17일 [[그렉 필즈|Idra]], [[송현덕]], [[신노열]] 선수들과 함께 E조에 속하며, [[팀리퀴드]] 커뮤니티 공인 ''''죽음의 조'''라고 불리게 된다. 첫 상대인 송현덕 선수를 완벽한 경기력으로 2:0 승리에 성공하나, 승자조의 그렉 필즈 선수에게 일격을 당하며 패배하고 만다. 최종전에서 다시 송현덕 선수를 만나 패배하며, 非한국인 선수중에 가장 유력한 우승후보가 가장 허망하게 탈락하고 마는 이변이 벌어지고 만다. == [[2012 HOT6 GSL Season 5#s-6.2.5|GSL World Championship in Las Vegas]] == 12월 1일 첫날 프로리그 방식의 5세트에서 [[장민철]] 선수를 상대로 순수한 '''바드라'''만으로 힘싸움에서 승리하며[* 물론 거신을 흘리는 엄청난 실수도 컸다. ] 팀의 체면을 살려주는데 성공한다. 12월 2일 두번째 날 승자연전 방식에서 팀이 선봉으로 나온 [[넥라|이승현]] 선수에게 내리 4킬을 당하며 팀이 핀치에 몰리자, 대장으로 출격해 이승현부터 시작해서 [[박수호]]까지 꺾어내며 역4킬을 하고 스코어를 4:4까지 맞추는데 성공한다. 하지만 한국팀 대장으로 출격한 [[박현우(프로게이머)|박현우]] 선수에게 패배하며 역스윕에는 아쉽게 실패핸다. --사실상스테파노팀이였다-- [[분류:프로게이머/커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