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일리예스 사토우리)] ||[[파일:attachment/일리예스 사토우리/2013/20130304135425_5378.jpg]]|| || [[MANGOSIX GSL]] 승강전에서 코드 S 잔류를 확정지은 직후 || [목차] == 개인리그 성적 == === [[2013 HOT6 GSL Season 1]] === [[2013년]] [[1월 6일]] 첫 개막전 경기인 승격강등전에서 스테파노가 코드 S 시드를 받았다는 사실이 공표된다. 사실 이전부터 스테파노에게 코드S 시드를 주려고 했으나 스테파노가 거절했던 것인데, [[EG-TL]]의 프로리그 참가와 더불어서 참가한 것으로 보인다. 첫상대인 [[이신형]]에게 지속적인 의료선견제에 휘둘리며 결국, 교전 중의 전술은 매우 뛰어났으나 지속적인 의료선견제에 저그의 기지는 갈수록 초토화가 되가나 오히려 그동안 테란의 멀티는 하나씩 늘어나자, [[를르슈 람페르지|전술이 전략에서 이길수 없는 상황]]에 처하며 패배하고 말았다. 패자조에서 [[김영일(프로게이머)|김영일]]을 상대로는 압도적인 운영능력을 보여주며 2:0승리에 성공하나, 다시 최종전에서 만난 이신형에게 1:2로 초반의 전략적인 플레이에 아쉽게 무너지고만다. 코드 A 2라운드에서 만난 [[신재욱]] 선수에게 전략적인 수에 지속적으로 무너지며 패배한다. === [[MANGOSIX GSL]] === 승강전에서 첫상대인 [[이정훈(프로게이머)|이정훈]] 선수에게 패배하나, 이후 나머지 [[최성일]], [[김도경]] 선수들을 잡아내며 조2위로 코드 S에 돌아간다. 그러나 코드 S가 열리기 이전에 해외로 돌아가며, 코드 S를 기권했다. 그 빈자리는 와일드카드전을 치러 우승한 [[황규석]] 선수가 차지했다. === [[2013 MLG Winter Championship]] === MLG 쇼다운에서 러시아 프로토스 [[TitaN]] 선수를 3:0으로 잡아내고 본선 32강 비행기 티켓을 획득하는데 성공한다. 그러나 32강에서 ~~5전3선승제최강자인~~[[김성현(프로게이머)|김성현]] 선수를 만나 0:3으로 셧아웃을 당하고 광탈을 하게 된다. 그리고 아래짤은 셧아웃 패배 직후 SNS에 남긴 말. 자신이 의료선에 휘둘리기만 하다가 진 것을 두고 말한듯 하다. [[파일:attachment/일리예스 사토우리/2013/스테파노ㅠㅠ.png]] === [[2013 WCS Europe Season 1]] === 5월 8일 프리미어 리그 32강 G조 첫상대인 [[KrasS]] 선수를 2:0으로 잡아내고 승자전에 올라가나, 승자전에서는 [[BabyKnight]] 선수에게 0:2 패배를 당하고 최종전으로 내려간다. 결국 최종전에서 [[Grubby]] 선수를 2:0으로 잡아내고 조2위로 16강 진출에 성공한다. 5월 17일 프리미어 리그 16강 D조 [[Feast]], [[ThorZaIN]] 선수들을 잡아내고 조1위 8강 진출에 성공한다. 5월 25일 프리미어 리그 8강 [[BabyKnight]] 선수를 3:0으로 잡아내고 4강 진출에 성공한다. 이 덕분에 [[2013 WCS Season 1 Finals]] 진출시드까지 확보한다. 5월 26일 프리미어 리그 4강에서 [[박지수(프로게이머)|박지수]] 선수를 3:1로 잡아내나, 결승에서 [[정종현]] 선수에게 1:4로 패배하며 아쉽게 준우승에 머물고 만다. === [[2013 WCS Season 1 Finals]] === 6월 7일 16강 A조 첫상대인 [[TLO]] 선수에게 1:2 패배라는 이변을 보여주며 패자조로 떨어진다. 패자조에서 만난 [[한이석]] 선수에게도 지속적으로 휘둘리기만 하는 모습을 보여주다가 0:2 패배를 당하고 조4위로 탈락하는 굴욕적인 이변이 일어나고 만다. === [[2013 WCS Europe Season 2]] === 6월 26일 프리미어 리그 32강 B조 첫상대인 [[sLivko]] 선수에게 첫세트 패배를 당하는데, 이건 스테파노가 앉은 자리의 컴퓨터가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며, 세팅이 안되는데 방송 생중계 시간은 다가오자 어쩔수 없이 노트북으로 대신 플레이를 하며 안 좋은 경기력을 했기 때문이다. 1세트가 끝난 이후 세팅이 제대로 된 컴퓨터를 가지고 시작하자 바로 2,3세트를 따내며 승자전으로 올라간다. 승자전에서는 [[장민철]] 선수를 상대로 첫세트에는 [[군단 숙주]]를 사용하기 힘든 벨시르 잔재에서 극후반 다수의 촉수 방어와 군단 숙주 + 타락귀 전술을 한국선수들 못지 않게 잘 활용해 나가며 장민철을 말그대로 압살했다. 이후 2세트에서는 바드라로 프로토스와의 회전력싸움에서 이득을 본 뒤 뮤탈리스크 체제변환으로 손쉬운 승리를 따내며 조 1위 진출. 8월 6일 프리미어 리그 16강 B조 [[김경덕]], [[LucifroN]] 선수들에게 연패를 당하고 조4위로 탈락했다. 탈락 이후 트위터로 16강 경기가 자신의 고별전이라고 밝히며, 은퇴 소식을 직접 알린다.[* 고로 챌린저 리그 3라운드는 자동으로 기권하게 됐다.] == 팀리그 성적 == ===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12-13]] === [[1월 12일]] 2주차 첫번째로[[CJ 엔투스]] 전에서 중견으로 출전, [[충격과 공포]]의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김준호는 [[암흑 기사(스타크래프트 시리즈)|암흑 기사]] [[날빌]]을 막아 낸 후 '''[[바퀴(스타크래프트 2)|바퀴]]''', 저글링으로 본진 앞마당을 거의 털어버린 후 마지막 발끈러시를 [[타락귀]], [[감염충]]으로 막고 끝내버렸으며, [[정우용]]은 바드라로 [[공학연구소]], 앞마당 멀티를 털다가 [[울트라리스크]], [[저글링(스타크래프트 시리즈)|저글링]] 조합으로 끝내버렸다. 더욱이 경기를 끝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바퀴춤을 시전하는 여유를 보이는 등 두 경기 모두 상대 선수를 완전히 '''가지고 논 수준의 경기'''였다. 다만 상대 대장으로 나온 [[신동원]]에게 바퀴로 털리면서 ~~[[칼로 흥한 자 칼로 망하리라|바흥바망]]~~ [[저막]] 어디 안 감을 보여 주면서 빛이 바래긴 했지만. 어쨌든 경기의 임팩트 자체가 엄청난 탓에 출전하자마자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1위에 등극했다. 다만 프로리그 규정을 잘 몰라서인지 [[김준호(프로게이머)|김준호]]와의 경기에서 '''gl hf'''[* Good Luck, Have Fun. 비록 묻혔지만 심판이 ppp를 건 후 김준호도 답을 안 하긴 그랫는지 gl이라고 답문을 날렸다(...).]라고 채팅을 입력하다 몰수패를 당할...뻔 했지만규정 미숙을 감안했는지 경고 1회 후 경기가 재개되었다.--[[http://gall.dcinside.com/list.php?id=starcraft2&no=3483424&page=9&bbs=|이 사태를 예측한 성지글]]-- [[1월 14일]] 2주차에 두번째로 [[삼성전자 칸]]을 상대로 선봉으로 출전하나, 상대팀의 신인인 [[강민수(프로게이머)|강민수]]라는 선수에게 말그대로 '''저막'''임을 각인시키며 패배하는 이변을 일으키며 일찍 자리에서 내려오고 말았다.(...) 1월 19일 3주차에 첫번째로 당시 6연승에 1위를 달리던 [[웅진 스타즈]]를 만나서 [[송현덕]]의 지각 몰수패로 팀이 위험했으나 대장으로 출격해 [[김명운]]을 상대로 벌써 저저전을 극복한 모습을 보여주며 승리하고 대장으로 나온 [[김유진(프로게이머)|김유진]]까지 정말로 간단하게 이겨버리며 팀의 기적적인 승리에 큰 공헌을 해냈다.~~며칠만에 저막 극복한 레알재능러~~ 1월 21일 [[8th TEAM]]의 [[하재상]] 선수에게 패배한다. 2월 16일 [[CJ 엔투스]]의 [[김정우(프로게이머)|김정우]] 선수에게 패배한다. 2월 26일 [[kt 롤스터]]의 [[김대엽]] 선수에게 패배한다. 3월 4일 [[SKT T1/스타크래프트|SKT T1]]의 [[정경두(프로게이머)|정경두]] 선수에게 패배한다. [[군단의 심장]] 전환 후부터는 해외 리그에 집중하기 위해 한국을 떠났다. [[분류:프로게이머/커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