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 [목차] == 뚜루 푸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3053_1.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뚜루 푸른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일어판명칭=ツルプルン, 영어판명칭=Turu-Purun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레벨=2, 속성=물, 종족=물족, 공격력=450, 수비력=500, 효과외1=외눈박이의 기묘한 몬스터. 손에 든 작살로 상대를 일격한다.)] 공격력을 보아 상대를 일격해야 할 작살이 영 안 좋은 것으로 보인다. [[습지초원]]의 서포트를 받지만, 덱에 채용하기에는 순위가 밀린다. 일본어판은 왠지 성능과는 전혀 맞지 않게 [[울트라 레어]] 카드다. 최초의 [[프리미엄 팩]]에서 나왔던 카드이기 때문. 한국/미국은 토너먼트 팩으로 정발. 물론 이 때는 노멀로 나왔다. [[떡 깨구리]] 등장 이후로 [[레스큐 래빗]]과 이 카드를 같이 투입하기도 한다. == 의문의 손 == [[파일:external/www.jesus4-25.com/3237.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의문의 손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일어판명칭=なぞの(), 영어판명칭=Mystery Hand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레벨=2,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500, 수비력=500, 효과외1=공간을 비틀어 차원의 틈에서 팔을 뻗어 공격을 가한다.)] 흔한 어둠속성, 악마족, 레벨 2의 일반 몬스터. 이쪽은 [[스타터 박스]] 출신의 초고대 카드. 미숙한 악마보다 수비력이 더 낮은 하위 호환으로, 동시에 같은 스타터 박스에 등장한 [[마인(유희왕)#마인총|마인총]]의 완전 하위 호환이기도 하지만, 마인총과는 달리 공격력이 500이라 [[데브리 드래곤]]의 효과 적용 범위에 들어간다는 차별점이 있다. --어차피 둘 다 안쓴다.-- == 녹아내리는 붉은 그림자 == [[파일:external/www.jesus4-25.com/296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녹아내리는 붉은 그림자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일어판명칭=とろける(あか)(かげ), 영어판명칭=The Melting Red Shadow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레벨=2, 속성=물, 종족=물족, 공격력=500, 수비력=700, 효과외1=몸을 녹여 발밑의 그림자에 숨었다가\, 적의 바로 밑에서 공격한다.)] [[도플갱어(유희왕)|도플갱어]]의 [[팔레트 스왑]] 버전. == 딕 비크 == [[파일:external/img17.shop-pro.jp/76787513.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딕 비크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일어판명칭=ディッグ・ビーク, 영어판명칭=Dig Beak, 속성=땅, 레벨=2, 공격력=500, 수비력=800, 종족=야수족, 효과외1=뱀처럼 긴 몸을 말아\, 회전하면서 부리로 공격한다.)] == 코로가시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Korogashi-B05-JP-C.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코로가시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일어판명칭=コロガーシ, 영어판명칭=Korogashi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레벨=2, 속성=땅, 종족=곤충족, 공격력=550, 수비력=400, 효과외1=자신의 몸의 몇 배나 커다란 똥을 굴려서 상대를 눌러 부순다.)] [[브레이드 플라이#다크 킬러|다크 킬러]]의 하위 호환. == 프레임 댄서 ==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51lQk47SDaL.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프레임 댄서, 일어판명칭=フレイムダンサー, 영어판명칭=Flame Dancer, 레벨=2, 속성=화염, 종족=화염족, 공격력=550, 수비력=450, 효과외1=타오르는 링을 돌리며 다가온다. 눈을 마주쳐서는 안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부터 오리지널 카드로 등장. 미묘한 공격력 때문에 [[브레이즈 캐논]]의 효과로조차 써먹을 수 없는(...) 잉여 카드다. == 코픽스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Eyearmor-V1-JP-C.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코픽스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일어판명칭=コピックス, 영어판명칭=Eyearmor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레벨=2,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600, 수비력=500, 효과외1=여러가지 모습으로 변신해\, 상대를 속이면서 싸우는 전사.)] [[흉내쟁이 환술사]]처럼 카피 능력을 가진 듯한 [[플레이버 텍스트]]와는 달리 일반 몬스터. 변형해봤자 기본이 약하니 전투 능력은 기대할 수 없다. 대응하는 서포트 카드는 많으니 그 점을 살리는 것이 좋겠지만, 뭘 해도 어정쩡한 능력치가 발목을 잡는다. [[유희왕 5D's]] [[유희왕 5D's/WRGP 편|WRGP 편]]에서는 [[팀 태양]]이 사용한 카드 중 하나로 등장. 팀 태양의 요시조가 [[잭 아틀라스]]와의 듀얼에서 소환하여 [[손 잡는 마인]]의 효과로 필드에 계속 남아있다가, 타로가 사용한 [[협공(유희왕)|협공]]의 효과로 자리건과 함께 파괴되었다. == 운명의 양초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CandleofFate-V1-JP-C.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운명의 양초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일어판명칭=運命(うんめい)のろうそく, 영어판명칭=Candle of Fate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레벨=2,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600, 수비력=600, 효과외1=손끝의 불꽃이 꺼질 때\, 상대의 운명이 결정된다.)] 텍스트만 보면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전투 외 승리|특수 승리 조건]]이라도 붙은 카드처럼 보인다. 물론 저 능력치로는 불이 꺼지기 전에 본인이 살아남기 어려워 보인다. == 죽은 자의 팔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FiendsHand-V1-JP-C.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죽은 자의 팔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일어판명칭=死者(ししゃ)(うで), 영어판명칭=Fiend's Hand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레벨=2, 속성=어둠, 종족=언데드족, 공격력=600, 수비력=600, 효과외1=혼돈의 늪에서 팔을 뻗어 살아있는 자를 늪 속으로 끌어당긴다.)] OCG 최초의 언데드족 몬스터 중 하나.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시리즈에서는 효과 몬스터 개념이 도입된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부터 '자신을 제물로 바쳐 상대 필드 위에 가장 공격력이 높은 몬스터 1장을 파괴한다'는 효과가 주어졌다. 본 게임 내에서는 몬스터 제거 효과가 너무나 적은 편이라 필수 카드 취급을 받기도 했다. 해외 수출판 카드는 실물로 나오지는 않았지만, 초기 게임판에서는 원래 일러스트로 나왔다가 [[유희왕 레거시 오브 더 듀얼리스트]], [[유희왕 듀얼링크스]]부터 색상을 변경한 버전으로 수정되었다. == 라라 라이운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LaLaLiOon-V1-JP-C.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라라 라이운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일어판명칭=ララ・ライウーン, 영어판명칭=LaLa Li-oon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레벨=2, 속성=바람, 종족=번개족, 공격력=600, 수비력=600, 효과외1=전기를 띤 구름모양의 몬스터. 무엇이든지 녹이는 위험한 비를 내린다.)] [[가가가]], [[고고고]]와 같은 말장난으로 이루어진 카드의 선조격 몬스터. == 자리건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Zarigun-B02-JP-C.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자리건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일어판명칭=ザリガン, 영어판명칭=Zarigun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레벨=2, 속성=물, 종족=물족, 공격력=600, 수비력=700, 효과외1=가재가 진화한 몬스터. 커다란 집게로 상대의 목을 노린다.)] 먼저 등장한 [[무장한 불가사리|히토덴차크]]와 완전히 능력치가 동일한 몬스터. [[유희왕 5D's]] [[유희왕 5D's/WRGP 편|WRGP 편]]에서는 [[팀 태양]]의 2번째 주자인 진베이가 팀 5D's와의 라이딩 듀얼 중 [[손 잡는 마인]]의 수비력을 올리기 위해 소환하는 것으로 등장했다. 진베이가 탈락한 후 타로가 [[협공(유희왕)|협공]]의 효과로 [[#코픽스|코픽스]]와 함께 파괴시켰다. == 가니구모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Ganigumo-V3-JP-C.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가니구모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일어판명칭=ガニグモ, 영어판명칭=Ganigumo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레벨=2, 속성=땅, 종족=곤충족, 공격력=600, 수비력=800, 효과외1=집게를 지닌 거미. 상대의 움직임을 실로 봉인하고 집게로 찌른다.)] == 홀리 파워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LuckyTrinket-B01-JP-C.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홀리 파워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일어판명칭=ホーリー・パワー, 영어판명칭=Lucky Trinket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레벨=2, 속성=빛, 종족=마법사족, 공격력=600, 수비력=800, 효과외1=비실비실하지만 성스러운 힘으로 수호받고 있다.)] 플레이버 텍스트답게 비실비실한 스탯이 특징. 제 1기 최초 수록 이후 재록을 한번도 안 해서 의외로 구하기 힘든 카드. 능력치 덕분에 [[견습 마술사]]와 [[인해전술(유희왕)|인해전술]]에 전부 대응한다. 게임판 일러스트가 무섭다. [[http://www.imasaragame.com/yugioh4/card_images/183.gif|#]]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부스터(유희왕)|BOOSTER1]] || 없음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수록[br]절판 || == 부쿠 == [[파일:external/www.jesus4-25.com/3323.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부쿠, 일어판명칭=ブークー, 영어판명칭=Boo Koo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레벨=2,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650, 수비력=500, 효과외1=책 모양의 마법사. 온갖 마법이 적혀 있다.)] 책을 뜻하는 영단어 'Book'을 비틀어 놓은 이름의 몬스터. [[마도서(유희왕)|마도서]]와 비슷한 몬스터랍시고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 발매 당시의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시리즈 발매 정보/기타 카드 일람|토너먼트 팩]]에서 재판된 덕분에 한국에서도 발매되었다. == 어둠을 따르는 자 ==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SectarianofSecrets-V1-JP-C.jpg|width=100%]]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SectarianofSecrets-TP8-EN-C-UE.jpg|width=100%]]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어둠을 따르는 자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일어판명칭=(やみ)にしたがう(もの), 영어판명칭=Sectarian of Secrets, 레벨=2,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700, 수비력=500, 효과외1=어둠을 숭배하는 마법사. 마의 손을 불러내어 암흑으로 끌어들인다.)] 다른 옛날 카드들도 그랬듯이 이마에 있는 육망성이 수출판에선 탄압당했다. == 파이어 데블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FireReaper-V1-JP-C.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파이어 데블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일어판명칭=ファイヤー・デビル, 영어판명칭=Fire Reaper, 레벨=2, 속성=어둠, 종족=언데드족, 공격력=700, 수비력=500, 효과외1=화염의 화살을 손에 든 사신. 그 화살에 맞으면 불덩어리가 된다.)] 침묵하는 망자의 하위 호환. 거기다 이름과는 달리 '파이어'도 아니고 '데블'도 아닌 요상한 몬스터. 영문판 명칭은 "파이어 리퍼" 즉, 불의 사신이 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시리즈에서는 '이 카드를 소환했을 때, 공격 대신에 상대 라이프에 '''50''' 데미지를 준다.'는 덤 수준의 효과가 있었다. 인게임 내의 [[스파크]]의 데미지와 동일한 수치. 여기서는 소환마족 중에서 염마족으로 설정되어있어 자신의 특징을 살리고있다.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II 계승된 기억]]에서는 앞면 표시가 된 초원 지형의 카드를 전부 파괴하는 효과를 가진 강력한 카드였다. == 스픽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DrollBird-B01-JP-C.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스픽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일어판명칭=スピック, 영어판명칭=Droll Bird, 레벨=2, 속성=바람, 종족=비행야수족, 공격력=600, 수비력=500, 효과외1=부리를 아주 크게 벌리고 큰 소리로 울어 소심한 상대를 놀라게 한다.)]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4#그레이트 빌|그레이트 빌]]의 [[팔레트 스왑]]. 아주 초창기 [[부스터(유희왕)|부스터]]에서 발매되었던 카드다. 어째 이상하게 TCG에서는 고레어도로 발매되었다. 영문판 이름이 이름이 [[드롤 & 로크 버드]]와 비슷하기 때문에 엮이는 경우도 있다. [[http://livedoor.blogimg.jp/kaineyes/imgs/2/4/246c2281.jpg|#]] 이렇게.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부스터(유희왕)|BOOSTER 1]] || || [[노멀]] || 일본 || 일본 최초 수록 || || World Championship 2010 Card Pack || WCPP-EN001 || [[레어]] || 미국 || 세계 최초 수록 || || World Championship 2011 Card Pack || WP11-EN001 || [[슈퍼 레어]] || 미국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드롤 & 로크 버드, version=36)] == 사타나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PhantomDewan-B01-JP-C.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사타나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일어판명칭=サターナ, 영어판명칭=Phantom Dewan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레벨=2,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700, 수비력=600, 효과외1=상대에게 주문을 걸어\, 동작을 멈추게 할 수 있는 마법사.)] [[부스터(유희왕)|BOOSTER1]] 출신의 일반 몬스터로, 초기에 자주 있었던 무언가 효과를 가지고 있을 법한 [[플레이버 텍스트]]를 가진 몬스터. 하지만 이 능력치로는 적의 움직임을 멈추는 것도, 쓰러뜨리기도 힘들다. 레벨 2 어둠 속성 / 마법사족 일반 몬스터 중에서는 공격력이 가장 높은데다 여러 서포트 카드에 대응하는 편이며, [[인해전술(유희왕)|인해전술]]의 효과로 튀어나와 [[마법족의 결계]]에 [[마력 카운터]]를 놓거나 [[마법족의 마을]]의 락 콤보를 유지하는 경우로도 써먹을 수 있다.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II]]에서는 플레이버 텍스트대로 적의 움직임을 3턴동안 정지시키는 주술 효과가 있었다. == 매혹의 괴도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TheBewitchingPhantomThief-V2-JP-C.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매혹의 괴도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일어판명칭=魅惑(みわく)怪盗(かいとう), 영어판명칭=The Bewitching Phantom Thief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레벨=2,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700, 수비력=700, 효과외1=검은 망토를 걸친 고상한 괴도. 지팡이를 휘둘러서 상대를 매료시킨다.)] 레벨 2 / 마법사족 일반 몬스터 중에서는 허리켈 다음으로 공격력이 높으며, 어둠 속성 중에서는 가장 능력치가 높다. 일반 몬스터 축 마법사족 덱에서는 [[레스큐 래빗]]으로 리크루트하고 랭크 2짜리로 [[엑시즈 소환]]할 수 있다. [[유희왕 5D's]] 편에서는 [[후도 유세이]]가 [[타카스]]와의 듀얼에서 사용한 죄수들의 카드를 빌려 만든 덱의 카드로 등장. [[C(체인)|포이즌 체인]]의 효과로 묘지로 보내져 사용되지는 않았다.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II]]에서는 공격시 범위형 함정 카드의 영향을 받지 않는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온다. 본 게임에서는 [[흰 도둑]]을 비롯해 이런 효과를 가진 몬스터가 많은데, 그다지 쓸만한 효과라고 하긴 힘들지만 있어서 나쁠 건 없다고 할 수 있다. == 심연에 핀 꽃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AbyssFlower-B02-JP-C.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심연에 핀 꽃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일어판명칭=深淵(しんえん)()(はな), 영어판명칭=Abyss Flower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레벨=2, 속성=땅, 종족=식물족, 공격력=750, 수비력=400, 효과외1=빛이 닿지 않는 심연에 조용히 피어 그다지 눈에 띄지 않는 꽃.)] 어쩌면 눈에 띄지 않는 것이 본인한테 더 좋을지도 모른다. [[플랜트(유희왕)|다크 플랜트]]의 [[팔레트 스왑]] 버전. == 미드나이트 데블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MidnightFiend-B01-JP-C.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미드나이트 데블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일어판명칭=ミッドナイト・デビル, 영어판명칭=Midnight Fiend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레벨=2,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800, 수비력=600, 효과외1=심야에 나타나는 요괴새. 불러내려면 제물이 필요하다고 한다.)] [[플레이버 텍스트]]에서는 제물이 필요하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하급 몬스터이기 때문에 [[그런 거 없다]]. [[매직 더 개더링]]의 카드인 [[모린펜]]과 구도가 꽤 흡사한 편. == 식인꽃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ManEater-V2-JP-C.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식인꽃, 일어판명칭=マンイーター, 영어판명칭=Man Eater, 레벨=2, 속성=땅, 종족=식물족, 공격력=800, 수비력=600, 효과외1=사람을 잡아먹는 식인꽃. 독이 든 촉수로 공격해 온다.)] [[플랜트(유희왕)|텐터클 플랜트]]의 팔레트 스왑 버전. == 야자 나무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Yashinoki-B03-JP-C.pn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야자 나무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일어판명칭=ヤシの(), 영어판명칭=Yashinoki, 레벨=2, 속성=땅, 종족=식물족, 공격력=800, 수비력=600, 효과외1=의지를 가진 야자 나무. 열매를 떨어뜨려 공격한다. 열매 속의 과즙은 맛있다.)] [[버섯맨]], [[식인 식물]], [[#식인꽃|식인꽃]]과 능력치가 완벽하게 일치한다. ~~어차피 능력치 겹치는 카드들은 차고 넘쳐나니 중요하진 않지만.~~ [[팔레트 스왑]] 버전으로는 [[장미에 사는 악령#스네이크 팜|스네이크 팜]]이 있다. 말 그대로 [[야자나무]]라서 그런지, 더 밸류어블 북의 설명으로는 '열매 속의 우유을 목적으로 뿌리째 여러 곳으로 불려나가는 가엾은 몬스터'라 소개되어있다. == 섀도우 파이터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Kageningen-SB-JP-C.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섀도우 파이터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일어판명칭=シャドウ・ファイター, 영어판명칭=Kageningen, 레벨=2, 속성=어둠, 종족=전사족, 공격력=800, 수비력=600, 효과외1=실체와 그림자로 나뉘어서 습격해온다. 방심하면 빠져나오기 어렵다.)] 귀중한 레벨 2의 전사족 일반 몬스터지만 같은 조건의 도론보다도 공격력이 밀리며, [[데브리 드래곤]]에 대응하는 [[가면(유희왕)|가면의 어릿광대]]도 존재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1화에서는 [[죠노우치 카츠야]]의 패에 들어가 있는 것으로 나왔다. [[유희왕 5D's]] [[유희왕 5D's/WRGP 편|WRGP 편]]에서는 [[팀 태양]]의 타로가 [[후도 유세이]]와의 듀얼 중 '어리석은 자의 주사위'의 발동 코스트로 묘지에 보낸 것으로 등장. 영어판 이름은 '그림자 인간'의 일본어 발음을 그대로 옮긴 것. == 파이어 아이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FireEye-B1-JP-C.pn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파이어 아이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일어판명칭=ファイヤー・アイ, 영어판명칭=Fire Eye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레벨=2, 속성=화염, 종족=화염족, 공격력=800, 수비력=600, 효과외1=화염에 휩싸인 눈동자. 날갯짓으로 화염의 바람을 일으킨다.)] 레벨 2 / 화염 속성 / 화염족 일반 몬스터 중에서는 가장 공격력이 높으며, 효과 몬스터를 포함해도 2번째로 높다. 다만 여전히 높은 능력치라고 할 수 없는데다 속성과 종족 특성 상 활용할 여지가 적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34화에서는 엑스트라로 등장. == 원혼 집합체 == [[파일:external/www.g-root.jp/tc00043.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원혼 집합체, 일어판명칭=怨念集合体(おんねんしゅうごうたい), 영어판명칭=Souls of the Forgotten, 레벨=2,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900, 수비력=200, 효과외1=원한을 풀지 못한채 죽은 사람들의 의식이 모여 생긴 악령. 사람을 습격한 후\, 그 의식을 사로잡아 점점 거대화해 간다.)] 레벨 2 이하 악마족 일반 몬스터 중에서는 최대의 공격력. 하지만 [[플레이버 텍스트]]대로 [[거대화(유희왕)|거대화]]를 장착해도 공격력이 고작 1800이라 도저히 써먹을 수 없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본선 편|배틀 시티 본선 편]]에서는 [[바쿠라 료|어둠의 바쿠라]]가 소환한 뒤 [[암흑 성역]]의 유지 코스트를 위한 제물이 되었다. 이때 어째서인지 일러스트 속의 보라색 모습이 아닌 흰색의 모습으로 바뀌어 나왔었다. == 허리켈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Hurricail-B1-JP-C.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허리켈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일어판명칭=ハリケル, 영어판명칭=Hurricail, 레벨=2, 속성=바람, 종족=마법사족, 공격력=900, 수비력=200, 효과외1=황야에서 더욱 거친 회오리. 바람의 칼날로 상대를 공격한다.)] 바람을 조종한다는 의미로 마법사족이 된 몬스터는 많지만, 이 카드의 디자인은 그냥 [[회오리]] 그 자체다. 현존하는 종족 중 바람에 직접 대응하는 종족이 없어서 이렇게 된 것으로 보인다. 비슷한 사례로 [[게이트 가디언|풍 마신-휴가]], [[제넥스|제넥스 블래스트]][* 이 카드는 더 기이한 사례로, 제넥스 구성원의 특성 상 생김새는 영락없이 기계족에 가까운데도 마법사족이 되었다.] 등이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도마 편|도마 편]]에서는 [[아이언하트]]가 망령 몬스터를 해치울 때 소환하는 것으로 등장했다. == 도론 == [[파일:external/www.yugioh-kaitori.com/B1-16.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도론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일어판명칭=ドローン, 영어판명칭=Doron, 레벨=2,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900, 수비력=500, 효과외1=도로론으로 몸을 나눠서 협공을 해온다. 방심하지 말 것.)] [[C(체인)|C.슈터]]가 등장하기 전까지 레벨 2의 전사족 중 최고의 공격력을 지녔던 몬스터. 카드명 자체는 픽션 작품에서 [[닌자]]가 연막을 치고 사라질 때 쓰이는 의태어 '도론(どろん)'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나, 어찌된 것이 하등 상관 없는 [[드론]]의 일어 표기와도 겹치게 되었다. 덕분에 [[블러드 셰퍼드]]의 [[드론(유희왕)|드론]] 카드군이 OCG화 불발되는 것에 한몫 거들게 됐다. 이름에 '드로우(ドロー)'가 들어가서인지 [[유희왕 GX]]에서는 드로우 덱을 사용하는 [[타이잔 타이라]]가 사용하는 것으로 나왔다. 기적의 드로우!라는 카드의 효과로 뽑은 카드를 맞추면 쥬다이가 데미지를 받고 패배하는 상황에서 [[실드 크러시]]를 선언하고 드로우했으나, 정작 이 카드가 뽑히는 바람에 타이잔 본인이 데미지를 받게 되었다. 소환 뒤 공격할 때는 [[플레이버 텍스트]]대로 분신 여러 개를 보내 때리는 방식으로 [[유우키 쥬다이]]에게 다이렉트 어택을 했다. 공격명은 '오도론(オドローン)'. == 웃는 꽃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LaughingFlower-V6-JP-C.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웃는 꽃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일어판명칭=(わら)(ハナ), 영어판명칭=Laughing Flower (미발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번역명), 레벨=2, 속성=땅, 종족=식물족, 공격력=900, 수비력=500, 효과외1=항상 웃고 있는 꽃. 웃음소리를 계속 듣고 있으면 머리가 혼란스러워진다.)] ~~웃고 있는게 아니라 울고 있는것 같은데~~ 레벨 2 식물족 [[일반 몬스터]] 중에서는 공격력이 가장 높으며, 식물족 이외 레벨 2 일반 몬스터 중에서도 공동 4위의 공격력을 지녔다. 식물족 튜너와 함께 [[탄호이저 게이트(유희왕)|탄호이저 게이트]]에 맞춰 [[싱크로 소환]]을 노리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것이다.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2에서는 전투로 리버스했을 때 그 몬스터의 컨트롤을 턴 종료시까지 얻는다는 효과가 있었다. [[플레이버 텍스트]]의 내용을 활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문서 맨 위에서 언급한 세계 대회 금제 목록을 보면 언제나 최하단에 적혀 있는데, 이름이 [[일본어]] [[오십음도]] 순으로 가장 밑에 있는 わ로 시작하기 때문이다. (わらうはな) 오십음도에는 그 밑으로도 を, ん이 있지만 이 두 글자는 일본어 구조상 맨 앞에 올 일이 거의 없다. == 대포 오뚜기 ==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a804687f.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대포 오뚜기, 일어판명칭=大砲(たいほう)だるま, 영어판명칭=Dharma Cannon, 레벨=2,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900, 수비력=500, 효과외1=대포로 무장한 기계 오뚜기. 목표물은 놓치지 않는다.)] 모티브는 [[다루마]]. 레벨 2 / 기계족 [[일반 몬스터]]치고는 가장 높은 공격력을 가졌지만, [[트라이앵글 파워]]에 대응하는 [[배트]]나 [[트라이클러|언사이클러]]를 쓰는 쪽이 화력도 높고 돌아오는 이익도 크다. 채용할 경우엔 [[로우 레벨]] 덱에 채용하는 편이 낫다고 볼 수 있겠지만 기계족으로서 가지는 이점도 딱히 큰 편은 아니며, 화염족을 섞거나 해서 [[중폭격금 폭탄 페넥스]]의 소재로 쓰는 방법도 있지만 전용 서포트 카드에 [[기계 복제술]]도 대응하는 [[마장기관차 데코이치|마화물차량 보코이치]]라는 카드가 존재한다. 해외판에서는 대포나 피스톨이 붙은 일러스트가 레이저포로 바뀌는 경우가 다반사지만 드물게도 이 카드는 변경되지 않았다. 하지만 게임 등에서 등장하는 일러스트에는 얄짤없이 배색이 변경되었다. 이후 [[다크윙 블래스트]] TCG 선행 발매 카드인 [[마포전기 오뚜기 카르마]]로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등장. 묘하게 플레이버 텍스트에 들어맞게 되었다. 여담으로 이 카드의 한글명은 맞춤법 오류에 의한 일종의 오역이다. [[오뚜기]]는 비표준어이며 한국의 식품 회사를 지칭하는 고유명사고, 올바르게 쓴다면 '오뚝이'가 맞는 표현.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 version=644, paragraph=2, title2=습지초원, version2=115)] [[분류:유희왕/OCG/일반 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