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include(틀: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유니폼 역사)] [[파일:uAll.jpg||width=100%]] [목차] == 역대 유니폼 == === 1990년~1990년 === || {{{#ffffff '''1990 유니폼'''}}} || || [[파일:1990 First (PUMA).jpg|width=100%]] || || {{{#ffffff '''주 유니폼'''}}} || 기존 유니폼 디자인에서 스폰서만 [[아디다스]] → [[푸마(브랜드)|푸마]]로 변경되었다. === 1991년~1991년: [[기린컵|1991 기린컵]] === ||<-2> {{{#ffffff '''1991 유니폼'''}}} || ||<-2> [[파일:1991 KIRIN CUPTAKEDA Nobuhiro.jpg|width=100%]] || ||<-2> {{{#ffffff '''주 유니폼 (다케다 노부히로)'''}}} || ||<-2> [[파일:1991 Second (ASICS).jpg|width=100%]] || ||<-2> {{{#cc3333 '''보조 유니폼 (다케다 노부히로)'''}}} || 기존 유니폼 디자인에서 스폰서만 [[푸마(브랜드)|푸마]] → [[아식스]]로 변경되었다. === 1992년~1992년: [[기린컵|1992 기린컵]], 1992 다이너스 티컵 === ||<-2> {{{#ffcc33 '''1992 유니폼'''}}} || ||<-2> [[파일:1992 KIRIN CUP HASHIRATANI Tetsuji.jpg|width=100%]] || ||<-2> {{{#ffcc33 '''주 유니폼 (하시라타니 데쓰지)'''}}} || ||<-2> [[파일:1992 Second Model (adidas).jpg|width=100%]] || ||<-2> {{{#333366 '''보조 유니폼'''}}} || 요코야마 체제가 끝나고 첫 외국인 감독, 한스 오프트 감독을 맞이한 신생 일본 대표팀이 처음으로 착용한 유니폼. 이 유니폼은 1992 [[기린컵]]에서 처음입었다. "오프트 재팬"[* 우리나라의 벤투호 같은 별명으로 보임]는 8월 다이너스 티컵에서 첫 우승을 한다. 성적이 좋았던 유니폼이었지만, 10월 아시안 컵에서는 새로운 디자인의 유니폼을 착용한다. === 1992년~1992년: [[1992 AFC 아시안컵 일본]] === || {{{#ffffff '''1992 유니폼'''}}} || || [[파일:1992 Asian CupIHARA Masami.jpg|width=100%]] || || {{{#ffffff '''주 유니폼 (이하라 마사미)'''}}} || J리그 출범과 프로화가 한번에 진행된 일본 축구계에 1992년 히로시마 아시안 컵을 개최하였다. 이 대회를 위해 새로 디자인한 유니폼은 전례없는 참신한 디자인으로 바뀌었다. 그 동안 추세로 보면 위화감을 주었지만 J리그 출범팀들의 유니폼은 더욱 화려해 시대의 흐름에 맞는 모델 체인지라 할 수 있었다. 이 유니폼을 처음 사용한 대회인 [[1992 AFC 아시안컵 일본|1992년 일본 아시안컵]]에서 일본 사상 첫 아시안컵 우승을 달성하게 된다. 추가로 이 대회 MVP 선수로는 [[미우라 카즈요시]]가 선정되었다. === 1993년~1994년: [[1994 FIFA 월드컵 미국]] 아시아 지역 최종예선 === || {{{#333399 '''1993~1994 유니폼'''}}} || || [[파일:1993 World Cup USA Qualifiers Second (PUMA).jpg|width=100%]] || || {{{#333399 '''보조 유니폼'''}}} || 기존 유니폼 디자인에서 스폰서만 [[아디다스]] → [[푸마(브랜드)|푸마]]로 변경되었다. [[1992 AFC 아시안컵 일본|1992년 일본 아시안컵]]에서 디자인 된 유니폼을 흰색 베이스로 변경한 버전. 보조 유니폼으로 사용되었다. 다만, 아시아 컵에선 착용하지 않고, 1993년 10월 도하에서 열린 [[1994 FIFA 월드컵 미국|1994년 미국 월드컵]] 아시아 최종 예선 이란전에서 처음 착용되었다. 해당 경기는 이란에게 1-2로 패배하였다. 이후 북한에게 3-0, 대한민국에게 1-0으로 승리하였지만.. 경기종료 42초[* 정확하게는 후반 추가시간 1분 중 18초 지난 후반 45분 18초 [[https://youtu.be/hY9HT9vonbs?t=5]]] 전에 터진 [[도하의 기적]]으로 [[1994 FIFA 월드컵 미국|1994년 미국 월드컵]] 본선 진출행 티켓은 일본에서 대한민국으로 넘어가버렸다. === 1994년~1994년 === ||<-2> {{{#ffffff '''1994 유니폼'''}}} || ||<-2> [[파일:1994 NODA Akemi.jpg|width=100%]] || ||<-2> {{{#ffffff '''주 유니폼 (노다 아케미)'''}}} || ||<-2> [[파일:1994 HANDA Etsuko.jpg|width=100%]] || ||<-2> {{{#333399 '''보조 유니폼 (한다 에쓰코)'''}}} || 기존 유니폼 디자인에서 스폰서만 [[푸마(브랜드)|푸마]] → [[아식스]]로 변경되었다. === 1995년~1995년 === || {{{#ffffff '''1995 유니폼'''}}} || || [[파일:1995 MIURA Kazuyoshi.jpg|width=100%]] || || {{{#ffffff '''주 유니폼 (미우라 카즈요시)'''}}} || 기존 유니폼 디자인에서 스폰서만 [[아식스]] → [[아디다스]]로 변경되었다. === 1996년~1996년: [[기린컵|1996 기린컵]], [[1996 애틀랜타 올림픽]] === ||<-2><#222222><:>[[파일:Olympic_Japan_Team_1996_sp.png|width=100%]]|| || {{{#ffffff '''1996 유니폼'''}}} || || [[파일:1996 Atlanta Olympics MAEZONO Masakiyo.jpg|width=100%]] || || {{{#ffffff '''주 유니폼 (마에조노 마사키요)'''}}} || 스폰서가 [[아디다스]] → [[아식스]]로 변경되었다. 1996년 5월 [[기린컵]]때 부터 새롭게 등장한 유니폼은 전면의 무늬가 없어지고, 심플하게 옷깃 맞춤 부분의 붉은색과 양팔에 불꽃이 디자인된 점이 특징이다. 왼쪽 가슴의 일본 축구 협회 로고 또한 변경되었다. === 1997년~1997년: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예선 === || {{{#ffffff '''1997 유니폼'''}}} || || [[파일:1997 World Cup Qualifiers OKANO Masayuki.jpg|width=100%]] || || {{{#ffffff '''주 유니폼 (오카노 마사유키)'''}}} || 스폰서가 [[아식스]] → [[아디다스]]로 변경되었다. [[1998 프랑스 월드컵]] 예선을 치루는 도중 [[도쿄 대첩(축구)|도쿄 대첩]] 이후 부진으로 가모 슈 감독이 사임하고 [[오카다 타케시]]가 감독을 맡는 등 고생을 했었지만, 마지막은 [[조호르바루의 환희|조호르바루에서의 플레이오프]]에서 이란을 꺾고 첫 진출해 기념할 만한 디자인이다. === 1998년~1998년: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본선 === ||<-2> {{{#ffffff '''1998 유니폼'''}}} || ||<-2> [[파일:1998 World Cup LOPES Wagner.jpg|width=100%]] || ||<-2> {{{#ffffff '''주 유니폼 (로페스 와그너)'''}}} || ||<-2> [[파일:1998 World Cup IHARA Masami.jpg|width=100%]] || ||<-2> {{{#003399 '''보조 유니폼 (이하라 마사미)'''}}} || ||<-2> [[파일:1998 World Cup KOJIMA Nobuyuki.jpg|width=100%]] || ||<-2> {{{#ffffff '''골키퍼 유니폼 (코지마 노부유키)'''}}} || 스폰서가 [[아디다스]] → [[아식스]]로 변경되었다. 해당 유니폼은 [[1998 프랑스 월드컵]] 본선에서 착용하였다. 디자인은 팔소매의 불꽃 모양, JFA 엠블럼 아래에 'FIFA WORLD CUP FRANCE 98'이라는 노란 문구 추가 등 디테일한 부분 몇 가지를 제외하면 [[1998 프랑스 월드컵]] 예선 때 착용한 아디다스 버전과 거의 동일했다. 굳이 본선에서만 아식스를 사용한 이유는 추정컨대 일본의 첫 월드컵 본선이었으므로 첫 월드컵 본선만큼은 자국 브랜드를 착용하고 싶어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당시의 유니폼이 소위 '불꽃' 유니폼이라고 해서 디자인이 굉장히 좋았고, 당시 [[도쿄 대첩]]의 임팩트와 맞물려 우리나라 축구팬들도 많이 기억하고 있다.[* 참고로 당시의 한국 국대 유니폼도 소위 '물결무늬' 유니폼이라고 해서 특정한 무늬의 디자인이 들어가서 유행했다는 점에서 상황이 비슷하다.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유니폼/1990년대#s-2.2.3|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 참조.] 그리고 [[캡틴 츠바사]] 월드 유스 편에서 월드 유스 본선에서 이 유니폼을 입기도 했다. 사족으로 [[테크모 월드컵 98]] 게임에서는 일본팀의 홈 유니폼은 이 유니폼이 아닌 [[FC 도쿄]] 팀의 디자인 유니폼을 입는다.[* 해당 게임은 제목 그대로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가 배경 대회여서 선수들이 그 시절에 착용하던 유니폼을 입게 되어 있는데(정확히는 실제로 [[1996 애틀랜타 올림픽]]~[[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예선전에 착용하던 유니폼이다.) 일본팀의 경우는 라이센스를 구하지 못해 유독 현실과 차이가 심하다. 그래도 인게임 내에서의 일본팀의 어웨이 유니폼은 홈 유니폼에 비하면 그나마 상대적으로 현실과 비슷하기는 하지만 팔, 다리 소매에 불꽃 무늬가 없을 뿐더러 하의가 현실이랑은 달리 파란색이 아닌 흰색이기도 하고 그 외에 디테일한 부분 몇 가지도 다르다. 오죽하면 해당 게임과 현실을 비교하면 공통점이라고는 양말이 전부일 정도.] 골키퍼가 무작위로 이 골키퍼 유니폼을 착용하기도 한다.[* 다만 인게임 내에서는 특정 국가팀의 골키퍼가 항상 이 골키퍼 유니폼을 착용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일본팀의 골키퍼라고 해서 항상 이 골키퍼 유니폼만을 착용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디자인의 골키퍼 유티폼을 입는 경우도 많다. 심지어 일본이 아닌 팀의 골키퍼가 이 골키퍼 유니폼을 입는 경우도 종종 있다.] === 1999년~2000년: [[2000 시드니 올림픽]] === ||<-2><#222222><:>[[파일:Olympic_Japan_Team_2000_sp.png|width=100%]]|| ||<-2> {{{#ffffff '''1999~2000 유니폼'''}}} || ||<-2> [[파일:1999 Sydney Olympics Qualifiers TAKAHARA Naohiro.jpg|width=100%]] || ||<-2> {{{#ffffff '''주 유니폼 (다카하라 나오히로)'''}}} || ||<-2> [[파일:1999 Second (adidas).jpg|width=100%]] || ||<-2> {{{#666699 '''보조 유니폼'''}}} || 스폰서가 [[아식스]] → [[아디다스]]로 변경되었다. 이 유니폼 이후로 일본 국가대표팀 유니폼은 [[아디다스]] 재팬에서 디자인 및 제작하게 된다. 주 유니폼에는 측면과 소매에 흰색 선이, 보조 유니폼에는 파랑색 선이 특징이다. 1998년 일본 대표팀은 [[2002 한일 월드컵]] 개최를 위해 [[필립 트루시에]] 감독을 선임하였다. 트루시에 감독은 [[2000 시드니 올림픽]]을 목표로 하는 U-23 국가 대표팀과 [[FIFA U-20 월드컵|1999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는 U-20 국가 대표팀, [[2000 AFC 아시안컵 레바논]] 대표팀을 지휘하였다. 당시 팀 성적은 U-23 국가 대표팀은 [[2000 시드니 올림픽]] 8강 진출, U-20 국가대표팀은 [[FIFA U-20 월드컵|1999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 [[2000 AFC 아시안컵 레바논]] 대표팀은 우승을 기록하였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유니폼, version=279)] [[분류: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유니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