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 관련 문서)] [목차] == 역사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일본/경제, version=2300)] 일본은 [[지진]] 등 지각활동이 활발한 탓에 한때 전 세계 [[은]] 생산량의 3분의 1을 차지할 만큼 상당한 규모의 은 보유국이었고, 덕분에 15세기 [[센고쿠 시대]] 때부터 [[포르투갈]] 등 일부 서양 국가들과 교류를 시작할 수 있었다. 게다가 동전의 재료로 쓰이는 [[구리]]도 풍부하게 생산되었기 때문에 17세기 이후 [[에도 막부]] 시기에는 화폐 경제를 통한 상업의 발전을 이룰 수 있었다. 또한 이 시기에는 [[쇄국]]을 유지하면서도 [[데지마]]를 통해 [[네덜란드]]와 부분적으로나마 교류하면서 꾸준히 서양 세계와 접촉해왔다. 1850년대 [[쿠로후네 사건]]을 계기로 서구 열강들에게 개항을 하게 된 일본은 처음엔 물가가 폭등하는 등 혼란을 겪었다. === [[일본 제국]] 시절 === 서구 열강을 맞아 개항을 한 일본은 처음에는 물가가 급등했지만, [[메이지 유신]] 이후 [[근대화]]로 경기가 개선된다. 그 전까지는 선진 공업국이라고 보기 어려웠던 일본은, [[제1차 세계 대전]]이 터지자 전쟁 특수로 수출이 수입을 추월하면서 만성 무역적자국에서 무역흑자국이 되었다. 물론 당시의 조선이나 중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아시아 국가보다야 훨씬 잘 살던 [[중진국]] 수준이었지만, [[선진국|서구 열강과 미국]]에 비해서는 한참 뒤처져 있었다.[* 일본 경제가 선진국 수준이 된 것이 이보다 한참 뒤인 1970년대부터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자 일본은 다시 무역적자국으로 되돌아갔다. 하지만 1890~1910년 내내 일본의 [[중공업]] 발전은 세계 평균의 2배에 달할정도로 꾸준히 발달하였고 무역적자의 대부분의 서구의 제조업 장비수입이나 기술, 경협에 의한것으로 일본 자체에겐 큰 문제는 아니였다. 실제로 1차대전까지만 해도 일본 경제비중의 80%를 차지하던 농업이 1929년엔 20%까지 떨어지며 공업선진국으로 도약하게 된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우향이긴해도 [[러일전쟁]]으로 일본이 전쟁에는 이겼으나 전비의 지출때문에 극심한 빚을 지게 되는등 우여곡절을 겪었으므로 순항만 한것은 아니였다. 설상가상으로 1929년 미국발 [[대공황]]이 터지면서 일본 경제도 심각한 타격을 입게 되었다. 이 미국발 경제 위기를 일본이 그간 40년을 투자해 키워놓은 공업력으로 간신히 버텨냈으니 그 간의 오랜 투자가 위기 때 빛을 발한 셈.[* 1930~1935년 당시 일본의 경제력은 이탈리아를 압도하는 수준으로 완연한 공업선진 국가였다.] 대략적인 수치로, 1935년 1인당 국민 소득이 미국의 12% 정도였다.[* 식민지 제외. 타이완은 8%, 조선은 4%. 덤으로 중국대륙은 3%.] 그나마 인구가 많아서 경제 규모 자체는 작지 않았는데, 인구는 6위로 GDP는 9위에 해당하는, 어느 정도의 국민 소득과 꽤 많은 인구를 가진 지역 강대국이었다. 한마디로 어느정도의 소득을 가지고 있지만 많은 인구로 경제력이 높은 현대의 중국, 인도 정도의 느낌이다. 실제로 상대적인 관점으로 보면 당시 일본과 현재 중국의 질적 수준이 비슷하다. [* 2차대전 이전 일본의 소득이 미국의 16%였으며 2020년대 초반 기준 중국도 미국의 25% 정도 된다.] 또한 인구압 해소+경제 위기 타파를 목적으로 위해 [[만주]]를 점령한다. 당연히 중일관계는 크게 악화되었고 일본은 중국을 완전히 굴복시키려고 1937년 [[중일전쟁]]을 일으켰다. 1941년엔 [[미국]]을 상대로 [[진주만 공습]]을 단행하며 [[태평양 전쟁]]으로까지 전선을 확대시키며 경제적인 상황이 다시 악화되고 미국에게 패배 함으로써 일본 채권이 한순간에 나락으로 떨어지며 극심한 [[인플레이션]]과 [[실업]]에 시달리게 된다. === [[1950년대]] === 여기에 전후 [[일본 열도]]는 [[연합군 점령하 일본|미국에게 점령되었다]]. 미국은 [[일본군]]과 [[재벌]]을 해체하며 일본을 미국에 도전하지 못하는 농업국가로 만들기 위해 연합국최고사령부(GHQ)의 주도하에 연구단지, 기업등의 강제 해체 등 동원 가능한 각종 경제 재재를 가하게 된다. 하지만 곧 1948년 미국의 입장은 일본을 공산주의 남하를 막는 보루로 삼기 위해 제재를 해제하고 제국으로의 부활은 억누르되 경제는 일부분 풀어주기로 전환한다. [[국공내전]]이 의외로 국민당과 [[장제스]]에게 불리하게 전개되기 시작하며 공산당이 중국대륙을 먹을 가능성이 커지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1949년 결국 [[국부천대]]로 중국대륙이 공산당의 나라가 되어버리며 미국의 동아시아 외교 및 군사계획은 큰 타격을 받는다. 당시 상황을 보자면 1,2차 대전을 통해 미국은 세계 유일의 강대국으로 부상하였으나 심상치 않은 [[공산주의]] 이념의 확대가 미국의 최대 위협으로 부상 되었고 [[아시아]]에서 이를 막아줄 국가가 필요 하였는데 '''그게 가능한 유일한 국가가 일본이였다.''' 당시 일본은 전쟁 전부터 이미 공업 선진국였던데다 전쟁으로 인한 [[인플레이션]]과 [[실업]]으로 저렴한 인건비, 막대한 노동력을 무기삼어서 공격적인 [[생산]], [[수출]]로 전후 [[복구]]를 이미 하고 있었기에 전후 4년만에 이미 일본 국내 총생산은 약 90억엔을 돌파하여 미국이 딱히 달러를 투입할 필요도 없었고 막강한 공업력과 서방에 뒤쳐지지 않는 기초 과학력도 보유하고 있음은 이미 전쟁을 통해 직접 체험한데다, 미군정 아래에서 미국의 컨트롤을 받고 있었기에 미국이 이념방패로 휘두르기 딱 좋은 나라였기에 미국의 대일관계 전환이 이루어졌다..고 보는 연구들이 많다.(또한 유럽 강대국들에게 식민지 해방을 주창하던 미국이 언제까지고 미국의 식민지나 다름없는 군정국가들을 유지할수도 없는 노릇이였다). 여기에 닷지가 방일하여 일본의 재무재건에 참가함으로써 일본 경제제재를 하지 않겠다는 대외적인 입장을 미국은 몸으로 실천했으며 이때 닷지의 경제정책(일명 닷지라인)또한 일본 국내경기 안정에 도움이 된다. 이후 1950년 [[한반도]]에서 [[북한]]이 [[대한민국|남한]]을 기습 남침하며 [[6.25 전쟁]]이 터졌는데 '''이는 일본에게 생각치도 않은 경제 호재가 되었다.''' 미국이 드넓은 [[태평양]]을 사이에 두고 한반도와 지나치게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병참기지가 필요했는데 직전해인 [[국부천대|1949년 말 중국 대륙이 공산당의 손에 넘어가는]] 바람에 한반도 주변의 친미 국가가 일본 밖에 없어 일본이 낙점되었고, 덕분에 일본은 미군의 다양한 병참 역할을 소화하며 짧은 특수를 누렸다. 당시 일본이 한국전으로 이익을 본 금액은 1950년 일본 총생산의 3%에 달하는 약 3억 엔 규모였고, 1951년에도 2%에 달했다. 일본의 국가경제 규모에 비하면 소규모긴 했지만, 병참에 참가한 일부 기업들에겐 많은 도움이 되었는데 [[도요타]] 같은 군수 도움을 줄수 있는 분야의 중견 기업들이 큰 이익을 보았고 일부기업은 하늘의 도움이라고 표현할 정도로 악화된 경영실적을 단번에 흑자로 돌려놓았다. 기업뿐 아니라 특수 일자리 창출로 민생에도 영향을 끼친다. 이외에도 전쟁 중 한반도 전쟁에서 한계를 느낀 미국은 아시아에 강한 우방이 필요함을 다시 한번 느끼고 단순한 경제제재 완화가 아닌 완전한 경제제재 해제를 통해 일본이 빨리 성장하길 바라며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을 통해서 GHQ의 모든 경제 재제를 푸는데 합의를 한다(발효 1952년). 이로써 GHQ에 의해 강제 해체된 일본 경제의 중심축인 대기업들이 다시 생겨날수 있게 되었으며 일본의 억눌리던 잠재력이 완전히 해방되는 계기가 된다. 전전 일본 경제를 주름잡은 [[미쯔비시]], 도요타 같은 경제 족벌, 일명 자이바츠(財閥)들도 빠르게 강제해체되어 독립한 기업들을 다시 병합하여 [[대기업]]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에 그치지 않고 일본은 그동안 획득, 축적된 [[자본]]과 [[지식]]을 재투자하여 무역 장벽, [[기술]]·경영 혁신을 하였으며 1950년대 후반에 다시 아시아 제1의 경제대국 자리에 올랐고, 중국의 후퇴와 맞물려 [[아시아]] 제1의 경제대국이라는 타이틀을 따게 되었다.[* [[1980년대|1980]] ~ [[1990년대|90년대]] 이전 아시아 국가들은 몇몇 중동 산유국을 제외하면 대다수가 [[개발도상국]]이었다. 한국은 그중에서 [[최빈국]]이었다.] === [[1960년대]]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Ptk-HnC4DI)]}}}|| || 1960년대 초반 일본의 모습 || 195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전후 복구와 경제성장의 결과가 눈에 띄게 드러났음을 알 수 있다. 불과 20년도 채 되지 않아서 전쟁 전, 아니 그 이상의 모습으로 탈바꿈했다. [[1960년]] 일본의 1인당 GDP는 [[세계은행]] 통계 기준으로 475달러였는데, 이는 한국(158달러)의 3배이긴 했으나 미국(3007달러)의 1/7 수준이었고, 심지어 세계 평균(459달러)보다도 그렇게까지는 높지 않았던 만큼 당대 기준으로는 [[중진국]]에 불과했다. 물론 당대에도 일본은 아시아에서는 [[이스라엘]]을 제외하면 가장 잘 사는 나라이긴 했고 그 부를 과시하듯 [[DC-8|제트 여객기]]와 컬러 [[TV]]를 도입하기도 했으나 동시기 기준으로 전세계 국민총생산의 2.8%에 불과한 비율을 차지하던 만큼 당시 일본의 경제는 구미 선진국과 비교하면 확연히 뒤쳐졌다고 할 수 있었다.[* 그래도 동시기 기준으로 1인당 GDP가 세계 평균을 밑돌던 [[스페인]], [[포르투갈]]보다는 나았다. 스페인은 1962년, 포르투갈은 1968년에야 세계 평균을 넘기는 데에 성공했다. 사족으로 스페인, 포르투갈은 모두 1인당 GDP 세계 평균의 2배를 넘기는 것도 평균 초과로부터 20년도 더 뒤에야(스페인: 1986년, 포르투갈: 1991년) 겨우 이룩할 수 있었다.] 하지만 [[1960년대]] 중반 이후 일본은 무역장벽과 기술혁신, 민관의 아낌없는 투자와 일본에게 유리한 시대적 배경 등, 긍정적인 요소로 인해 상당한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였고 1965년 경에는 이미 영국, 프랑스와 맞먹는 세계 5~6위권의 경제대국으로 구미 선진국을 바짝 추격하는 상황이었다. 1964년 4월 26일에는 [[OECD]]에도 가입하게 되고 같은 해에는 [[1964 도쿄 올림픽]]도 치르며 일본의 경제 성장을 세계에 알렸다. 그런 일본의 약진에 긴장한 기존 선진국들에게 상당한 압력과 비난을 받았으나, 일본은 아랑곳하지 않고, 계속 성장을 거듭하여 [[1969년]]에는 [[독일]](당시 [[서독]])을 제치고 [[소련]]을 제외한 세계 2위의 경제대국으로 약 40년동안 자리를 굳히게 된다. 하지만 경제대국의 지위에 무색하게 당시 1인당 [[GDP]]는 세계 30위 수준에 불과했다.[* 이는 일본의 인구가 엄청 많았기 때문이다. 일본은 전간기에도 이미 주요국 중에서 소련, 미국 다음가는 인구를 자랑했고 50년대에는 인구 수가 세계 5위에 달했다. 일본이 70년대부터 저출산이 시작됐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인구 대국 중 하나로 뽑히는 이유이기도 하다.] 빈부격차도 매우 심해서 1960년대 도쿄는 (당시 기준으로) 최신식 빌딩과 허름한 목조가옥이 공존하는 풍경이 일상적이었다.[* 오사카, 나고야 같은 지방도시는 더했으며 10만 미만의 지방 소도시들은 종전 직후와 크게 다를 바가 없었다 한다. 1960년대 후반엔 이탈리아와 비슷한 소득을 보이고 70년대 부터 본격적으로 서민들의 경제가 점점 나아지기 시작한다. 마찬가지로 유럽(프랑스, 서독, 영국)도 이때부터 종전시기 흔적을 싹 뒤엎고 서민들도 풍족해진 시기다. 이때는 미국을 제외하면 서민들은 해외여행은 꿈같은 것이고 빈부격차도 심각했다. 그나마 서독이 복지를 신경써서 주변국이나 일본보다는 사정이 훨씬 나았다.] 세계적으로도 굉장히 이른 시기인 1960년 컬러 TV 방송이 시작되었음에도 컬러 TV가 워낙 비쌌기에 1967년까지 보급률이 0%대였던 상황에서 대다수 국민들은 아직 흑백 TV로 만족해야 했다. 여하튼 1968년 일본은 [[세계은행]] 통계 기준으로 1인당 GDP가 약 1451달러[* 2023년 환율로는 약 12802달러다.]를 기록하여 702달러[* 2023년 환율로는 약 6193달러다.]도 되지 않던 세계 평균의 2배를 기록하며 선진국 진입에 성공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로 미국은 약 4,696달러[* 2023년 환율로는 약 41430달러다.]였고 한국은 198달러[* 2023년 환율로는 약 1740달러다.]였다. 1969년엔 [[서독]]을 제치고 [[제1세계]] 2위의 경제대국이 되었다. === [[1970년대]]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b2qKvmLZ38)]}}}|| || 1970년대의 [[신주쿠]] || 이 시기 일본식 경제성장 모델에 북미식 경제모델을 결합하는 시도가 사회전반에 일어났는데 1970년대 터진 두 차례의 [[오일 쇼크]]에도 불구하고 산업 구조 개편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며 [[구미#s-2.1]] [[선진국]]들을 상회하는 수준의 경제성장률을 보였다. 이 때부터 선샤인60이나 게이오플라자호텔 등 초고층 건물이 다수 들어서면서 [[도쿄]]의 시가지가 현재와 같은 모습을 갖추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일본은 이미 도쿄의 도심에 [[자동문]]이 열리는 고층 빌딩도 많이 건립되었으며,[* 동시대 [[대한민국]] [[서울]]도 [[자동문]]이 열리는 건물이 있었지만 그런 건물은 극소수였다.] [[아시아]] 최초로 [[보잉 747]] 여객기(1970)와 [[맥도날드]](1971)[* 여담으로 같은 해 [[네덜란드]]에도 유럽 최초의 맥도날드가 들어왔다.]를 들여오기도 했다. [[1970년대]] 초반에는 국제통화위기([[1971년]])와 '''1차 [[오일 쇼크]]'''([[1973년]])로 인한 혼란을 겪었다. 오일쇼크 이후 일본은 경제구조를 [[3차산업]] 위주로 재편했다. 또한 마이크로 전자공학(microelectronics) 혁명을 비롯한 신기술 혁신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산업을 육성했다. 1970년대 후반기에 들어서 일본의 경제는 다시 순조롭게 성장했으며 당시 경제지표는 [[구미]] 선진국들과 비교해도 우수한 것이였다. 1970년대 일본은 낮은 실업률을 기록하였으며 안정된 노사 관계를 유지하였다. 사실 6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일본은 선진국이라 하기에는 다소 애매한 준선진국 수준이었지만[* 198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의 한국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이때부터 [[미국]]과 특히 60년대 중후반부터 식민지를 잃고 몰락하는 구 서유럽 식민제국들의 경제규모를 점점 넘어서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일본이 과연 미래에 미국을 추월할 가능성에 대한 분석도 나올 정도였다. 1970년대 중반부터 서민들의 경제적 수준도 그 전보다 대폭 향상되었다. 일본 국민들의 대다수가 2층집에 19인치 컬러TV를 들여놓고 준중형차 혹은 중형차[* 1970~80년대에는 일본에서도 중형차 이상의 큰 차를 선호하는 풍조가 있었다.] 자가용을 몰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래서 이 시기부터 80년대까지를 '''일억총중류'''(1억 인구가 중산층이 된) 시대로도 부른다. 물론 일본 최고의 품질관리상인 데밍상 자체가 [[미국인]]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고 [[CNC 공작기계]]도 미국에서 개발되어 1세계로 전파된 만큼 일본의 성장 기반 자체가 미국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었다. 일본만의 자체적인 기반을 만들어 미국을 뛰어넘지 않는 이상 절대 미국을 넘을 수 없는 게 근본 현실이었고 실제로도 실패하였다. 일본이 미국의 압력에 무력하게 굴복한 것도 위와 같은 현실이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 미국이 일본에게 가하던 압력은 장난 수준이 아니었다. [[관세]]는 물론이고 제품의 점유율[* 일본 반도체가 순식간에 망한 것도 미국의 힘을 빌린 것이었기 때문이다. 일본의 민중들이야 그것을 자신들의 힘으로 생각하였으나 본질적으로 미국의 힘으로 미국을 이기려고 하니 이길 수가 없었다. ]까지 마음대로 정했으며 이를 무시하거나 어기면 [[정치]], [[경제]], [[과학기술]] 등에서 무자비하게 압박하겠다고 [[협박]]하거나 [[플라자 합의|실제로 하기도 했다]]. 옛날 패권국들이 속국들에게 했던 것보다도 심해서 [[세계사]]에서도 전례를 찾기 힘들 정도였는데, [[일본 국세청]] 관련 인물인 오무라 오지로(大村大次郞)에 따르면 심지어 현재 일본의 막대한 부채조차 절대 다수가 당시 미국의 압력에 의해 어쩔 수 없이 굴복하면서 생긴 것으로 당시 일본의 부채는 선진국 중에서도 양호한 편이었고 경제 정책 또한 부채를 늘릴 계획은 없었다고 한다. === [[1980년대]] === [[1980년]] 이후 일본의 [[출산율]]은 점점 감소했지만, 여전히 [[1980년대]] 내내 연평균 4~5%대의 안정적인 성장을 하고 있었고 80년대의 [[일본 경제]]는 그야말로 탄탄대로였다. [[플라자 합의]]로 인해 [[엔화]]가치가 오르면서(85년의 달러당 239엔에서 88년의 달러당 121엔으로) [[1인당 국민소득]]도 81년 1만 달러에서 87년 2만 달러[* 당시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3480달러였다.]로 겨우 6년만에 두배 올랐으며, 88년에는 1인당 국민소득이 '''미국(!!)을 제치고 세계 4위에 올랐다.''' 만약 이때의 엔고가 없었다면 일본은 원래보다 3년 늦은 1990년에 국민소득 2만달러를 달성했을 것이라고 한다. '''Japan as No.1'''[* 1979년 출간된 에즈라 보글 [[하버드대]] 교수의 저서. 당시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풀네임은 Japan as Number One: Lessons for America. 당시 미국이 일본을 보고 배워야 한다고 할 만큼, 일본은 경제 모범생으로 확고한 자리매김을 했다.]이라는 말이 나온 것도 이 시대의 일이었다. 이 시기 [[일본인]]들은 "더 이상 외국의 경제 모델을 배울 필요가 없다."는 자부심까지 느끼게 되었으며, 일본식 [[호송선단]]형 경제 운영이 최선의 모델이라고 생각하기까지 이르렀다. 일본은 1980년에 [[화력 발전]]의 비중이 상당히 높아 전체의 약 67%에 달하였다. 이러한 일본의 가파른 상승세에 긴장한 미국 등 구미 선진국들은 일본을 지속적으로 압박했는데, 1980년대에 [[미일 반도체 협정]], [[플라자 합의]], [[루브르 합의]] 등으로 인해 수출 경쟁력이 매우 악화되었다. [[일본은행]]은 이를 타개하기 위해 저금리 통화 정책을 시행하였고, 이로 인해 일본 내수의 [[주식]]과 [[부동산]] 등 금융자산으로 막대한 유동성이 공급되며 [[1980년대 일본 거품경제|거품경제]]가 시작되었다.[* 이중 금리하락은 당시 미국의 눈치를 보다가 내렸는데 당시 눈치 덜 본 독일은 버블경제가 일어나지 않았다. 동시기 서구의 국가들은 실업과 [[인플레이션]]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일본의 저금리 정책으로 환리스크를 보유한 미국 채권 등이 일본 국내시장에 침투한 점도 큰 영향을 미쳤다. 1987년 철강 공업 구조조정에 성공하면서 경제가 다시 살아나, 일본의 국민소득은 처음으로 2만 달러를 돌파했다. 그리고 이듬해 1988년엔 무려 미국을 따라잡으며 국민소득 세계 4위에 올랐고, [[소련]]을 추월하며 국내총생산 세계 2위에 오르는 등 그야말로 전성기를 누렸다. 이때 당시 일본은 물론이고 미국 등지에서도 빠른 시일 내에 일본이 미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존재했을 정도로 일본의 경제력은 대단했다. [[1989년]] [[12월 29일]], [[닛케이 225]] 평균주가(日経平均株價)가 사상 최고치인 38,915엔 87센을 기록했다. === [[1990년대]], [[2000년대]]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97CREjyIyk)]}}}|| || Tokyo-1990 (2010 전시 비디오) || [[1990년]] 일본은 440조 1,249억 엔의 [[GDP]]를 달성하였다. 1인당 GDP는 미국의 81%까지 추격한다. 그러나 [[1991년]] [[2월]] [[닛케이]] 주가가 급락하기 시작하였다. [[1998년]] [[10월 19일]], 12,879엔 97센을 기록한다. 이것은 [[1989년]] 최고치에 비교하여 67%나 하락한 수치였다. 사실 일본의 불황이 오래 이어진 만큼, 불황에 진입하는 속도도 상당히 느렸다. 당장 [[1990년]] 일본의 경제성장률은 4.8%, [[1991년]]에는 3.4%였다. [[1992년]]부터 0%대로 진입하기는 하였지만 [[1990년대]] 초반에는 어차피 미국이나 유럽도 불황[* 사실 미국의 90년대 초반은 지나가는 짧고 가볍게 끝나서 이후 미국이 황금의 10년을 맞게 되었지만, 유럽의 불황과 높은 실업률은 몇 년 더 오래 갔다.]이었고, 한때 세계를 호령하던 구 [[소련]]은 체제 자체가 방금 망했으니, 일본의 경제 불황이 딱히 부각되지는 않았고, 40년간 세계 경제의 최우수 모범생이었던 일본 경제는 곧 회복될 것이라는 것이 당시의 분위기였다. 거기다 버블이 꺼지기는 했어도 1995년까지 성장은 계속되었고, 1995년의 일본경제의 최정점에서 일본의 명목 [[국내총생산|GDP]] 총액은 5조 4,508억 달러로 당시 미국의 GDP인 7조 6,640억달러의 '''71.12%'''까지 따라잡았다.[* 미국과 세계를 양분하던 초강대국이자 기존의 세계 2위의 GDP를 자랑하던 소련마저도 최전성기이던 60~70년대 당시 GDP가 미국의 50%대 정도였던 것을 감안하면 정말 대단한 것이다.] 괜히 1990년대 초반까지 할리우드 영화에서 일본의 위협이나 일본적 색채가 강조된 것이 아니다. 일단 1990년대 중반에 들어서 일본 경제는 [[1995년]] 2.7%, [[1996년]] 3.1% 성장하면서 느리게나마 회복세에 접어들긴 하였다. 그러나 [[1997년 외환위기|아시아 외환위기]]로 인해 주요 교역국이었던 일본의 불황도 더욱 연장되어 버렸다.[* 사실 [[1997년]] 4월에 소비세를 5%로 인상한 것도 컸다. 그 전까지는 확실히 경제가 회복할 기미가 보였는데, 이로 인한 소비 둔화가 아시아 금융위기와 맞물리면서 최악의 결과를 낳았다.] [[대한민국|한국]]이나 [[동남아시아]]처럼 [[외환위기]]로 국가 경제가 파탄나고 통화가치가 50% 이상 추락하는 일은 없었다. [[불경기]]였다고는 하지만 그 이전에 쌓아 올렸던 세계 2위의 경제력과 [[넘사벽]]급의 [[외환보유고]]로 버텨냈기 때문이다.[* 외한위기 직전 일본과 대한민국의 경제력 격차는 '''7~8배'''나 차이가 났었다.] 만약 일본 경제가 체급이 크지 않았거나 외환보유고가 부족했다면 일본도 한국처럼 외환위기를 겪었을지도 모른다. 1990년대 초중반까지만 해도 최고 실적을 누렸던 [[제조업]]이 경제구조의 안정성을 지켜 주었을 뿐만 아니라 고령화 문제도 본격적으로 악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1997년]]은 당시 일본의 암울했던 경제상황을 보여준 것인지 당시 일본한자능력검정협회가 선정한 [[올해의 한자]]도 "[[倒]](넘어질 도)"였다. 1990년대 말의 일본 경제는 주가 하락, [[실업률]] 폭등, 아시아 금융위기 주범이라는 지탄을 받았고 그로 인해 미국 [[빌 클린턴]] 정부로부터 경제 개방에 대한 강한 압력을 받았기도 하다. [[1998년]]부터는 소비세 인상에 따른 경기 악화를 겪었지만 이후 [[오부치 게이조]]의 강력한 경제 정책으로 [[잃어버린 10년/일본|잃어버린 10년]] 극복이 시작되었다. 또한 [[고이즈미 준이치로]]의 '고이즈미 개혁'이라 불리는 강력한 [[신자유주의]] 방식의 개혁과 큰 내수 시장을 기반으로 [[서비스업]] 중심으로 체제가 개편되며 어느 정도 불황에서 벗어나나 싶었지만, 2008년 미국발 [[대침체]]의 영향이 일본에도 불어닥치자 또다시 주저앉으며 이듬해 중국에게 세계 2위 경제대국 자리를 내어주고 말았다. === [[2010년대]] === [[2002년]]~[[2011년]] 10년간 일본의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4%에 불과했다.[* 다만 2004년부터 2007년까지는 연평균 2.3%의 성장률을 보이며 선방했다. 문제는 일본이 [[대침체|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타격을 제대로 받고는, 2010년에 그나마 일어서나 했더니 2011년엔 [[동일본 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라는 최악의 재앙이 연달아 터지면서 일본 경제는 점점 더 수렁에 빠져들었다.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5.8%로 하락했다. 2011년 8월, [[무디스]]는 일본의 국채 신용등급을 Aa2에서 Aa3로 강등해 일본 경제에 충격을 주었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1/11/15/2011111502283.html|#]] 이런 상황에서 2012년 [[아베 신조]] 총리가 집권하고 엔저정책을 펼치면서 상황이 조금씩 반전되었다. 아베 내각이 [[디플레이션]] 극복을 위해 무제한 [[양적완화]]를 필두로 한 [[아베노믹스]]를 시행하면서 일본 경제는 점차 활력을 되찾기 시작했다. 실제로 일본의 [[주가 지수]]인 [[닛케이 225]]는 아베 집권 전과 비교했을 때 2.1배 이상 상승하였고, 잃어버린 n년 돌입 이후 최고치인 24,000선을 돌파하기도 했다. 그 밖에도 국내총생산, 실업률 등 대부분 경제 지표들이 아베 내각 기간에 줄줄이 신기록을 경신했다. 물가 급상승을 각오하고 시중에 돈을 푸는 한편 수출에 힘쓴 것이 [[아베노믹스]]의 특징인데 그 결과 1980년대 수준은 아니지만 고교생과 대학생들이 기업을 골라가는 시대가 다시 도래한 것. 2015년 7월 기준 일본의 대학생 취업률은 무려 96.7%에 이르러 사실상 완전고용 상태이며 고교생도 그보다는 조금 낮지만 비슷한 취업률을 보여 자기가 맘만 먹으면 취업 자체에는 문제가 전혀 없게 되었다. 게다가 취직의 질도 날이 갈수록 나아지고 있어 그야말로 1990년대 한국을 연상하게 하는 상황이다.[* 다만 이쪽은 대학진학률 자체가 낮을 뿐더러, 한국과는 달리 4학년때 사실상의 취업 활동이 마무리되고 (내정) 그 시점에 중소기업 공장 중규직이라도 불만없이 가야 하는 문화도 같이 고려해 봐야 한다. 한국처럼 졸업 후 일자리를 계속 찾을 수 있는 문화가 아니다. [[http://m.media.daum.net/m/media/mainnews/newsview/20150806061613015|#]]] 다만 이는 아베노믹스 보다도 일본의 저출산이 더 큰 영향을 미쳤다고 봐야 한다는 의견도 많다. 한편 아베노믹스와 함께 GDP가 폭락하여 32,000달러대까지 추락했다. 다만 달러가치 GDP가 떨어진 거지 PPP는 오히려 성장하고 있었기 때문에 실제 경제 규모는 감소한 것이 아니라 증가했다. 한국도 이 점은 마찬가지인데, 2016년 6월 현재 25,000대까지 추락했지만 PPP는 계속 성장하고 있다. 사실 일본도 경제 위기를 겪던 시절에도 PPP는 계속 성장을 하는 편이었다. 하지만 2016년 들어서서 마이너스 금리에 대한 반작용으로 다시 엔화가 상승하고 있다.... 아베 총리는 더 강한 아베노믹스로 대처 하겠다고 했지만 잘 될지는 아직 의문... 단, 이론상으로 보면 지금 상태가 옛날 고평가 시절보다는 더 유리하기는 하다. '''그런데 핵폭탄이 터졌다.''' [[브렉시트]]의 여파로 4년동안 낮춰둔 엔화가 급등하면서 물거품이 되었다. [[브렉시트/세계 각국의 영향]] 문서 참조. 일본은 이번 브렉시트에서 가장 피해를 많이 본 국가중 하나다. 이 때문에 아베노믹스가 끝난 게 아니냐는 여론이 생기고 있다. 장기적으로 볼 때 이 사태를 잘 수습하지 못하면 큰 악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부품 제조회사인 [[타카타]]가 에어백 결함을 숨기다가 파산해버렸다. '''일본 제조업체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최대 규모의 파산'''이다. 타카타에는 1차 하청업체만 일본 내 130여곳이 있었다고 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9362469|연합뉴스 기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0&aid=0003075431|동아일보 기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52&aid=0001026484|YTN 기사]] 아베노믹스 이후 최초로 세수가 20조원이나 미달이 나는 상황이 벌어졌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6/29/0200000000AKR20170629054900009.HTML?input=1195m|#]] 현재 일본의 [[국채]]가 바닥나서 통화정책의 한계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http://news1.kr/articles/?2750543|#]] 환율을 어떻게든 만져보려 하고 있지만 일본의 통화정책의 한계가 극심하다는 듯 하다. [[http://news1.kr/articles/?2916945|#]] 다만 일본 내에서는 잃어버린 20년은 이제 빠져나올 수 있었다고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위와 같이 대기업들의 파산 사건이 줄지어 일어나고 있음에도 현 일본 경제가 그다지 큰 타격을 겪지 않는 것에는 지난 몇년간 내각에서 일본 내의 관광업을 적극 육성하는 쪽으로 결정을 내렸기 때문이다. 한국에서는 아베노믹스의 내용에 대해 [[양적완화]]를 부각시키고 이민 진흥책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일본 내에서는 이민을 완화하는 김에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관광업도 함께 육성하자는 목소리가 높았고, 그 결과로 지금과 같이 일본 전자업계의 추락에서 오는 경제적 충격을 완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물론 여전히 이것이 장기적으로 옳은 결정인지에 대해선 이견이 있을 수 있다. 길게 봤을 때는 제조업에 비해 관광업이 훨씬 불안정한 수입원인 것은 사실이기 때문이다.[* 2018년 기준으로는 이에 대한 부작용이 실제로 나타나고 있다. 금융시장에서는 아무런 이상 징후도 나타나지 않았음에도 단순히 일본 열도가 여름철에 평소보다 강한 [[태풍]]을 맞으면서 방일 관광객의 수가 크게 줄어든 것만으로 7~9월 분기에 마이너스 성장을 겪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연초에만 해도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 일이었다는 것에 문제가 있다.] 그러나 일본 전자업계의 추락은 이미 늦게 잡아도 2012년부터 [[월가]] [[헤지펀드]] 등을 통해 거론이 된 것이기 때문에, 이를 무시하지 않고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한 것만큼은 부정적으로 볼 것이 아니다.[*그런데 정작 2017년경부터 일본 정부는 “이제 잃어버린 10년을 극복했다!”는 식으로 선전을 해보거나 하기는 커녕 아예 '''“일본에게 잃어버린 10년 같은 건 처음부터 없었다”'''는 이상한 역사왜곡을 하며 삼천포로 빠지고 있다. 사실 처음부터 경제에는 그다지 관심이 없었던, 전형적인 [[권위주의]] 정부의 모습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지 않을 수가 없다.] [[2018년]] 5월 4일 일본 내각부는 일본 정부와 공공기관이 발행한 국공채의 잔액이 지난해(2017년) 연말 기준으로 '''1천42조 엔'''에 달한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일본의 국공채 발행 잔액은 2002년 601조 엔이었지만 2017년까지 '''15년 동안 73.37%나 늘어났다.''' 동일본 대지진 극복 등을 이유로 [[아베노믹스]]를 바탕으로한 대규모 양적완화가 계속 시행된 결과 '''일본의 국가부채가 사상 첫 1경을 돌파'''함에 따라 국공채 발행액이 이 같은 속도로 계속 늘어날 경우 앞으로 10년 후에 국가부도가 야기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상황이다. [[https://www.g-enews.com/view.php?ud=2018050214313518154a01bf698f_1&mobile=1|일본 국가부채 사상 첫 1경 돌파, 15년간 73.37% 증가 … 2027년 기초적 재정수지 흑자 목표]] 참고로 일본의 GDP 대비 부채 비율은 [[2002년]]에 처음으로 GDP 대비 부채 비율이 '''100%를 돌파'''했고, 이후로도 가파르게 상승하여 불과 9년만인 [[2011년]]에는 GDP 대비 '''200%를 돌파'''하고야 말았다. 2018년 10월 들어 [[닛케이 지수]]가 27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일본경제 전반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도 보인다. 그런 한편 일본의 철강 3위 업체인 [[고베 제강 데이터 날조 사건|고베제강의 무려 반세기에 걸친 품질 조작]], [[닛산자동차]]의 품질 데이터 조작, [[스바루(자동차)]]의 30년 이상 품질 데이터 조작 등이 발각되면서 '메이드 인 재팬' 제조업 신화의 붕괴우려가 전세계 언론들의 입에서 나오고 있다. [[http://news.mt.co.kr/mtview.php?no=2017101114224527154&VN|'고베제강 사태' 일파만파…'메이드 인 재팬' 위기로 번졌다]]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7070283201|파벌·실적주의 골병 든 일본 기업…'회계 스캔들'은 예고된 추락이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1/24/0200000000AKR20171124060300009.HTML?input=1195m|日 기업들 줄잇는 조작·부정 스캔들은 고질병인가]] 2019년 4분기에 마이너스 성장에 빠졌다.[[https://mainichi.jp/articles/20200217/k00/00m/020/067000c|#]] 2019년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56&aid=0010654233|101조 엔(약 1,000조 원)이 넘는 사상 최대 규모의 예산을 편성했다.]] 일본의 재정 규모가 확대되어 가는 상황이라면 모르겠으나 상술했듯 인구가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지금과 같이 윤전기를 돌리고 있는 것이 옳은 선택인가 하는 의문이 제시되고 있다. 이는 본질적으로 현대에 쓰는 지폐 또한 국가의 재정을 담보로 한 유가증권이기 때문이다. 과거에 쓰던 금은화나 태환화폐처럼 귀금속을 담보로 하지 않고 정부의 세수를 통해 직접 보증하고 있다는 점이 유일한 차이일 뿐이다. 실제로 해외 신평사들의 경우 일본이 이전의 세수 규모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문화 정책을 피할 수 없다고 본다. 물론 미국이 히스패닉들과 겪는 상황처럼 '''정치적 갈등도 수면 위로 올라올 가능성이 100%이다. ''' === [[2020년대]] === 세계적인 [[코로나 19]] 유행에 따라, 일본도 [[코로나 19]]에 휩쓸리게 되었다. 특히 코로나 확진자가 지나치게 많아서 일본내 거리두기와 대면접촉에 대해 크게 기피하면서 그에 관련된 업종들이 타격을 받았다. 때문에 이번 코로나에서 한국과 마찬가지로 일본도 경제 취약계층이 가장 크게 타격을 입었다. 유흥업에 종사하는 여성들이나 비정규직이나 가정교사를 하던 프리터등이 코로나로 인해 일본인들의 대면접촉 기피가 급증하면서 사업 자체의 수요가 크게 급락하면서 매출 타격을 받게 된 것.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10117/104953440/1|#]] [[http://ildaro.com/8824|@]] 아베 내각은 [[2020 도쿄 올림픽]]을 통해 올림픽 특수를 노림과 동시에 일본이 기나긴 불황에서 벗어났음을 세계에 과시하려 했으나, [[코로나19]] 펜데믹으로 인해 올림픽이 1년 연기로 인한 예산 소모, 무관중으로 개최되며 올림픽 특수는 사실상 수포로 돌아가고 말았다. [[미국-중국 무역 전쟁]]으로 반도체 수급이 불안정해지자 일본측이 반도체 산업을 자국으로 유치하는 방안이 담긴 성장전략 원안을 마련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277&aid=0004914126|#]] 2020년에는 실질 GDP가 4.6% 감소했다. [[http://naver.me/xYQxXBEI|#]] 2022년에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2022년 식량·에너지 위기]]로 인해 버블 경제 이후 최고의 물가 상승률을 기록하였다. 엔화의 계속된 저가 현상이 지속되면서, 2022년 10월, [[IMF]]가 발표한 GDP 순위에서는 세계 3위 자리는 유지하였으나 불과 6개월만에 약 '''6천억 달러가 증발해버렸다.'''[* 2022년 4월에는 약 4조 9300억 달러였는데, 10월에 발표된 수치는 4조 3000억 달러다. 약 '''12.5% 감소'''했다. 참고로 한국은 2022년 4월, 약 1조 8000억 달러에서 1조 7300억 달러로, 약 4%만 감소하였다. ] 또한 1인당 GDP도 약 39,200$에서 34,000$로 급격히 떨어졌다. 계속되는 초엔저로 독일에게 GDP 순위 추월을 허용하고 4위로 떨어졌다. 2023년 1월, 경상수지가 1조 9766억엔 적자가 났다. 일본의 경상수지가 적자로 돌아선 것은 작년 10월 이후 3개월 만이다. 주요 원인은 1월 상품수지가 3조1818억 엔(약 30조 원) 적자 때문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짚었다. [[https://naver.me/5BvDNb7L|#]] 현직 일본 총리인 [[기시다 후미오]]는 일본의 임금 수준이 거의 30년째 정체되어 있다는 문제점에 주목하여 [[새로운 자본주의]]를 내세우고 있는데, 향후 일본 경제의 귀추가 주목된다. == 관련 문서 == * [[일본/경제]] * [[1980년대 일본 거품경제]] * [[플라자 합의]] * [[아베노믹스]] * [[영국/역사 속의 경제위기]] [[분류:일본의 경제사]][[분류:나라별 경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