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본의 럭비 유니언 리그]] [목차] == 개요 == [[일본]]의 [[럭비 유니언]] 리그 구조에 대해 서술한 문서. 일반부에 대해서만 서술한다. == 전국 대회 == * 과거 [[톱리그]]로 불렸던 최상위 리그 [[재팬 럭비 리그 원]]이 있다. 3개의 디비전으로 나눠져 있으며, 디비전 3는 하위 리그와 승강제를 하지 않는다. 다만 디비전 3의 사닉스 블루스가 2022시즌 이후 해체됐기 때문에 2024-25시즌 합류를 목표로 1개 구단을 선발하고 있다. * 일본 럭비풋볼 선수권 대회 (~ 2021) : 톱리그, 전국 대학 챔피언십, 지역 대회 등의 최상위권 팀들이 모여 겨루는 대회. 자세한 것은 [[재팬 럭비 리그 원#s-7.2]] 참고. * 톱 챌린지 리그 (~ 2021) : 톱리그 시절이었던 2016-17시즌부터 톱리그와 지역 대회의 승강전 역할을 했다. 시즌에 따라 1~2팀이 톱리그로 진출했다. * 전국 클럽 럭비풋볼 대회 : 매해 1~2월에 개최되는 아마추어 대회다. 1993년 첫 대회가 열렸고 현재까지 유지 중이다. == 지역 대회 == 재팬 럭비 리그 원의 하위 대회인 지역 리그는 관동/관서/규슈로 구분되며, 각 지역 럭비풋볼 협회가 관장한다. 2003년 톱리그와 함께 발족했다. 톱리그, 즉 재팬 럭비 리그 원이 오늘날 3부제로 개편했기 때문에 지역 리그는 4부 리그 이하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 '''관동(간토) 지역''' * '''톱 이스트 리그''' : 10개 구단 체제로 시작했으나 2011년 2부제, 2021년 3부제로 확장했다. 1부(톱 이스트-A) 5팀, 2부(톱 이스트-B) 5팀, 3부(톱 이스트-C) 8팀으로 * 관동 사회인 리그 : 1960년부터 진행된 대회로, 현재는 톱 이스트 리그의 하위 대회다. 1부, 2부 A, 2부 B, 3부 총 4부제로 이루어져 있다. 최하위인 3부는 일본 전체로 보면 '''10부 리그'''인 셈이다. 1부 우승팀은 톱 이스트-C로 승급한다. * 동일본 톱 클럽 리그 : 1991년 동일본 클럽 선수권대회로 시작했다. 전국 클럽 럭비풋볼 대회의 동부 예선 성격을 띈다. 3부제로 1부 6팀, 2부 6팀, 3부 5팀으로 구성된다. * '''관서(간사이) 지역''' * '''톱 웨스트 리그''' : 이스트와 동일하나 구단 수가 8-8-8체제로 5-5-8체제인 관동보다 많다. 하위 대회는 현 단위로 이루어진다. * 긴키 클럽 리그 : 1995년 간사이 클럽 리그로 출범 이후 2015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했다. 전국 클럽 럭비풋볼 대회의 서부 예선 격. 3부제로 각각 6팀이 속해 있다. * '''규슈 지역''' * '''톱 규슈''' : 3부제가 아닌 2부제로, 구단 수도 1부 5개, 2부 4개뿐이다. 하위 리그는 현 단위로 이루어진다. * 규슈 톱 클럽 리그 : 전국 클럽 럭비풋볼 대회의 규슈 지역 예선. 역시 다른 지역에 비해 소규모여서 1부 8팀뿐이다. * 동북(도호쿠) 지역 * 톱 노스 : 1991년 동북 사회인 리그가 첫 시작으로, 타 지역에 비해서도 늦게 탄생했다. 2008년 폐지. 소속 팀은 관동 지역 리그로 이전한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