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일본프로야구 신인선수 선택회의)] [목차] [clearfix] == 개요 == [[2019년]] [[10월 17일]] 시행하는 [[2019년]] [[일본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 NPB는 KBO와 다르게 드래프트가 열린 해를 이름에 붙인다.] == 1라운드 지명 == 1라운드 지명은 드래프트를 신청한 전국의 모든 고교/대학/사회인야구 선수 중 1명을 지명하되, 중복 지명 시 추첨으로 결정한다. ||<:> '''팀''' ||<:> '''1라운드 지명자''' ||<:>'''계약금'''||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오쿠가와 야스노부]](세이료고교, 투수) || 1억엔 || ||<:> [[오릭스 버팔로즈]] || '''[[미야기 히로야]]'''(코난고교, 투수) || 8천만엔 || ||<:> [[주니치 드래곤즈]] || [[이시카와 타카야]](토호고교, 내야수) || 1억엔 ||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 카와노 류세이(JFE 니시니혼, 투수) || 1억엔 || ||<:> [[히로시마 도요 카프]] || '''[[모리시타 마사토]]'''([[메이지대학]], 투수) || 1억엔 || ||<:> [[치바 롯데 마린즈]] || '''[[사사키 로키]]'''(오후나토고교, 투수) || 1억엔 || ||<:> [[한신 타이거스]] || [[니시 준야]](소우시가쿠엔고교, 투수) || 1억엔 ||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코부카타 히로토]](오사카 가스, 내야수) || 1억엔 ||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 [[모리 케이토]](토인가쿠엔고교, 내야수) || 1억엔 ||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사토 나오키([[JR 니시니혼]], 외야수) || 1억엔 || ||<:> [[요미우리 자이언츠]] || 홋타 켄신(아오모리야마다고교, 투수) || 8천만엔 ||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미야가와 테츠]]([[토시바]], 투수) || 1억엔 || === 중복 지명자 추첨 === 이 해의 드래프트에는 5명의 중복 지명자가 등장하여 5번의 추첨이 시행되었다. ||<:>
'''선수 이름''' ||<:> '''포지션''' ||<:>'''지명 팀'''|| ||<:> [[오쿠가와 야스노부]] || 투수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교섭권 획득), [[한신 타이거스]], [[요미우리 자이언츠]] || ||<:> [[사사키 로키]] || 투수 || '''[[치바 롯데 마린즈]]'''(교섭권 획득),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 [[이시카와 타카야]] || 내야수 || '''[[주니치 드래곤즈]]'''(교섭권 획득), [[오릭스 버팔로즈]],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 카와노 류세이[*재추첨] || 투수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교섭권 획득), [[오릭스 버팔로즈]] || ||<:> [[미야가와 테츠]][*재추첨] || 투수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교섭권 획득), [[요미우리 자이언츠]] || == 2라운드 이후 == === 지명 방식 === * 2라운드부터 모든 구단이 패스할 때까지, 혹은 모든 팀에서 지명한 선수의 총합이 120명이 될 때 까지 지명한다. 지명을 원치 않는 팀의 경우 해당 라운드에서 패스할 수 있다. * 만약 모든 팀에서 지명한 선수가 120명이 안 될 시, 육성선수 드래프트를 시행한다. 만약 모든 팀에서 지명한 선수가 120명에 도달할 시, 아직 패스를 선언하지 않은 팀이 있다고 해도 드래프트가 강제종료된다. * 지명방식은 짝수 라운드는 당해년도 순위의 역순, 홀수 라운드는 당해년도 순위대로 지명하는 방식. * 이 해 드래프트부터는 교류전 우세에 따른 2라운드 이후의 지명 우선권이 사라지고 양 리그가 1년마다 번갈아 가면서 지명 우선권을 얻는다. 그에 따라 센트럴 리그가 먼저 지명하게 된다. === 지명 결과 === ※표시는 지명 거부나 대학 진학, 사회인야구 진출 등으로 지명팀에 입단하지 않은 선수. ||
'''라운드'''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야쿠르트]] || [[오릭스 버팔로즈|오릭스]] || [[주니치 드래곤즈|주니치]]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닛폰햄]] || [[히로시마 도요 카프|히로시마]] || [[치바 롯데 마린즈|롯데]] || [[한신 타이거스|한신]]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라쿠텐]]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DeNA]]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소프트뱅크]] || [[요미우리 자이언츠|요미우리]]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세이부]] || || 2[br]→ || 요시다 다이키(투) || '''[[쿠레바야시 코타로(야구선수)|쿠레바야시 코타로]]'''(내) || 하시모토 유키(투) || 타테노 카즈아키(투) || 우구사 코키(외) || [[사토 토시야(1998)|사토 토시야]](포) || [[이노우에 코타]](외) || 쿠로카와 후미야(내) || 사카모토 유야(투) || 우미노 타카시(포) || 오오타 류(투) || 하마야 쇼타(투) || || 3[br]← || 스기야마 코키(투) || [[무라니시 료타]](투) || [[오카노 유이치로]](투) || 우에노 쿄헤이(내) || 스즈키 히로토(투) || '''[[타카베 아키토]]'''(외) || 오요카와 마사키(투) || 츠루사키 타이세이(투) || '''[[이세 히로무]]'''(투) || 츠모리 유키(투) || 키쿠타 히로카즈(외) || 마츠오카 코키(투) || || 4[br]→ || 오오니시 히로키(투) || [[마에 유이토]](투) || [[군지 유야]](포) || [[스즈키 켄야]](투) || 니라사와 유야(내) || [[요코야마 리쿠토]](투) || 엔도 죠(내) || 무토 아츠키(외) || 아즈마 쥰페이(포) || 코바야시 쥬이(내) || 이노우에 하루토(투) || 카와노 료타(내) || || 5[br]← || [[나가오카 히데키]](내) || 카츠마타 쇼키(내) || '''[[오카바야시 유키]]'''(투) || 모치즈키 다이키(투) || 이시하라 토모키(포) || [[후쿠다 코키]](내) || 후지타 켄토(포) || 후쿠모리 요마(투) || 타나베 하야토(내) || 야나기마치 타츠루(외) || 야마세 신노스케(포) || [[츠게 세나]](포) || || 6[br]→ || 타케오카 류세이(내) || - || 타케우치 류신(투) || 우메바야시 유키(포) || 타마무라 쇼고(투) || - || 오가와 잇페이(투) || 타키나카 료타(투) || 에비나 타츠오(외) || - || 이토 카이토(외) || 이노우에 히로키(투) || || 7[br]← || - || - || - || 카타오카 쇼토(외) || - || - || - || 미즈카미 케이(포) || 아사다 소타(투) || - || - || 우에마 토와(투) || || 8[br]→ || - || - || - || - || - || - || - || - || - || - || - || [[키시 준이치로]](외) || == [[육성선수]] 드래프트 == === 지명 방식 === * 지명 선수가 120명 미만인 경우에 드래프트 종료 후에 이루어진다. * 지명방식은 홀수 라운드는 전년도 순위의 역순, 짝수 라운드는 전년도 순위대로 지명하는 방식이다. 이 해에는 드래프트 지명 선수가 74명이었기 때문에 육성선수 드래프트를 진행한다. === 지명 결과 === ※표시는 지명 거부나 대학 진학, 사회인야구 진출 등으로 지명팀에 입단하지 않은 선수. ||
'''라운드'''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야쿠르트]] || [[오릭스 버팔로즈|오릭스]] || [[주니치 드래곤즈|주니치]]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닛폰햄]] || [[히로시마 도요 카프|히로시마]] || [[치바 롯데 마린즈|롯데]] || [[한신 타이거스|한신]]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라쿠텐]]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DeNA]]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소프트뱅크]] || [[요미우리 자이언츠|요미우리]]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세이부]] || || 1[br]→ || - || 사토 카즈마(투) || 마츠다 히로아키(투) || 미야다 호쿠토(외) || 모치마루 타이키(포) || [[모토마에 후미야]](투) || 오노데라 단(외) || 에가와 유토(포) || - || 이시즈카 소이치로(포) || 히라마 하야토(내) || 이데이 토시히로(투) || || 2[br]← || - || 타니오카 후타(투) || - || 히구치 류노스케(내) || 키노시타 모토히데(내) || [[우에다 쇼타]](포) || 오쿠야마 코타(외) || 코미네 신리(투) || - || 오오제키 토모히사(투) || 카토 소타(외) || - || || 3[br]→ || - || 나카타 유이토(투) || - || 하세가와 료타(투) || 우네 타카마사(투) || - || - || 야마자키 마키(내) || - || 이토 다이스케(내) || - || - || || 4[br]← || - || 히라노 야마토(외) || - || - || - || - || - || 사와노 키요하루(내) || - || 카츠렌 하루키(내) || - || - || || 5[br]→ || - || 츠루미 료야(포) || - || - || - || - || - || - || - || 후나코시 히데토라(외) || - || - || || 6[br]← || - || 오오시타 세이이치로(외) || - || - || - || - || - || - || - || 아라키 쇼타(내) || - || - || || 7[br]→ || - || 사토 유고(외) || - || - || - || - || - || - || - || 무라카미 슌(투) || - || - || || 8[br]← || - || 마츠야마 마사유키(투) || - || - || - || - || - || - || - || - || - || - || == 드래프트 이후 ==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1순위 [[오쿠가와 야스노부]]가 2021년에 선발진에 안착하며 팀의 리그 및 일본시리즈 우승에 힘을 보태었으나 2022년엔 첫 등판 경기 이후부터 어깨 부상으로 인해 [[함흥차사]]가 되어버렸다. * [[오릭스 버팔로즈]] - 1순위 '''[[미야기 히로야]]'''가 선발진에 안착하며 성공했다. * [[주니치 드래곤즈]] - 1순위 [[이시카와 타카야]]는 나름대로 가능성은 보여줬으나, 잦은 부상이 발목을 잡고 있다. 6순위 [[오카바야시 유키]]는 2022년 포텐이 터져 최다안타상을 수상하였다. 덕분에 노인정 천국이던 주니치 외야에[* 오카바야시와 띠동갑 2바퀴 차이이던 [[후쿠도메 코스케]]가 2022년 개막전에 선발 출전하던 게 주니치 외야의 현실이었다.] 희망을 주었다.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 [[히로시마 도요 카프]] - 1순위 '''[[모리시타 마사토]]'''가 데뷔 시즌부터 선발진에 안착, 신인왕을 수상했다. 2021년에는 [[2020 도쿄 올림픽]] 금메달도 땄다. 2022년엔 로테가 엉망진창이 됐던 히로시마 선발진에서 혼자만 풀타임으로 로테이션을 소화했으나 그 댓가로 2022년 오프 시즌 수술 + 2023 시즌 절반 아웃이라는 진단표를 받아야 했다. * [[치바 롯데 마린즈]] - 1순위 '''[[사사키 로키]]'''가 역대 일본인 투수 평균, 최고 구속 신기록을 갈아치우며 대성공을 거뒀다. 2순위 [[사토 토시야(1998)|사토 토시야]], 3순위 [[타카베 아키토]]도 나름 1군 주전이 되었다. * [[한신 타이거스]] - 1순위 [[니시 준야]]가 2021년부터 선발 로테를 조금씩 돌기 시작하더니, 2022년엔 5~6선발 위치에서 뛰며 가능성을 보여줬다. 2순위 [[이노우에 코타]]도 외야 거포 유망주로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으며 2023년 2월 19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연습경기에서 만루포를 기록하며 존재감을 드러냈다. 6순위 오가와 잇페이도 대체선발로 가능성을 보여주기도 했다.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1순위 [[코부카타 히로토]]가 데뷔 시즌부터 주전을 차지하고 신인왕 경쟁에 참가하며 성공했다.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 1순위 [[모리 케이토]]는 아직까지 유망주에 머물러 있지만 3순위 [[이세 히로무]]가 2022년 디엔에이 불펜의 주축이 되었다.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요미우리 자이언츠]] - 1순위 홋타 켄신이 2022년 엉망진창이 된 팀 투수진에서 몇 경기 희망을 보여주긴 했다.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여담 == [각주] [[분류:일본프로야구 신인선수 선택회의]][[분류:일본프로야구/201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