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국립공주대학교 총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893, #324eb3, #324eb3, #003893)" {{{#fff '''제8대''' [[국립공주대학교|{{{#fff '''국립공주대학교'''}}}]] '''총장'''[br]'''{{{+1 임경호}}}'''[br]'''林敬昊 | Lim Kyeong Ho'''}}}}}}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임경호(1964).jpg|width=100%]]}}} || || {{{#ffffff '''출생'''}}} ||[[1964년]] [[4월 20일]] ([age(1964-04-20)]세)|| ||<|2> {{{#fff '''재임기간'''}}} ||제8대 국립공주대학교 총장 || ||2023년 6월 5일 ~ 2027년 6월 4일 || || {{{#ffffff '''학력'''}}} ||[[서울시립대학교]] {{{-2 (환경공학 / 학사)}}}[br][[한국과학기술원]] {{{-2 (토목공학 / 석사)}}}[br][[한국과학기술원]] {{{-2 (토목공학 / 박사)}}} || || {{{#ffffff '''경력'''}}} ||[[국립공주대학교]] 스마트인프라공학과 교수 [[교토대학|Kyoto University]] 방문교수 [[공주대학교]] 방재연구센터 소장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Penn state University]] 방문교수 대한환경공학회 대전·세종·충청지회 회장 한국도시환경학회 편집위원장 [[공주대학교]] 산학연구본부장 및 산학협력단장 [[공주대학교]] FAIR 사업단 단장 제8대 [[국립공주대학교]] 총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공학자]]이자 교육인으로, 제8대 [[국립공주대학교]] 총장직을 역임하고 있다. == 생애 == 1964년에 태어나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과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에서 토목공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6년 [[국립공주대학교]] 교수로 부임하였으며, 한국수자원공사 설계자문위원, 대전지방국토관리청 설계자문위원, 환경기술진흥원 신기술평가위원, 한국도시환경학회 이사 등을 지냈다. 2023년 1월 교수, 교직원, 조교, 학생 등 1,139명이 참가한 가운데 온라인으로 치러진 제8대 총장 임용 후보자 선거 결선 투표에서 55.6%를 얻어 최다 득표로 당선됐다. == 총장 로드맵 == === 대학 발전 방안 === * 획기적 재정 확정 * 중앙정부 및 지자체 재정지원 사업비 확보 * 충남소재기업-대학 상생협력 사업 200억 원, [[혁신공유대학|디지털 혁신공유대학]] 100억 원 * AI 반도체 인력양성사업 100억 원, 국가혁신클러스터 인재양성사업 40억 원 * KNU 지주회사 설립을 통한 수익 구축 * 공주대학교 [[생활협동조합]]을 통한 수익사업 전개 *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로 대학의 선도 기술과 창의자산의 사업화 * 발전기금의 다각화 * [[국립공주대학교/총동문회|각 캠퍼스 동창회]] 활성화 및 모금 활동의 다각화 * 기부자 자긍심 고취 프로그램 지원([[홈커밍|Home coming day]] 행사 개최 등) * 디지털 전환 미래 인재 양성 * 전 구성원의 디지털 전환 교육 고도화 * AI & Software 교육 필수화를 통한 미래 창의적 교육 고도화 * ICT 융합형 디지털 콘텐츠 활용 및 소통 능력의 제고 * 디지털 플랫폼 생태계 구축 * 고도화된 디지털 플랫폼을 통하여 각 캠퍼스 간 교육 및 연구 협력 지원 * [[메타버스]] 디지털 클래스룸 Metaspace(공동학습), Metabox(VR실습) 구축 * 인문·예술 진흥원 설립 * 기초학문과 인문학 및 예술의 진흥 발전 기틀 마련 * 교수, 학생의 창의적 창작 연구 활동 예산 지원 * 인문, 예술 특별 창의 연구 기금 신설인문 * 예술 진흥원 운영 * 초, 중등 예술 인재를 위한 조기 프로그램 실시 * 지역주민의 인문, 예술 분야 평생교육 시스템 확대 대학 발전 방안 * 과제 기획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 센터 설립 * 재정지원 사업 유치를 위한 사업 기획 디자인 씽킹 센터 설립 * 수요 탐구적 창의적 조직의 구축으로 대형과제 및 R&D 사업 수주 * 정부부처 및 지자체와의 상시 협의 체제 구축 * 대정부 고위급 정책자문단 운영 * 대형사업 연구비 수주 협력팀(Research Fund-raising Team) 운영 * 사업 기획을 위한 전문 코디네이터 인력 배치 및 상시 가동 * 연구 종합 지원 협력 DB시스템 구축(연구자 전공 분야의 Index DB 구축) * 연구 기획 거버넌스 운영 예산 지원 * 캠퍼스 재구조화 * 캠퍼스별 대학 경쟁력 제고를 위한 재구조화 * 효율적 공간관리를 위한 전담 조직 설립 * 각 캠퍼스의 기능 재조정 및 새로운 브랜드 이미지 창출 * 광역 캠퍼스 리서치 파크 설립을 통한 산학협력 강화 * 캠퍼스별 균형 발전을 통한 지역 상생발전 강화 * 멀티 캠퍼스 인프라 공유 및 지역 혁신 특성화 * [[DSC공유대학|지자체-대학 협력 기반 지역 혁신 플랫폼 사업]] * 입학자원의 전략적 다각화 * 대학 브랜드 가치 제고 및 전략적 입학 홍보 강화 * 대학 브랜드 향상 위원회 설치 및 홍보 예산 대폭 확대 * 권역별 홍보 강화 및 수요자 지역 집중 입시홍보 강화 * 편입학생의 유치 확대를 위한 홍보 강화 및 제도 정비 * 입학 경쟁력 강화 및 우수 학생 유치 재고 * 우수한 지역 인재 유치를 위한 학생 선발 제도 개선 * 외국인 입학생을 위한 특례 입학제 상시화 * 소셜 네트워크 홍보 강화 전담 인원 확보 === 캠퍼스 공약 === * [[국립공주대학교/신관캠퍼스|공주캠퍼스]] * 인본주의 교육 중심 캠퍼스로 특화 * 융복합 대학원 육성 (백제융복합센터 건립) * [[세종 공동캠퍼스|세종캠퍼스]]와의 연계 활성화 ([[국립공주대학교 한민족교육문화원|한민족교육원]], [[국립공주대학교/대학원#정책융합전문대학원|공공정책대학원]], [[국립공주대학교/학부/국제학부|국제학부]] 등) * [[국립공주대학교/천안캠퍼스|천안캠퍼스]] * 공학 및 융복합 신산업 육성 캠퍼스로 특화 * 캠퍼스 기능의 다변화 및 학생들의 정주 여건 개선 * 디지털 정보 시민대학 설치대학 및 평생교육대학 설치 * [[국립공주대학교/예산캠퍼스|예산캠퍼스]] * 복합생명공학 메카 조성 및 농생명 연구 캠퍼스로 특화 * 융복합 농업인 양성 농촌 재생 비즈니스 모델 구축 * [[예산군]] 협력사업 전담 조직 신설 * [[세종 공동캠퍼스|세종캠퍼스]] * 미래 융합형 ICT 와 신산업 교육 인재 양성 특화 캠퍼스 * [[세종 공동캠퍼스|공동 캠퍼스]], 캠퍼스 광역화/ 평생교육 확대 * 대학 간 공동 강의, 연구, 산학협력 선도([[공주대]], [[충남대]], [[한밭대]] 등) === 단과대학 공약 === * [[국립공주대학교/학부/사범대학|사범대학]] * [[공주교대]]와의 초중등 통합형 [[교육전문대학원]] 유치 * [[교육전문대학원]]의 24년도 시범운영 대비 TF팀 구성 지원 * [[교육대학원]]의 강사료 현실화 및 실험 조교 배정 * [[국립공주대학교/부속기관#지방교육정책개발원|지방정책교육개발원]] 활성화 * 노후화된 건물 보수 및 리모델링 * 6주기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사범대 역량진단]]을 위한 재정 지원 * [[국립공주대학교/학부/인문사회과학대학|인문사회과학대학]] * 학문 특성에 따른 단과대학 분리 * 인문/사회과학 연구센터 지원 및 확대 * ICT 첨단 강의실 확충을 통한 대형 강의실 확보 * 사회복지대학원 및 국제통상대학원(천안 캠퍼스) 신설 * 인문사회계열 연구비 대폭 증액 * [[국립공주대학교/학부/자연과학대학|자연과학대학]] * 제2자연과학관 신축 * 연구력 향상을 위한 실험실습용 장비확충 * BRL/NRL/SRC 및 초대형 그룹 연구 지원 * 연구중심대학으로의 개편 및 대학원 활성화 * 대학원 TO 증원 및 석·박사 입학자원 다변화 * [[국립공주대학교/학부/천안공과대학|천안공과대학]] * 캡스톤 디자인관 신설(제6공학관) * [[공학교육인증|공학교육혁신 교육프로그램]] 운영 * 체육관 신축 ‘Recreation Center’ 개관 * 학생회관 입주 기관의 공간 재배치 * [[국립공주대학교/학부/산업과학대학|산업과학대학]] * 2024년 개별 학과 기능별 이전 배치 * 캠퍼스 교통 접근성 개선 * 공무원 임용 지원프로그램 확대 * 융복합 농업인 양성 농촌 재생 비즈니스 모델 구축 - 스마트 시설(온실, 축사, 노지 등)의 자동화 및 관리 시스템 보완 * [[국립공주대학교/학부/간호보건대학|간호보건대학]] * 간호보건대학 교육프로그램 교육부 평가기관 인증 지원 * 실무교육을 위한 [[국립공주대학교/부속기관#KNU 임상시뮬레이션센터|임상 시뮬레이션센터]] 기능 및 인프라 강화 * 공주대학교 [[의과대학]] 설립 준비를 위한 기반 확보 * 교육부 평가기관 인증기준 충족 시설, 환경 개선 * [[국립공주대학교/학부/예술대학|예술대학]] * 예술대학 특성화 건물 신축 * 예술대 각 전공 별 특성 고려한 교수 역량 강화 지원 * 전공 작품 발표 및 졸업작품전 개최 지원 * 예술 관련 융·복합 연계전공 공존하는 글로벌 미래형 대학 육성 [[분류:1964년 출생]][[분류:공학 교수]][[분류:국립공주대학교 총장]][[분류:서울시립대학교 출신]] [[분류:한국과학기술원 대학원 출신]]